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머니들

Search Result 5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mothers' beliefs on early English education between ESL and EFL contexts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거주 어머니의 신념 비교연구)

  • Song, Seung-Min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4 no.5
    • /
    • pp.749-760
    • /
    • 2005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한국 어머니들의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을 분석하며, EFL 환경과 ESL 환경에 있는 어머니들의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함으로써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이 환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자 한다.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영어권 나라에 거주하는 한국 어머니와 한국에 거주하는 어머니의 신념을 비교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에서 인구학적 배경이 비슷한 16명의 어머니를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각기 다른 환경에 거주하고 있는 두 그룹의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을 영어교육에 대한 동기, 교육방법, 제2외국어 습득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체로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영어조기교육에 대해 긍정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교육시기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의견을 보였고, 영어교육의 목적은 학업적인 성취보다는 세계화된 시대를 살기위한 기본적이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이라는 신념을 보였다. 반면, 한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은 미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에 비해서 가정에서 직접 자녀에게 영어를 가르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고, 미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은 한국 거주 어머니들에 비해 문해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실제적인 지도를 많이 행하고 있었다.

  • PDF

Story of Mothers'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아해 사랑' 어머니 양육 공동체 이야기)

  • Ahn, Hyo Ji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5
    • /
    • pp.299-319
    • /
    • 2014
  • This study explored the low-income mothers' view about the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The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was formed by the members who participated in Seesawswing parenting education since 2009.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members of "love of Children" out of 51. Using content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in the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were proud of graduating from Seesaw swing parenting education. The sense of accomplishment made them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child rearing community. Second, the members of the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did several activities, such as getting-along, sharing information, serving children and mothers in thelocal community, and learning about child caring. Third, mothers in the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thought that this group gave them opportunities to think reflectively about themselves and to experience meeting with others. Also, they thought that it gave them a sense of empowerment.

A Study on the Personality Types, Rearing Attitudes of the Gifted Children's Parents (영재아 부모의 성격유형과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 Ha, Jong-Du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2
    • /
    • pp.293-311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w parents personality type and rearing attitude are different between parents of normal children and those of gifted children. For the study, MBTI test 3nd personality type test were carried out towards 186 elementary schoolers' mot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0.0 with the significance level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had in trovert personality more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on the other hand, showed more extrovert personality than those of gifted children. In addition, comparing to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showed intuition type and judging type. However,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had more perceiving one. Second,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showed more acceptive and self-regulating attitude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showed more rejecting and controlling attitude.

Adolescent-Mother Discrepancies in Perceptions of Patenting And Adolescent Adjustment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한 청소년과 어머니의 지각 차이와 청소년의 적응)

  • Joo, Chyung-Y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9
    • /
    • pp.109-12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 행동에 대한 청소년과 어머니간의 지각 차이와 청소년의 적응을 연관시켜 고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참여자들은 미국 동부 소도시에 거주하는 82명의 9 학년 남녀 학생과 어머니들이었다. 자료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는 어머니들이 청소년 자녀들보다 자신의 자녀 양육 행동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청소년의 적응을 어머니와의 지각 차이에 따라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을 어머니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어머니 보다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 보다 문제 행동을 하는 경향이 낮았으며, 자신감은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어머니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에 비해 어머니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청소년과 어머니간의 지각 차이가 측정 상의 문제만이 아닌 청소년 발달과 연관 있는 요인임을 지적한다. 그리고, 지각 차이를 연구할 때는 그 차이의 크기 뿐 아니라 청소년과 어머니 중 어느 편의 지각이 더 부정적인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arent-child Emotional Reactions to Task Results Using a Computer-based Observational Assessment (아동 수행 결과에 대한 부모-자녀 정서 반응 비교 문화 연구 - 컴퓨터 행동관찰 분석기법 활용 -)

  • Nam, Eun 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9 no.6
    • /
    • pp.225-243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 과제 수행 이후에 보이는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반응이 문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미국 서북부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 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였고 각 가정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 반응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초 단위 행동 분석 결과 아동이 과제에 실패했을 때 한국계 어머니들과 아동들의 긴장과 불안 행동이 미국 백인 어머니들과 아동들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아동의 과제 실패시, 어머니들의 부정적인 정서표현도 한국계 이민자 가정에서 더 많이 표출되었다. 아동들이 과제에 성공했을 때는 미국 백인 어머니들과 아동들이 좀 더 긍정적인 정서 반응을 많이 하였고 특히 백인 어머니들이 적극적 칭찬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흥미 있게 아동들의 과제 성공 후에도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어머니들이 부정적인 정서 표출이 더 많았다. 자녀의 성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계 이민자 가정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미국 백인 가정의 부모들이 남자아이들에게 더 긍정적인 정서 표현을 보였다.

