• 제목/요약/키워드: 언어적 측면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4초

음성압축 방식의 변화가 한국어 단음절 숫자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Perceiving Korean Monosyllabic Digit Words under Different Speech Compression Schemes)

  • 임덕환;원유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2-268
    • /
    • 2013
  • 다양한 음성 압축방식이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심리음향적 인지결과는 대상 언어의 특성과 압축 방식에 따라서 다를 수가 있다. 한국어에서도 이러한 인지 결과를 비교하는 정량적인 자료가 관련된 임상이나 응용 분야에서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통제된 언어적 특성을 갖는 0에서 9까지 한국어 단음절 숫자 들이 무작위로 조합되는 다섯 쌍 조합(quintet set)을 대상으로 하여 자주 사용되는 세가지 대표적인 음성 압축방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기준으로는 기존의 연구에서 분석 정리된 시간과 주파수 정보가 모두 일정하게 변화되는 PNT (Preserving No Trait) 압축에서 얻은 자료를 비교 근거로 선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조건의 정상인 그룹에서 심리음향적 피치(pitch) 정보가 주로 보전되는 PPT (Preserving Pitch Trait), 시간 정보가 주로 보전되는 PTT (Preserving Time Trait) 압축방식의 인지 결과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N=20). 본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자료를 보면, 정보의 압축비율이 높을 수록 심리음향학적으로 중요한 주파수 정보(피치)를 보전하는 것이 인지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PPT>PTT>PNT). 또한, 세가지 압축방법에서 50% 인지율을 보이는 압축률의 역치도 PPT가 20%, PTT가 42%, PNT가 44%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도 측면에서만 살펴보면 본 조건에서는 PPT 압축 방식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숫자 자극을 이용한 평가 방법은 향후 새로운 압축 방식의 효율성과 인지도 측면을 비교 가능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면, 청각정보처리기능을 진단하거나 압축 관련 특수 보청기 적합 재활에서 정량적인 지표를 제공하는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형 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측면에 대한 연구 - 용어의 어원과 조어 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nguistic Aspect of the Understanding of Geometric Figures - Focused on the Origin and the Coining of Geometric Terms -)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3호
    • /
    • pp.245-261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the possible problems which may arise when students learn the names of elementary geometric figures in the languages of Korean, Chinese, English. The names of some simple geometric figures in these languages are analyzed, and a specially designed test was administered to some grade eight students from the three language groups to explore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s on students' capability in identifying the figures, the way students define the figure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nclusive relationship among figures.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the terms to describe geometric figures may indeed have affec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figures. The names of geometric figures borrowed from those of everyday life objects may cause students to fix on some attributes of the objects which may not be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the figures. Even when the names of the geometric figures depict the features of the figures, the words used in the naming of the figures may still affec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nclusive relations. If there is discrepancy between the definition of a geometric figure and the features that the name depicts, it may affec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he figure, and if there is inconsistency in the classification of figures, it may affec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nclusive relationship involving those figures. Som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en discussed.

  • PDF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객관적 언어정보 도출 -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 모색 (The deduction of objective linguistic inform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s - The grouping of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 최경호;이용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1호
    • /
    • pp.49-55
    • /
    • 2011
  • 최근 들어 여러 영역에서 통섭을 통한 융합을 이루려는 시도가 자주 나타난다. 학문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닌바, 학제적 연구가 그 예라 하겠다. 통계학과 관련된 학제적 연구의 한 분야로 언어정보학 또는 계량언어학이라 일컬어지는 언어학 연구가 있다. 그런데 통계학과 언어학의 학제적 연구는 주로 언어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다. 따라서 통계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언어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일부 부족한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언어학 연구에서 나타나는 객관성확보의 부족한 면에 대한 보완을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통계학과 언어학의 '학제적연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부언하면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 연구에서 보다 객관적인 언어정보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통계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고 응용 예를 보였다.

