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외적 능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The Study Trends of the Right Hemisphere Damage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 Focused of Recent 10 Years -)

  • 우희림;김정완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13-231
    • /
    • 2017
  • 우반구 손상(Right Hemisphere Damage, RHD)에 따른 의사소통장애는 좌반구 손상 환자군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좌반구 손상 환자 대상의 실어증 평가에서는 그 장애 정도가 잘 감별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언어 평가와 중재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관련 학술지에서 다루어진 RHD 환자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RHD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평가와 중재 방향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임상과 연구 영역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내외 논문 총 75편(국내 논문 13편, 국외 논문 62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과 연구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유형 및 연구영역에서 국내외 동일하게 RHD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 특성을 비교하고, 언어외적 능력을 가장 많이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및 인지-의사소통 외 능력(예: 일상생활능력, 우울)과 같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빈번히 이루어져 있는 국외 연구와는 달리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져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파악된 RHD 환자군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통해 향후 국내 R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장면과 연구에서 다양하고 심도 높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

  • 김봉일
    • 정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3
    • /
    • 1983
  • 여러 분야에서 computer의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computer에 대한 올 바른 이해와 일반이 널리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사용법의 연구를 필요로 하여 본 연구소 전자계산실에서는 computer언어의 한글화를 착한하여 Automatic Language Translation과 이를 활용한 한글 program의 일반화를 시도하여 보았 다. computer에 의한 번역은 1950년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 1960년 Harvard 대 학의 Oettinger교수 team에 의한 Russian$\longrightarrow$English 번역을 계기로 현재 각 국에 서 활발히 연구 개발 중인 테-마이다. 특히 개발 도상에 있는 우리나라로써는 이 과제를 해결하여 선진국의 기술정보, 학술 논문, 참고 서적 등을 어학능력에 구애 됨이 없이, 광범위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면 국가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교육적인 견지에서도 다대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는 특수한 지 역의 환경과 공동 관심속에서 고래의 뿌리깊은 전통과 관습으로 계승되어온 의사 전달의 매개체로써 특종의 適否에 대한 외적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점이 분 명하여 생성된 문장들이 그 언어를 사용하는 토박이에게 충분히 용납되어야 한다 는 점에서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데는 허다한 난점이라는 가정하에 무 한수의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일종의 반복 장치를 가지게 되면 무한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이론을 근거로 한글 program, 한 영 번역 및 영한 번역의 실험 작업 단계에서 그 중간 과정을 소개해 본다.

문장 따라말하기에서 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비교 (The influences of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of disfluency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 김예슬;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53-64
    • /
    • 2021
  • 요구용량 모델에 의하면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외적, 내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환경 중 언어적인 환경(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대상은 4-6세 말더듬 아동 9명, 일반아동 9명이었다. 연구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를 구하였다. 두 그룹의 비유창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때 평균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보다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말속도를 조절 때 말더듬 아동은 빠른 말속도에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그리고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시 빠른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통사적 복잡성을 조절했을 때는 복문에서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말속도, 발화길이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은 말운동 조절 그리고 언어처리 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말더듬 아동 치료 시 치료사와 부모가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바 보안과 암호

  • 조한진;이희규;김봉한;이재과
    • 정보와 통신
    • /
    • 제17권3호
    • /
    • pp.111-121
    • /
    • 2000
  •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게 개발된 자바 언어는 독립적인 구조, 분산처리 능력, 그리고 이식성이 좋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자바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다, 그리고, 자바는 애플릿을 클라이언트에서 실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안 문제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바 개발자들은 JDK를 보안 문제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고 있다. 한편, 보안 문제뿐만 아니라 암호에 관한 기술도 매우 중요시되고 있지만, 암호 및 인증 체계 기술은 미국에서 보유한 기술 중 인증기관 관련 기술로 미국 내에서 금수 기술로 분류되어,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기술 도입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기술 도입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기술 선진국에서는 Sun JCA의 구조에 바탕을 두고 Sun JCE와 호환되는 독자적인 JCE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JDK를 중심으로 자바 보안 모델과 암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자바의 보안 모델의 3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3장에서는 여러 가지 보안 문제를 극복하려는 JDK 보안 구조의 변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4장에서는 자바 보안 API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 PDF

물질의 입자적 성질에 대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 (Drawing and Writing as Methods to Assist Students in Connecting and Integrating External Representations in Learn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 강훈식;김보경;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33-54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적 성질이 강조되는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224명을 통제 집단, 그리기 집단, 쓰기 집단으로 배치한 후,'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하여 2차시 동안 수업을 하였다. 세 집단 모두 거시적인 현상을 실험을 통해 관찰하게 한 후, 통제 집단 에서는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학습하게 하였고, 그리기 집단에서는 제공된 언어적 정보에 대한 정신 모형을 그림으로 그리게 한 후, 이를 시각적 정보와 비교하게 하였으며, 쓰기 집단에서는 시각적 정보에 대한 정신 모형을 글로 쓰게 한 후, 이를 언어적 정보와 비교하게 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쓰기 집단의 개념 이해도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그리기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개념 이해도 점수에서 수업 처치와 공간 시각화 능력 사이의 상호 작용 효과는 없었다. 학생들의 수업 인식 검사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쓰기와 그리기 활동을 통해 개념 이해가 잘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일부 학생들은 쓰기와 그리기가 재미있었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디자인 학습의 프로세스적 접근을 위한 TEX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사고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development of text model)

  • 이은주;류성현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13-122
    • /
    • 1996
  • 디자인은 현재 진행형이다. 디자인이라는 어구 자체가 결과물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process)을 지칭하는 것이고 그것이 결과는 매우 다양한 응용범위를 갖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풀어가기 위해서는 디자인 문제해결의 과정을 조직화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디자인 과정의 조직화란 디자인의 외적 혹은 내적인 문제들을 파악하여 창조적이고 합리적인 프로세스를 만들어, 디자이너들의 문제 해결 자로서의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일반화와 도구화로 인한 디자인 상황의 변화는, 시간 절약 및 표현의 다양화, 디자인 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을 낳았으나,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보다는 디자인의 평가가 결과물에 치우친, 때문에 시각적인 표현 방법의 측면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었다. 따라서 진행과정으로서의 프로세스 측면이 그 중요성에 비해 간과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발견된 것’이 아닌’발견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그 기본 개념인 창조적인 사고능력 및 상상능력의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수자가 취할 수 있는 text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text 모형에 따른 학습은, 학습자에게는 ’손에 의한 표현’이전에 다루어져야 할 ’머리로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을 통해 습득하게 하며, 교수 자는 교수 자와 학습자간의 전달경로를 보다 확실히 함으로서, 너무 주관적이어서, 혹은 너무 객관적이어서 오는 오류들을 최소화하고 전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훈련과정을 모색할 수 있다.

  • PDF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서 나타난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의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Non-Computer Majors' Difficulties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 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5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Computational Thinking(CT)을 모든 대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기초연구로 컴퓨터 비전공 초보학습자들이 CT 교육 초기에 겪는 어려움을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CT를 기반으로 한 융합형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 대학에서도 CT 관련 강좌를 필수교양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T 교육의 도구로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 C대학에서 2014년 1, 2학기 동안 교양강좌를 진행하고 각 수업내용에서 비전공 학습자들이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T 학습과정에서 비전공 초보학습자들은 변수, 리스트의 개념을 가장 어려워하며,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구현하는 과정, 어떤 명령어를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순으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에 대한 재미와 흥미는 self-프로그래밍 능력과 self-CT 역량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와 같이 쉽고 직관적인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의 경우에도 명령어의 사용과 응용에 대한 적절한 학습 시간 제공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