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양육 특성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틱 장애아(障碍兒)들의 동반 정신병리(同伴 精神病理)와 부모양육태도(父母養育態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PARENTAL BEHAVIORS IN TIC DISORDER CHILDREN)

  • 김자성;이정섭;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50-16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83명의 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임상적인 특성(성별빈도 차이, 형제순위별 특성, 동반 행동문제, 스트레스 정도 등)을 살펴보았고, 아동 행동조사표(CBCL)과 어머니 양육태도 검사(MBRI)를 이용하여 동반된 행동문제의 정도와 어머니 양육태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DSM-III-R별 진단에 따른 차이, 주의집중문제의 동반효과 등에 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자가 5.9 : 1로 많았다. 2) 형제순위별로는 첫째가 막내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맏이 : 막내 : 외동=4.7 : 1.7 : 1) 3) 형제순위별로 발병시기에서는 맏이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4) 틱 장애에서 대조군보다 동반된 행동문제가 유의하게 많았다. 5) 틱 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대조군의 어머니들보다 더욱 증오적, 거절적이었고, 아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6) 뚜렛 장애 아동이 만성 틱 장애 아동에 비해 동반된 행동문제가 더 심하지는 않았다. 7) 주의집중 문제가 동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다른 행동문제가 더 심했다. 8) 가족력이 있는 경우일수록 뚜렛장애 진단이 더 많았다.

  • PDF

유아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언어적 학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Verbal abuse of Early Children Mother's)

  • 박동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368-437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언어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 간에 경로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함으로써 언어적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7일부터 12월 25일까지 D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2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x^2$통계량은 99.603(0.000), GFI는 .960, AGFI는 .905, CFI는 .912, IFI는 .913, NFI는 .899, SRMR는 .706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 표현은 언어적 학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언어적 학대 요인으로 확인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분노를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한 '좋은 영아교사'의 의미탐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others of Double-Income Families with Infants about a Good Teacher for Infants)

  • 강소영;전숙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7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교사와 어머니의 직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맞벌이 어머니의 시각에서 바라본 '좋은 영아교사'란 무엇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N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 6명이며 2011년 2월 26일부터 2011년 3월 13일까지 총 2회의 개별적인 만남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녹음, 현장노트, 활동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이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 같은 교사', '아이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노력하는 교사', '신나게 놀아주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엄마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의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양육적인 지식에 도움을 주는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자신의 측면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한결같은 교사', '진실성을 지닌 교사', '전문성을 지닌 교사', '상호 협력적인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만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특성 및 부부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ing Style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Characteristics of Paren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9-61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and parenting styles of these mothers,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to analyze relevant variable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Data on a total of 1,704 mothers from the 2011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analysed. Firs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yle, marital conflict, and husband's coopera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arital conflict. Second,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followed by marital conflic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arents'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harmony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fo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 김기원;도현심;김상원;이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01-11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using a sample of 502 mothers (207 employed and 295 nonemployed mothers) who had 1st and 2nd grade childr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employmen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less parenting stress when they perceived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higher spousal support. Lastly, spousal support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stronger for the high spousal support group than for the low spousal support group.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Parents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on Problem Behaviors)

  • 송민정;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17-12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o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36 mothers, who had children aged 5-7 in Chungbuk area.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zed using SPSS program(version 12.0) and AMOS program(version 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other's neuroticism,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directly influenced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effect of mother's neuroticism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fluenced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irectly, but mother's neuroticism and young children's stress did not. The effect of mother's neuroticism on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어머니의 5요인 성격특성과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othe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layfuln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 한지현;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73-188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the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layfuln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7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3-6 years old.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PAS(Playfulness Scale for Adults) and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the mother'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neuroticism(N) in the mothers resulted in lower levels of warmth acceptance(W A) in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extroversion(E), openness(O), agreeableness(A), and conscientiousness(C)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W A.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of the mo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playfulness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W A. and lower levels of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P N) and rejection restriction(R R). Second, N, E, C, and a maternal sense of humor had an effect in W A. C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P N and N was observed to have an effect in R R.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 과정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n Children's Happines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최은아;정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61-29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6명이었고, 2회에 걸친 1:1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의 개방코딩, 축코딩의 패러다임 분석,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은 분리되지 않은 욕망을 따라가기, 나의 욕망과 아이의 행복 돌아보기, 얽혀있는 욕망을 조정하기, 아이와 나의 행복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은 어머니의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시간체계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가 자녀의 행복 의미를 구성해 가는 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관,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태도 및 행동과의 상호작용 특성, 행복 의미 구성에의 영향성을 논의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특성들과 초등학생 아동의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r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net Use)

  • 김현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61-874
    • /
    • 200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r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net use, and to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in which parents learn how to educate their children for better use of the Internet. The subjects were 713 children whose grade are in fourth through sixth in an elementary school. Data were obtained with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employed were Children's Internet Use and Addiction, and maternal rearing behavior characteristics-Rational Guidance, Affection, Authoritarian Control, Overprotection, Achievement Encouragement, and Active Involvement-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They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OVA, Duncan'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0.2% of the subjects has used Internet for more than three years. 55.6% of the subjects spend less than an hour per day in using the Internet. The two major types of Internet use were playing games(49.9%) and sending e-mails(25.4%). The main reason for playing Internet games was escape from stress(34.7%). 34.5% of the subjects also said that their parents usually encourage them to use the Internet. Second, maternal affection, authoritarian control, and active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ypes of Internet use. Maternal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easons of doing Internet game. The rational guidance and active involvement of mothers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ren's Internet using time, but their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children's Internet using time. Maternal overprotection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arents' encouragement level in the Internet use. Third, the rational guidance, affection, and active involvement of mothers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In the other hand, maternal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Lastly,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s of Internet Use and the reasons for doing internet game. Children's Internet using time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 PDF

자폐아동을 위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 이소우;홍강의;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198-208
    • /
    • 2000
  •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S대학교병원 애착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7쌍, 참여하지 않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4쌍이었다. 6개월 간격으로 2회, 비디오 촬영법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Wilcoxon Rank(Sign) Sum Test로 모-아애착, 양육행위, 자폐적인 행동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같은 기간 비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일치성을 제외한 근접성, 상호성, 정감성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p<.05). 접촉유지, 차별적, 애정적 행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공감적, 일치적, 합동주시 행동의 변화는 적었고 아동간에 개별차가 컸다. 아동의 성장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행위도 참여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그룹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애착행동의 증진은 또한 자폐적 행동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모-아애착 증진 프로그램이 자폐아동들의 사회적 행동의 증진 뿐만 아니라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유용한 조기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