한글 환경에서의 언어 교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anguage-Learning Courseware in Korean Environments)

  • 김혜경;윤애선;이미화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35-340
    • /
    • 1998
  • 최근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분야에서의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학습의 효율성 증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지금까지의 학습 방식은 교과목 특성의 개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혹은 기술적인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에게 일관된 단답형이나 선다형의 학습 방식을 요구하여 왔다. 웹을 기반으로 한 원격 교육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프랑스어와 같은 제2외국어의 경우, 한국어 환경에서의 프랑스어 악상 문자 입력이나 개별화된 저작 언어 개발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lceil$Voila-web$\rfloor$ 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으로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고 능동적인 학습 방식을 통한 학습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시스템이다.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자료의 전체적인 내용 흐름만을 제시하고 영역별 구체적인 자료의 전개는 다양한 교과 내용을 자유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한 컴퓨터 이용 학습의 장점을 기존의 학습 방식에 보완하여 보다 능동적인 학습 방식을 유도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 PDF

코드 생성 언어 모델의 코드 보안성 향상을 위한 프롬프트 튜닝 (Prompt Tuning for Enhancing Security of Code in Code Generation Language Models)

  • 유미선;한우림;조윤기;백윤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3-626
    • /
    • 2024
  • 최근 거대 언어 모델의 발전으로 프로그램 합성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코드 생성 언어 모델의 보안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모델 전체를 재학습하기에는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미세조정 방식 중 하나인 프롬프트 튜닝으로 코드 생성 언어 모델이 안전한 코드를 생성할 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또한 이에 따른 기능적 정확성 간의 상충 관계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프롬프트 튜닝이 기존 방법에 비해 추가 파라미터를 크게 줄이면서도 보안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 연구 방향으로는 새로운 조정 손실함수와 하이퍼파라미터 값을 조정하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지 조사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코드 생성을 위한 중요한 발전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신공간에서의 개념적 사상의 양상 (Aspects on Conceptual Mappings in Mental Space)

  • 이종열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57-163
    • /
    • 2000
  • 이 글은 최근 인지언어학에서 기본적인 핵심이론 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정신공간 이론'(mental space theory)에 대한 이론적인 소개와 함께 의미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의 하나인 '사상'(mappings)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1994년 이후 Fauconnier와 Fauconnier & Turner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정신공간 이론에서는, 언어의 의미를 궁극적으로 인지적 공간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언어로 '투사'(projection)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존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사이의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사상, 이른바 '두 영역 모델'의 대안으로 '다공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다공간 모델 속에는 '포괄공간'(generic space)과 '혼합공간'(blending space)이 설정되는데, 그 중에서 포괄공간은 근원공간과 목표공간의 모든 개념이나 추상적인 도식 등이 반영되어 있는 반면, 혼합공간은 실제의 다양한 개념적 혼합의 결과로 나타나며, 입력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상응되는 부분들 사이의 연결을 활용하고 발전시키기 때문에 그 자체가 또 다른 혼합공간의 입력공간에서 일어나는 개념적 사상의 양상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의미구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합성어와 같은 어휘적 측면은 물론, 일상의 문장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개념적 사상의 다양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대기 중 물의 상태변화에 관한 중학생의 글에서 나타나는 의미관계 및 과학 언어적 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Research about Semantic Relations and Linguistic Featur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s about Phase Transitions of Water in Air)

