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 행동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6초

아버지의 아동발달의 이해 및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어머니와의 비교를 통하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growing of child and activity of bringing up in father - by comparing mother's -)

  • 현정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1-180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tudy how the understanding of growing of child to be related with recognizing the role of parents and activity of bringing up, and at the same time verifying a part of father through reviewing difference view with mother's. Object of investigation were 396 members of parents who have babies in infancy (177 members of fathers and 219 members of mothers. ).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father has stronger confidence than mother in the role of parents relatively, but he does not understand as much as mother does in growing of child, and is not active enough in bringing up, keeps less intimate relationship with his child and does not affect on his child than mother does. And father who has more understanding on growing of child has also more positive activity in bringing up child. We can get one conclusion from this research, now a days it is seriously required for a father to participate more corporately in bringing up his child, we should do support more effort to let father gets better and right understanding in growing of child and building-up more effective and positive relation with his child.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 Relation to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s a Mediator)

  • 이보미;신나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477-48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academic procrastination. It also examined the rol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mediating these effects. The sample comprised 372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Korea. Each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reas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teachers' support did not. In other words,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tended to exhibit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Regarding indirect paths,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displayed greater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corresponded to lower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vital role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and teachers in enhancing children's feelings of effective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couraging them to complete academic task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not only outward behavioral factors but also the underlying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delaying behavior that underpi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autonomy support of mothers and teacher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간의 종단적 관계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 배아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7-7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through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rom 2008 to 2010 and the participants were 1,444 mothers with infa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s using SPSS 28.0 and AMOS 26.0. Result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gradually increased,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gradually decreased. Having a lot of parenting knowledge reduced mother's parenting stress. Mother's parenting stress reduc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s parenting stress increas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promot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long with the systematiz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for mothers with infants to acquire parenting knowledge.

어머니의 반영기능과 유아의 공감능력, 실행기능,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Reflective Function,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s, and Caring Behaviors)

  • 이윤정;임지영;안선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177-18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reflective function,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caring behavior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98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Mothers' reflec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PRFQ). Preschoolers' empathy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QCA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Behavioral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s-Preschool Version(BRIEF-P), and caring behaviors were assessed by the caring behaviors scale(Kim,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flective function showed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and caring behaviors. Second, the preschoolers' empathy and executive function showed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caring behaviors. Third, preschoolers' empath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reflec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caring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and caring behaviors.

유아의 행동억제가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자율성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in Young Children on Self-Determination: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Autonomy Support)

  • 김지효;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7-113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inhibition on self-determination, examin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autonomy support.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5 mothers with children aged 6 yea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for basic analysis. The research model used the Process Macro 4.0 program. Results: The higher the level of behavioral inhibition, the lower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Furthermore, a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when parenting anxiety was added. However, in the single mediation model and the sequen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autonomy support was added, the direct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temperament and parenting anxiety on self-determination disappeared. As a result, behavioral inhibi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autonomy support. Conclusion/Implications: If a mother with a child with a behaviorally inhibited temperament properly handles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during parenting based on her understanding of the child and supports the child to have a high degree of autonomy, she can enhance the child's right to self-determination.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모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on th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 홍현정;신나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337-349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A total of 372 mothers of preschoo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adult attachment,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Adult attachment was analyzed by distinguishing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Parenting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For the main analyses, Preacher and Haye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examine ser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only mediated the effect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otab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or either positive or negative parenting behavior. By contras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void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se findings elucidate the predictive factors for parenting behavior within a process model framework,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aimed at enhancing mothers' parenting practice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 보호자의 우울, 불안, 감정표현불능, 스트레스반응 (Depression, Anxiety, Alexithymia, Stress Response in Caregiver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 정종현;홍승철;한진희;이성필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2호
    • /
    • pp.95-101
    • /
    • 2005
  • 연구목적 : 부모의 정신병리가 아동의 적응기능과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우울한 어머니는 자녀들의 행동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판단하며, 더욱 비판적이며 강압적인 양육방식을 취하게 되어 모자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저자들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환아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우울, 불안, 감정표현불능, 스트레스반응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환아 38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와 성별을 맞춘 16명의 자원자를 건강대조군으로 하였다. 환아 보호자군과 건강대조군에 대하여 Beck의 Beck Deper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aylor의 Tronto Alexithymia Scale (TAS), 고경봉의 스트레스반응척도(SRI)를 사용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1) 환아 보호자군과 대조군의 BDI 평균점수는 각각, $16.4{\pm}7.1,\;10.9{\pm}5.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p=0.011), BDI 점수 21점을 절단점으로 하여 21점 이상을 우울증이 있다고 했을 때, 환아 보호자군에서는 7명(18.4%)이 해당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해당되는 경우가 없어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21). 또한 우울증이 있는 보호자의 자녀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516배 높았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신뢰구간=$1.235{\sim}1.862$). 2) 환아 보호자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반응척도의 평균점수는 각각, $44.2{\pm}20.2$점, $26.5{\pm}16.8$점이었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6). 3) 상태불안척도 및 특성불안척도, 감정표현불능척도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상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군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많은 우울증상과 높은 정도의 스트레스반응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치료적 접근에 있어서 환아보호자의 정신병리에도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청소년의 소비자 의식과 의복구매행동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Adolescents by the Consumer Awareness)

