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 병원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시 어린이 전문병원 외래진료부의 공간구성방식과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Methods of O.P.D & the Construction of Healing Environment on O.P.D Waiting Area in Children's Hospital in Seoul Metropolis)

  • 김건형;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7-48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lements of a healing environment of the waiting rooms in outpatient clinics of children' hospitals (3 hospitals in Seoul) so as to propose a design to build a healing environment within the children' hospital.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waiting rooms, this paper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The study shows that the space structure of outpatient clinics in children' hospitals are composed of 1 story or 2 stories and designed in a duplication design or a dispersed alcove design. 2)The waiting room of the SC Hospital, with an area of 66.56$m^2$, and the waiting room of the SU Hospital, with an area of 38.78$m^2$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r its space. 3)As most patients visit the hospital with their guardian, the waiting room should also be someplace families can rest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4)It is essential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eliminates stress elements that patients may come to face by minimizing noise and elements that obstruct the view for mental stability. 5)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took part in the survey preferred the following, respectively, heal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waiting room in the outpatient clinic at children' hospital: Pleasantness>Easiness in finding one' destination>Artificial materials>Natural materials>Environment like that at home>Co-promotion spaces>Space that supports the patients'activities>Openness>Sociality>Safety/Security>Approachability and Privacy. The results also show that healing conditions respect these preferences.

어린이병원 방문자의 색채지각에 나타난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Attention on Color Perception by Visitors of Children's Hospital)

  • 조은길;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0-58
    • /
    • 2016
  •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is highly dependent on color schemes. As a space shared together by both adults and children,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require color coordination that takes account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Visual perception 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2 chosen experimental images with a target group made up of adults and childr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visual atten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elements' colors were found. The contrast of colors were discovered to effect attention, especially the information desk region showed highest attention. Pillars are subjected to a higher attention relative to other spatial elements, it is suggested when using accent colors to use it only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in partial areas. In contrast, floor patterns were found to be subjected to very low attention relative to other elements. Second, effects of color contrast on visual attention were uncovered. Although color contrast effects attention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childre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ed by color contrast than adults. Especially, children's tendency to rely on color contrast for visual recognition was higher than adults. Since when using only one type on a wide surface children show higher attention on the < vivid > colors than adults, when planning a color coordination for children using < pale > colors instead of < vivid > ones in background for a large surface is seen as a more desired method to increase attention by putting emphasis on the [sharply contrasting] colors.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과 먹고 마시기 기능, 구강운동기능의 상관관계 연구 (Relation between Gross Motor Function and Eating and Drinking Ability, Oral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 민경철;문용선;서상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68-175
    • /
    • 2021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과 먹기, 마시기 기능, 구강 운동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보고,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의 심한 정도에 따른 연하 재활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 61명을 대상으로 대동작 기능 분류 체계(GMFCS), 먹기와 마시기 기능분류 체계(EDACS), 구강 운동 기능 검사(OMAS)를 사용하여 대동작 기능, 먹고 마시기 기능, 구강 운동 기능 수준을 평가하고 각 기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동작, 먹고 마시기 기능, 구강 운동 기능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대동작 기능 저하가 심할수록 먹고 마시기 기능과 구강 운동 기능 저하 역시 낮은 기능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활동을 평가하고 치료함에 있어, 아동의 대동작 기능에 따른 먹고 마시기 기능, 구강 운동 기능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1형 당뇨병 청소년의 자기관리 영향요인: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the Self-Management of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 이후연;최은경;김희정;김호성;김희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34-243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self-management and diabetes knowledge, diabetes-related attitudes,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model.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March 18 and September 30, 2018. Patients (N=87) aged 12 to 19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 of S children's hospital and an online community for patient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IBM 23.0, with the two-tailed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0.05. Results: The mean score of self-management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was $61.23{\pm}10.00$ out of 80.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56.9% of the variance in self-management (F=21.38, p<.001). Self-efficacy (${\beta}=.504$, p<.001) and family support (${\beta}=.18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for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to help them enhance their self-management.

해외 어린이병원 외래진료부의 실내 아트리움에 적용된 치유적 계획특성 분석 (Analyzing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Indoor Atrium of the Outpatient Areas in Children's Hospitals Overseas)

  • 서재연;조민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65-75
    • /
    • 2019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implemented in the indoor atriums of the outpatient areas in four children's hospitals in London and San Francisco.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the spatial configurations and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whil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relevant to atrium spaces and children's healthcare facilities. The spatial design and the pattern of use of the atrium in each hospital were studied during field visits and interviews with the hospital management staff.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observations from the field study, a Visibility Graphic Analysis was chosen to examine the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intelligibility of the spatial configurations in the atriums of each hospital. In addition, the openness, restfulness, and vibrant ambience of the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of each hospital were investigated by surveying fifty-two design professionals on the quality of the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A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all the atrium spaces had high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intelligibility due to their high connectivity, integration, intelligibility, and because the atriums were laid out in the open lobby space, along the major circulation axis, or in the circulation intersection. In the survey of the design element evaluation, all atriums proved to be appropriate in terms of openness, while the adequacy of restfulness and vibrant ambi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hospitals. Notably, location and orientation, access, natural light, outdoor view, and play facilities were found significan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determin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therapeutic design in the atriums. The observations from the aforementioned a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the therapeutic design quality of atrium spaces in children's hospitals.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을 적용한 조기 연하재활치료가 프래더 윌리 아동의 섭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달에 근거하여 : 사례 보고 (The effect of Early Feeding Therapy by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OMFT) on Feeding development of Prader-Willi Syndrome baby - Based on the Development : Case study)