  • 정은숙;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8-299
    • /
    • 2010
  • 본 연구는 과학적 소양은 과학적 지식의 획득과 과학적 담화에 참여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을 통하여 길러진다는 전제하에 대기 중의 물의 상태변화에 관한 학생 글에서 나타나는 의미관계와 과학 언어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 67명이 참여하여 일상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과 학교과학교육에서 체계적으로 배우는 현상 에 관한 두 개의 서술형 문항에 대한 글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이슬점' 같은 생소한 용어뿐만 아니라 '수증기', '김' 등과 같은 친숙한 용어에 대해서도 잘못된 의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학교과학 교육보다 일상의 경험에서 형성된 지식에서 옳은 의미관계와 잘못된 의미관계 모두 더 많이 나타났다. 일상의 과학적 현상에 대해서는 행위와 절차를 중심으로 한 서술 양상이, 학교 교육에 의해 접하게 된 현상에 대해서는 전문용어와 명사구의 사용 양상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험에 기초한 자발적 과정은 풍부한 의미관계 형성에,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과정은 명사화를 중심으로 한 전문적이고 추상적인 서술의 측면에서 과학적 언어 능력 발달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과학박물관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유형 분석 (Patterns of Observation Type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Visit Activities of the Science Museum)

  • 김미모아;정진우;김형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7-6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을 실시하여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 학생 10명을 선정하여 탐방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일어나는 관찰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여 모든 관찰 내용과 대화를 녹음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응답의 빈도가 높았고 자신의 의견을 배제하고 전시물과 관련하여 질문하고 응답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정의적 측면에서는 권유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단수의 관찰 대상 전체를 시간 독립적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고, 시각을 사용하여 조작을 하지 않고 정성적인 방법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질문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관찰의 빈도와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다양한 관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과 같은 특정 전시관이나 전시물을 학생이 직접 선택하여 집중 탐구할 수 있는 시간이나 학습지를 마련하면 더 효과적인 관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학습 및 게임 기능을 갖는 자소모아한글단어맞추기(자모한) 안드로이드 앱 개발 (An Android App Development for JAMOHAN with Learning and Game Facilities)

  • 김가영;이효은;김혜수;양창근;강현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1-194
    • /
    • 2012
  • 본 논문은 뜻풀이를 통해 한글단어를 맞추는 앱 어플리케이션인 자모한(자소 모아 한글단어 맞추기)의 구현에 대하여 논한다. 학습 형태의 게임방식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한글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앱 어플리케이션이다. 자모한은 3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는 '한글'로, 평소 뜻을 제대로 알고 쓰지 못했던 단어나 잊혀져 가는 순수 우리말과 같은 한글단어의 뜻을 학습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자소'로 한글에서 하나하나의 자소가 모여 단어가 됨을 보여주며 각 단어의 자소 구성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세 번째는 '획수'이다. 게임에서 간접적으로 자소의 획수를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교육적 측면으로서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자모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중심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파일의 구조와 입력 정보를 변경하여 여러 버전(햇갈리기 쉬운 단어, 순수우리말, 사자성어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산업 및 기술적 측면의 모습도 볼 수 있다.

  • PDF

영어 영재 학생의 심화학습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verbally gifted student)

  • 최종오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87-120
    • /
    • 2003
  • 영재교육은 개인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국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육성의 육성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측면과 함께 그들의 능력수준과 학습욕구에 적합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언어 영재 학생은 총 60명인데, 이 중에서 예비 연구에 참여한 30명은 연구자가 개발한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언어 문제해결력 검사의 양호도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이었고, 실험집단 30명은 10명씩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 한국교육 개발원 교재, 연구자가 개발한 심화학습 프로그램, 국어 교과서 심화학습 프로그램에 배정하여 프로그램간의 유의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언어 영재학생에게 연구자가 개발한 체계화된 개별화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언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교육개발원 언어 영재 교재나 국어 교과서 심화학습도 언어 영재에게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약간의 효과는 있지만, 언어 이해 능력과 언어 표현 능력을 효율적으로 발달시키는 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 언어 영재교재나 국어 교과서 심화학습 내용처럼 듣기, 말하기, 읽기와 쓰기를 따로 분리해서 지도하는 것보다 일상생활처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종합해서 함께 지도하는 것이 언어적으로 재능있는 영재에게는 더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또한 지역이나 학교 급별에 따라 언어 영재성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에 알맞은 언어 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