  • PDF

The Relations of Maternal Beliefs about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to Maternal Well-Being (취업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영아의 보육이 어머니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Chang, Young Eu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7 no.3
    • /
    • pp.101-116
    • /
    • 2006
  • 본 연구는 모성취업에 대한 태도에 따른 영아보육의 특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취업 중이거나 학교를 다니는 809명의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자녀가 생후 1개월, 6개월, 그리고 15개월일 때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성취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어머니들은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더 나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으며, 개별 보육보다 시설 보육을, 그리고 더 많은 시간의 보육을 이용하였다. 이들 어머니들은 자녀들이 친인척에 의해 보육되는 경우(relative care)보다 보육시설(child care center)을 이용할 때 더 낮은 수준의 역할 긴장과 높은 수준의 취업결정 만족감을 나타냈다. 보다 부정적 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은 가정보육(child care home) 이용시 역할긴장 수준이 낮았다. 영아들이 생후 6개월 무렵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보육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취업 결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나 15개월에는 부정적 태도의 어머니에게만 이 관계가 유의했다.

  • PDF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필요성과 탐색 행동연구)

  • Lee, Hanseul Stephani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1
    • /
    • pp.209-228
    • /
    • 2017
  • Previous studies have noted mothers' roles as active health information seekers, health managers, and caregivers for their family member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Using paper-based surveys, this study found that vaccination, child dental health, parenting, nutrition and diets, and physical exercise were ranked as the five most important health topics by the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0 to 10 years old in this sample.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of boys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wo topic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rls: circumcision (t=3.16, p < .01) and breastfeeding (t=2.47, p < .05). Also, age of child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others' information needs in three health topics: child dental health (F=5.292, p < .01), physical exercise (F=7.107, p < .01), and child skin care (F=5.640, p < .01). Implications for developing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re also discussed.

Culturally Responsive Construct of Meta-Parenting : Validation of Korean Meta-Parenting Questionnaire (메타양육 척도(K-MPQ)의 타당화 연구)

  • Han, You-M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21 no.4
    • /
    • pp.499-50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Hawk(2007)이 자녀 및 양육과 관련된 부모의 의도적 사고로 제시한 메타양육(MPQ) 척도를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원래 MPQ에는 예상, 평가,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 등 4개의 요인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상 요인과 반성적 사고 요인이 같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들은 미국 어머니보다 메타양육 수준이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예상과 반성적 사고 요인에 더 높은 점수를, 그리고 문제해결에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K-MPQ는 상당히 안정적 구조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한국 어머니들의 메타양육 요인들은 대체로 양육신념 및 양육실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A Study on the Image Type of the Korean Traditional Child Rearing: Focused on Mothers with Infancy and Early Childhood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 Kim, Eun Ju;Lee, Young Kyoung;Yeon, Hee Jo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5
    • /
    • pp.273-298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types of the traditional child rearing by mothers with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rough Q-methodology. To conduct that, Q-group was first formed from mothers who raised their child in traditional way after their brainstorming about the method and interviewing them. Based on the subject's shared statements, Q-standard was made with 40 subjects. The 40 subjects were asked to grade each statement from one to nine and then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y QUANL program. The image typ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There were 'Type 1: Relationship-oriented parenting through harmony' 'Type 2: Archetypal Parenting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values,' 'Type 3: Practice-oriented Parenting to respect life,' and 'Type 4: Attachment Parenting modern variants necessary.' This study serves as a momentum to see the impact of traditional child rearing on modern child upbringing by examining mother's viewpoints on traditional child rearing.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 Chung, Duk-Ho;Park, Seon-Ok;Yoo, Hyo-Hyun;Park, Jeong-Ju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561-57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in respect to giftedness compared to the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SRBCSS-R)". For that, a survey of 18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and 32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giftedness. The words and frame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connected giftedness with reading, science, making something, etc..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connected giftedness with problem, solving problem, mathematics, etc. in words analysis.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have a strong connection with category on creativity, motivation, etc..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were more inclined towards the category on learning, motivation, etc. in frame analysis. That is to say,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are perceptive about giftedness respect to some elements as the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 on the giftedness. Therefor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giftedness in respect to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is required and parent education is needed for appropriate science gif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