  • 민경철;김보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80-188
    • /
    • 2022
  • 본 연구는 섭식장애가 있는 프래더 윌리(PWS)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운동촉진기술(OMFT) 적용 후 섭식발달의 변화를 확인하고 전반적인 발달과 비교·분석하여 OMFT가 섭식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아동은 경관 식이로 섭식 중인 교정 연령 8개월 PWS 여자 1명으로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OMFT를 주 1회, 1년 동안 제공하였다. OMFT 적용 후 구강 섭식 전환 및 연령에 맞는 음식 섭취, 씹기 기능 증진, 빨대 사용, SSB 조절 향상 등의 섭식발달 단계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OMFT가 PWS 아동의 섭식 발달 및 구강 섭취 전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WS 아동의 섭식 및 연하장애에 대한 조기 평가 및 치료 접근이 중요하며 근긴장도 및 근력 저하의 구강운동기능 문제 해결을 위한 OMFT 적용을 통한 섭식 발달 향상을 위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척추 측만증에 대한 온열-마사지의 동시 적용 효과 : 증례보고 (Effect of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Thermal and Massage Therapy on Patients)

  • 김유미;이광재;윤용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7-114
    • /
    • 2022
  •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관상면에서 10도 이상 굽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관상면 뿐만 아니라 횡단면, 시상면에서의 변형도 포함되기 때문에 단순하지 않은 문제입니다. 측만증의 만곡은 성장기 어린이에게 상당히 진행되면 문제를 일으킵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관찰을 포함해서 기브스, 보조기, 물리치료, 운동 및 수술 등이 있습니다. 관리의 목표는 낮은 측만각을 유지하여 비대칭을 최소화하는 것이지만, 학업과 시간 부족으로 청소년들은 지속적인 치료를 받기 어려운 형편입니다. 이에 가정용 온열-마사지를 통해 측만각의 유지 또는 개선을 경험한 척추측만증 사례를 보고합니다.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Guidelines and Status of Hospital Library in Korea: for Patients and Carer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79-20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파악을 위해 선행연구, 도서관법 그리고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 비교 및 국내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는 국외에 비해 매우 미흡한 수준이며 도서관법에서도 병원도서관에 관한 법과 기준이 명확하고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도서관연감을 통해서 병원도서관 통계 및 실태를 파악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에 있어서도 구성 및 주요 요소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 조사 결과, 조사된 67곳 중 종합병원 49곳(1.3%), 병원 8곳(0.2%), 요양병원 5곳(0.1%), 어린이병원 4곳(0.1%), 군병원 1곳(0.0%) 순으로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종합병원 49곳 중 42곳이 상급종합병원인데 이 중 17곳이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병원도서관 제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도서관법, 한국도서관기준의 개정이다. 또한 병원도서관 제공의 의무화, 도서관계 잡지를 통한 홍보, 관련 연구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의 국내 동향: 전국적 코호트 연구 (National Trends in Pediatric CT Scans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 김낙철;권순선;박문석;이경민;성기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38-148
    • /
    • 2022
  • 목적 본 연구는 전국 인구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과 연간 추세를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촬영된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령, 성별, 진단명 및 해부학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같이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8세 미만 어린이 58527528명을 대상으로 총 576376건의 전산화단층촬영이 시행되었다(1000명당 9.8회). 어린이 1000명당 전산화단층촬영 횟수는 9.0회에서 11.0회로 23.2% 증가했다. 전산화단층촬영 건수는 6-12세 그룹에서 32.9%(1000명당 7.4회에서 9.8회로 증가), 13-18세 그룹에서 34.0% 증가했다(1000명당 11.4회에서 15.3회로 증가). 부위별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은 두부(39.1%), 사지(32.5%), 복부(13.7%) 순서로 확인되었다. 사지 전산화단층촬영 횟수는 83.6% 증가했으며(1000명당 2.3회에서 4.2회로 증가) 사지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은 25.3%에서 37.7%로 증가했다. 결론 소아 환자의 전산화단층촬영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4.4%의 속도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따라서 의사는 소아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인한 이득과 방사선 노출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를 적절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촬영을 결정해야 한다.

국외 병원도서관에서의 환자이용자를 위한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for Patient Users in Overseas Hospital Librarie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5-221
    • /
    • 2019
  • 본 연구는 국외 병원도서관 환자대상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총 89개의 국외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종합병원, 전문병원, 여성병원, 어린이병원, 재향군인병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89개 병원도서관에서 일반적이면서 공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으며 다음으로 차별화된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국외에서는 병원도서관의 설치와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서, 건강정보전문가, 의학전문사서, 사회복지사, 임상사서, 건강교육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의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셋째, 인쇄자료뿐 만 아니라 전자자료, 웹사이트, 팸플릿, 브로우셔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로도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건강(정보활용)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병원, 지역공공도서관, 지역공동체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통한 국내 병원도서관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병원도서관 설치 및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둘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협회의 지원과 계속교육의 필요성, 셋째, 병원도서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의무화 및 다양화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