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휘의미망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Construction of Semantic Networks for Korean "Cooking Verb" Based on the Argument Information. (논항 정보 기반 "요리 동사"의 어휘의미망 구축 방안)

  • Lee, Sukeui
    • Korean Linguistics
    • /
    • v.48
    • /
    • pp.223-2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semantic networks of the 'cooking class' verb (based on 'CoreNet' of KAIST). This proceedings needs to adjust the concept classification. Then sub-categories of [Cooking] and [Foodstuff] hierarchy of CoreNet was adjusted for the construction of verb semantic networks. For the building a semantic networks, each meaning of 'Cooking verbs' of Korean has to be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the Korean 'heating' verbs and 'non-heating'verbs. Case frame structure and argument information were inserted for the describing verb information. This paper use a Propege 3.3 as a tool for building "cooking verb" semantic networks. Each verb and noun was inserted into it's class, and connected by property relation marker 'HasThemeAs', 'IsMaterialOf'.

Collecting and Analyzing Color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Semantic Information Model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한 색채정보의 수집과 정량적 분석)

  • Lyu, Ki-Gon;Sun, Dong-Eo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32-235
    • /
    • 2011
  • 지식표현은 일반적으로 논리, 규칙, 프레임 또는 의미망 형태로 표현되며, 최근에는 의미망을 이용한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표현 방법은 개념을 설명하는 문맥적인 정보나 개념들 간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념에 대한 지식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지식표현에 사용되는 의미정보는 사람에 의해 수집되고 정제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의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색채는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 연상, 상징 등 객관적인 특징 뿐 아니라 시대, 나라, 문화와 같은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색채를 이용한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해, 색채정보를 수집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긍정/부정/불안/중립으로 구성된 감성어휘 273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한 결과 총 130,94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미지에는 여러 가지 사물, 행동, 배경, 색채 등 다양한 정보가 혼재되어 있어 감성어휘와 연관된 색채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용자 태그를 별도로 수집하였다. 태그는 총 2,836,395개를 수집하였고 각 이미지와 그룹에서의 가중치를 구하였다. 태그의 가중치를 통해 이미지가 그룹 내에서 갖는 중요도를 판별하였고, 각 그룹 별로 상위 3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대표 색채를 분석하였다.

The Extraction of Head words in Definition for Construction of a Semi-automatic Lexical-semantic Network of Verbs (동사 어휘의미망의 반자동 구축을 위한 사전정의문의 중심어 추출)

  • Kim Hae-Gyung;Yoon Ae-Sun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10 no.1
    • /
    • pp.47-69
    • /
    • 2006
  •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of interests concerning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a Korean thesaurus. In this paper, a semi-automatic method for generating a lexical-semantic network of Korean '-ha' verbs is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lexical definitions of these verbs. Initially, through the use of several tools that can filter out and coordinate lexical data, pairs constituting a word and a definition were prepared for treatment in a subsequent step. While inspecting the various definitions of each verb, we extracted and coordinated the head words from the sentences that constitute the definition of each word. These words are thought to be the main conceptual words that represent the sense of the current verb. Using these head words and 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reation of a thesaurus could be achieved without any difficulty in a semi-automatic fashion.

  • PDF

A Review of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통합의학언어 시스템(UMLS)의 구성 및 적용에 대한 고찰)

  • Kim, Hye-S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2
    • /
    • pp.26-39
    • /
    • 2001
  • Various controlled vocabularies such as thesaurus and classification used for effective information retrieval contain different terms in expressing the same concept or meaning.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as developed the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to solve the problems of information retrieval and integration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concepts between different sources. The UMLS development was initiated in 1982 as a long-term project, and the 2001 edition of the UMLS consists of three parts : Metathesaurus, Semantic Network, and SPECIALIST Lexicon. This paper reviews background and structure of the UMLS including applications in PubMed, NLM Gateway.

  • PDF

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using User-Word Intelligent Network (사용자 어휘지능망을 이용한 의미적 정보검색)

  • Kim, Chang-Hwan;Im, Ji-Hui;Choe, Ho-Seop;Yoon, Hwa-Mook;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57-160
    • /
    • 2006
  • 웹 자원이 방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정확하게 제시하느냐가 정보검색시스템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동형이의어만을 질의어로 이용한 검색 결과는 동형이의어 각 의미에 관련된 문서가 혼재되어 있거나, 특정 의미에 관련된 문서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사용자 어휘지능망(U-WIN)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어의 모호성을 해결하고 의미적 정보검색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전문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동형이의어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동형의어를 구번하여 질의어로 선정하고, '질의어+상위어' 형태의 확장 질의어에 대해 두 개의 포탈사이트(Google, Naver)를 대상으로 웹 문서를 검색하여 정확률이 각각 81.5%(Naver), 65.5%(Google)로 나타났다.

  • PDF

Summary Generation of a Document with Out-of-vocabulary Words (어휘 사전에 없는 단어를 포함한 문서의 요약문 생성 방법)

  • Lee, Tae-seok;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30-531
    • /
    • 2018
  • 문서 자동 요약은 주요 단어 또는 문장을 추출하거나 문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요약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대량의 문서를 딥러닝하여 요약문 자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추출 요약이나 생성 요약 모두 핵심 단어를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할 때 각 단어가 문장에서 출현한 패턴으로부터 의미를 인식하고 단어를 선별하여 요약한다. 결국 기계학습에서는 학습 문서에 출현한 어휘만으로 요약을 한다. 따라서 학습 문서에 출현하지 않았던 어휘가 포함된 새로운 문서의 요약에서 기존 모델이 잘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단계에서 출현하지 않은 단어까지도 중요성을 인식하고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는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Word Embedding using Semantic Restriction of Predicate (용언의 의미 제약을 이용한 단어 임베딩)

  • Lee, Ju-Sa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81-183
    • /
    • 2015
  •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딥 러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연어 처리에서 딥 러닝의 성능 향상을 위해 단어의 표현이 중요하다. 단어 임베딩은 단어 표현을 인공 신경망을 이용해 다차원 벡터로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word2vec의 Skip-gram과 negative-sampling을 이용하여 단어 임베딩 학습을 한다. 단어 임베딩 학습 데이터로 한국어 어휘지도 UWordMap의 용언의 필수논항 의미 제약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했으며 250,183개의 단어 사전을 구축해 학습한다. 실험 결과로는 의미 제약 정보를 이용한 단어 임베딩이 유사성을 가진 단어들이 인접해 있음을 보인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utational Model Simulating Language Phenomena in Lexical Decision Task (어휘판단 과제 시 보이는 언어현상의 계산주의적 모델 설계 및 구현)

  • Park, Kinam;Lim, Heuiseok;Nam, Kich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2
    • /
    • pp.89-99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computational model which can simulate peculiar language phenomena observed in human lexical decision task. The model is designed to mimic major language phenomena such as frequency effect, lexical status effect, word similarity, and semantic priming effec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 model replicated the major language phenomena and performed similar performance with that of human in LDT.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세종 전자사전과 준지도식 학습 방법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 Kang, Sangwook;Kim, Minho;Kwon, Hyuk-chul;Oh, Jyhy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2
    • /
    • pp.107-112
    • /
    • 2016
  • The Sejong Electronic(machine-readable) Dictionary, developed by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systematically organized information on Korean words. It helps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electronic formatting of the still-commonly-used hard-copy dictionar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has a limitation relate to sentence structure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This paper discuses the limitations of word-sense disambiguation(WSD) that uses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d selection-restricted nouns from the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An alternative method that utilized semi-supervised learning, the chi-square test and some other means to make WSD decisions is presented her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