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휘의미 중의성 해소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Disambiguation of Homograph Suffixes using Lexical Semantic Network(U-WIN) (어휘의미망(U-WIN)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접미사의 의미 중의성 해소)

  • Bae, Young-Jun;Ock, Cheol-Yo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 no.1
    • /
    • pp.31-42
    • /
    • 2012
  • In order to process the suffix derived nouns of Korean, most of Korean processing systems have been registering the suffix derived nouns in dictionary. However, this approach is limited because the suffix is very high produ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semantically the unregistered suffix derived nou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isambiguate homograph suffixes using Korean lexical semantic network(U-WIN) for the purpose of semantic analysis of the suffix derived nouns. 33,104 suffix derived nouns including the homograph suffixes in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tagged Sejong Corpus were used for experiments. For the experiments first of all we semantically tagged the homograph suffixes and extracted root of the suffix derived nouns and mapped the root to nodes in the U-WIN. And we assigned the distance weight to the nodes in U-WIN that could combine with each homograph suffix and we used the distance weight for disambiguating the homograph suffixes. The experiments for 35 homograph suffixes occurred in the Sejong corpus among 49 homograph suffixes in a Korean dictionary result in 91.01% accuracy.

The Lexical Sence Tagging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어휘의 중의성 해소를 위한 의미 태깅)

  • 추교남;우요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01-203
    • /
    • 1998
  • 한국어의 의미 분석을 위해서 의미소가 부여된 말뭉치(Sense-Tagged Corpus)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의미 태깅은 어휘의 다의적 특성으로 인해, 형태소나 구문 태깅에서와 같은 규칙 기반의 처리가 어려웠다. 기존의 연구에서 어휘의 의미는 형태소와 구문적 제약 등의 표층상에서 파악되어 왔으며, 이는 의미 데이터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기에, 실용적인 결과를 얻기가 힘들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구문과 의미적 특성을 고려하고, 용언과 모어 성분간의 의존 관계 및 의미 정보를 나타내는 하위범주화사전과 어휘의 계층적 의미 관계를 나타낸 의미사전(시소러스)을 이용하여, 반자동적인 방법으로 의미소가 부여된 말뭉치의 구축을 위한 기준과 알고리즘을 논하고자 한다.

  • PDF

Noun Sense Disambiguation Based-on Corpus and Conceptual Information (말뭉치와 개념정보를 이용한 명사 중의성 해소 방법)

  • 이휘봉;허남원;문경희;이종혁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2
    • /
    • pp.1-10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a noun sense disambiguation method based-on corpus and conceptual information. Previous research has restricted the use of linguistic knowledge to the lexical level. Since knowledge extracted from corpus is stored in words themselves, the methods requires a large amount of space for the knowledge with low recall rate. On the contrary, we resolve noun sense ambiguity by using concept co-occurrence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 automatically sense-tagged corpus. In one experimental evaluation it achieved, on average, a precision of 82.4%, which is an improvement of the baseline by 14.6%. considering that the test corpus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 learning corpus, this is a promising result.

  • PDF

Emotion Analysis Using a Bidirectional LSTM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양방향 LSTM을 적용한 단어의미 중의성 해소 감정분석)

  • Ki, Ho-Yeon;Shin, Kyung-shik
    • The Journal of Bigdata
    • /
    • v.5 no.1
    • /
    • pp.197-208
    • /
    • 2020
  • Lexical ambiguity means that a word can be interpreted as two or more meanings, such as homonym and polysemy, and there are many cases of word sense ambiguation in words expressing emotions. In terms of projecting human psychology, these words convey specific and rich contexts, resulting in lexical ambiguit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motional classification model that disambiguate word sense using bidirectional LSTM.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f th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context is fully reflected, the problem of lexical ambiguity can be solved and the emotions that the sentence wants to express can be expressed as one. Bidirectional LSTM is an algorithm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requir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is also intended to be used in this study to learn context. GloVe embedding is used as the embedding layer of this research model, and the performance of this model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model applied with LSTM and RNN algorithms. Such a framework could contribute to various fields, including marketing, which could connect the emotions of SNS users to their desire for consumption.