  • 김종희;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8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중ㆍ고등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소비자의식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소비자의식 유형은 권리의식, 소비자정보의식 브랜드지향의식, 책임의식의 4개 요인에 따라 실리지향, 상표지향, 소비자의식지향의 3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실리지향 집단은 소비자의 권리의식, 소비자정보, 책임의식은 보통 정도이나 브랜드지향의식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상표지향 집단은 권리, 소비자정보, 책임의식은 낮으나, 가격과 상표에 대해서는 관심이 높게 나타났고, 소비자의식지향 집단은 소비자의 권리의식이 강하고, 소비자정보를 많이 탐색하며, 가격과 상표를 중요시하지 않고, 책임의식도 높게 나타났다. (2)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들이 소비자정보의식과 브랜드지향의식, 책임의식이 높으며, 한달 용돈이 7만원 이상인 집단은 7만원 미만인 집단보다 권리의식은 낮고, 브랜드지향의식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가 농림ㆍ 생산직에 종사하는 청소년들이 권리의식은 높게, 소비자정보의식은 낮게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전문ㆍ 행정ㆍ사무직에 종사하는 청소년들은 소비자정보의식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자녀는 다른 집단에 비해 브랜드지향의식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3) 의복을 구입하는 주된 동기는 필요에 의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 정도가 계획구매를 하고 있으며, 주로 의류전문쇼핑몰을 이용하고, 의복에 대한 정보는 ´제품´, ´가족 친구의 조언´에서 주로 얻고 있었다. 의복 선택 시 중요한 요인은 디자인 가격, 어울림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매 후 불만으로 가격, 서비스, 바느질상태를 표시하였고, 실제로 불평행동을 하는 청소년은 42%로 친지나 친구에게 불만스러웠던 점에 대해 불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의복구매행동현인의 요인분석에서 구매정보원은 ´중립적 정보원´, ´개인적 정보원´, ´상업적 정보원´, 구매선택은 ´조화´, ´유행´, ´관리성´, 불만원인은 ´외관´, ´품질´, ´서비스´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5) 소비자의식형 집단은 개인적, 상업적 정보를 많이 활용하였으나 상표지향형 집단은 정보원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의복 선택요인으로는 소비자의식 집단은 조화와 관리성을 중시하나 상표지향집단과 실리지향집단을 관리성에 관심이 낮았다. 의복구매장소로 실리지향집단은 양품ㆍ보세점과 의류도매상가를, 상표지향 집단은 의류전문쇼핑몰이나 유명상표 대리점을, 소비자의식지향 집단은 의류전문쇼핑몰이나 상설할인매장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소비자의식 집단은 사적, 또는 직접 구매 후 불평행동을 많이 취하고 실리지향 집단은 거의 불평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들이 인식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들의 음주, 흡연, 약물남용과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Percieved Parenting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Drinking, Smoking and Substance Use)

  • 강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7-36
    • /
    • 1997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식한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음주, 흡연, 약물남용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고등학교 2학년(95년도) 남학생들의 음주상태는 37.3% 정도가 가끔이나 자주 맥주정도의 음주를 하고 있으며, 9.5%정도가 독한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음주 46.8%). 흡연을 하는 것으로 15.8%가 가끔이나 꽤 자주 나타났고, 약물남용은 1%미만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18%가 음주경험을 1.5%가 가끔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물남용은 0.8%가 가끔, 남학생 0.8%가 꽤 자주 한다고 보고하였다. 2.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음주,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녀가 인지한 부모양육태도와 자녀의 음주, 흡연, 약물남용 행동과의 관계는 통제적이거나 거부적일 때 음주 행동이 많았고, 통제적이거나 과보호일 때 흡연이 많았다. 허용적인 태도, 거부적인 태도와 음주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통제적인 태도, 거부적인 태도는 흡연과 상관관계가 있다. 약물남용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평등적인 양육태도는 음주와 흡연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있어서는 통제적, 거부적인 태도가 맥주정도의 음주와 독한 술 음주는 거부적인 태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과 음주는 평등적인 양육태도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음주, 흡연, 약물남용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역 초등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Mothers' consum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influences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in kyungpook province)

  • 서재화;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초등학생 자녀의 식행동-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2명과 그들의 부모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SAS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신뢰도 검증, 교차분석,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자녀의 식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 섭취빈도, 긍정적인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공식품을 구매할 때 부모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도 합리적인 소비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자녀의 가공식품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 역시 부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가공식품 기호도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씨리얼류(p<.05), 패스트푸드(p<.001), 탄산음료(p<.001)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부모의 가공식품 섭취빈도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탄산음료(p<.05)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특히, 자녀의 가공식품 섭취빈도는 부모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는데, 부모의 가공식품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자녀가 과일류(p<.001)와 유제품류(p<.05)는 적게 섭취하는 반면, 씨리얼류(p<.001), 면류(p<.001), 분식류(p<.01), 과자류(p<.001), 탄산음료(p<.01), 패스트푸드(p<.01)는 더 자주 섭취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은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 행태가 자녀들의 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들의 현명한 식품선택과 소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령기 어린이들의 건강한 식생활과 합리적인 식품선택을 위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