The cerebral activation related to Korean word ambiguity: MEG study (한국어 어휘의 중의성 해결과 관련된 대뇌활동: MEG 연구)

  • Yu, Gi-Soon;Kim, Choong-Myung;Kim, June-Sic;Chung, Chun-Kee;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61-65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중의성 해결과정에 관련된 대뇌활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MEG(magnetoencephalography)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기존의 중의성 관련 fMRI 실험 결과들이 MEG를 이용한 신호원 국소화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본 실험의 주요 목적인 중의성 관련 처리과정에 기저하는 하위 처리과정이 어떠한 기능적 처리 요소들로 분해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시간 해상도가 높은 MEG의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중의어 해소과정의 하위처리 과정은 어휘의미 접속이라는 기본적인 과정 비에, 이들의 의미분지를 유발하는 단서의 유무가 그 활성화 영역의 시간적인 패턴과 중의성 해결을 위한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tatistical Word Sense Disambiguation based on using Variant Window Size (가변길이 윈도우를 이용한 통계 기반 동형이의어의 중의성 해소)

  • Park, Gi-Tae;Lee, Tae-Hoon;Hwang, So-Hyun;Lee, Hyun A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40-44
    • /
    • 2012
  • 어휘가 갖는 의미적 중의성은 자연어의 특성 중 하나로 자연어 처리의 정확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이러한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언어적 규칙과 다양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의미적 중의성을 가지고 있는 동형이의어의 의미분별을 위해서는 주변 문맥이 가장 중요한 자질이 되며, 자질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맥 창의 크기는 중의성 해소의 성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분별과정에 필요한 문맥을 가변적인 크기로 사용하는 가변길이 윈도우 방식을 제안한다. 세종코퍼스의 형태의미분석 말뭉치로 학습하여 12단어 32,735문장에 대해 실험한 결과 용언의 경우 평균 정확도 92.2%로 윈도우를 고정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Noun and Verb Polysemy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UWordMap (어휘지도(UWordMap)를 활용한 명사와 용언의 다의어 중의성 해소)

  • Shin, Joon-Choul;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16-219
    • /
    • 2015
  • 컴퓨터를 이용하여 명사와 용언의 의미를 자동으로 분별하는 것은 기계번역이나 검색 등의 기술에서 아주 중요한 기반 기술이다. 최근에 동형이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 결과로 약 96%의 정확률을 보이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다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일부 어휘만을 한정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휘지도를 이용하여 다의어를 분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어휘지도에 등록된 모든 일반 명사와 용언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문장에서 나타나는 명사와 용언의 관계를 어휘지도에서 찾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다의어를 분별하였다. 아직은 그 정확률이 실용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전체 다의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다의어 분별 연구 방향에 도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omonym Disambiguation using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한 동음이의어 중의성 해소)

  • Hur Jeong;Jang M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38-5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평균 상호정보량에 기반하고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한 동음이의어 중의성 해소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평균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방법은 사전의 뜻풀이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의 자료부족문제를 완화시킨다. 복합명사 의미사전은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단일영사들의 의미제약 관계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기 구축된 복합명사 의미사전은 어휘 의미 중의성의 정확률을 향상시키고, 연산 시간을 줄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평균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62.04\%$의 정확률로 LESK의 방법에 비해 $6.06\%$의 향상이 있었고,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하였을 때는 $68.13\%$의 정확률로 $12.76\%$의 정확률 향상이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ing Korean WordNet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자동 수화 번역 시스템의 개발)

  • Kim, Minho;Choi, Sung-Ki;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58-1361
    • /
    • 2013
  • 한국어와 한국 수화 간 자동 번역을 위해서는 한국어-한국 수화 대역어 사전이 필요하지만, 현재 한국 수화 사전으로 가장 공신력 있는 한국 수화 사전은 등재 어휘 수가 약 12,000개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한국어를 한국 수화로 자동 번역을 할 때 대치어가 없어 완벽하게 번역이 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화 사전의 미등재어로 말미암은 번역률 저하를 최소화하고자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동의어와 상 하위어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자동 번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의 중의성 문제도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정보를 이용하여 어의 중의성 해소 규칙을 일반화한다.

Derived Nouns of Suffixes Disambiguation using User-Word Intelligent Network (UWIN을 이용한 접미파생명사 중의성 해소)

  • Bae, Young-Jun;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32-435
    • /
    • 2012
  •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언어처리의 필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현재의 언어처리 기술은 의미분석에 기반하지 않음으로써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분석의 일환으로 접미사의 중의성 해소를 위해 한국어 사용자 어휘지능망(U-WIN)을 이용한 접미파생명사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세종 말뭉치에서 중의성 접미사를 포함한 32,647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접미사 앞의 어근을 추출하여 U-WIN과 매핑되는 노드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이를 접미사 중의성 해소에 사용한다. 동형이의 접미사 49종 중 세종말뭉치에 나타난 25개의 동형이의접미사만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1.83%의 정확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