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의 정보탐색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인터넷 검색엔진을 이용한 어린이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Searching Behavior Using Internet Search Engines)

  • 사공복희;정미봉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75-405
    • /
    • 2008
  • 최근 어린이 전용 인터넷 검색엔진이 어린이들에게 주요한 정보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 어린이 전용 검색엔진이 제대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검색엔진을 이용한 어린이들의 탐색행태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그 결과가 시스템 설계와 개선에 응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어린이 전용 검색엔진인 쥬니버와 야후꾸러기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정보탐색행태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고, 질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참가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전용 검색엔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89-109
    • /
    • 2011
  •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정보추구모형에 관한 연구 - 전자책 접근 및 탐색을 중심으로 - (A Model on How Children Access and Search E-books)

  • 정은경;최윤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9-1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독서 매체로 급부상하고 있는 전자책을 중심으로 어린이 이용자들의 접근 및 탐색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정보학 분야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문헌 연구를 고찰하여 기초 모형안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서울 경기 지역의 5개 도서관 이용자인 남녀 초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면담 및 관찰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접근 및 탐색 모형안을 수정하여 맥락내의 어린이 이용자, 실행기제, 중재변수, 정보추구행위 및 전략, 정보원 선택, 이용으로 이어지는 순환형 모형으로 제안하였다.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Searching Behavior of OPAC Users in Children's Libraries)

  • 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3-171
    • /
    • 2012
  •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검색도구로서의 온라인목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어린이 2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 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정보사회에서 어린이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f Children's Use of Smart Devices in Information Society)

  • 한병래;구정모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3-432
    • /
    • 2014
  • 컴퓨터를 포함한 정보기기의 보급이 늘어가면서, 어린이들이 정보통신기기를 사용하는 기회가 많아졌다. 우리는 어린이들의 생활이라는 관점에서 어린이들의 정보통신기기 이용에 대해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우리 사회는 어린이들에게 학교교육 중심의 학습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사회를 살아갈 어린이의 관점에서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생활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도시와 중소도시에서의 어린이들의 정보기기 사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집단 전체 결과에서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학습의 경험, 올바른 기기 사용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자매체를 이용한 놀이에서는 야외 놀이가 더 많았으며, 게임이용 시간과 TV 시청시간의 비교에서는 절반 정도가 "1시간 이내"라고 응답하였다. 실내놀이의 비중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OPACs for Digital Kid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7-364
    • /
    • 2014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rc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3-381
    • /
    • 2007
  •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온라인목록의 검색도구로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35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리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rvice Guidelines)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69-492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외의 어린이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탐색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에서 지향하는 핵심 가치와 서비스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서관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어린이 서비스 관련 내용을 비롯하여 국제도서관연맹의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살펴보았으며,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다양한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의 형식과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에 반영되어야 하는 핵심적인 가치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 PDF

어린이·청소년 대상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ublication and Use of Sexuality Education Books for Youth)

  • 임여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5-232
    • /
    • 2023
  •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성교육 도서가 어린이·청소년의 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청소년 독자가 성교육 도서에 접근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출판 편집자, 성교육 전문가, 공공도서관 사서와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성교육 도서에 관한 이들의 경험과 시각을 폭넓게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 의하면 성교육 도서는 양육자가 어린이·청소년에게 직접 성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워할 때 쉽게 찾아 건네는 매체이며 성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육 자료이기도 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에 출판된 성교육 도서 중 다수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다루는 '몸 교육'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여전히 성평등하지 않은 관점을 강조하는 등 그 주제와 시각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들은 성교육 도서가 키워드 중심의 단순한 정보 전달 매체이기보다, 인간 삶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주체적인 성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기를 바랐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도서관에서 성교육 도서를 수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어린이 건강과 관련한 어머니들의 정보탐색 경로 (Information-Seeking Pathways by Mothers in the Context of Their Children's Health)

  • 이한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8
    • /
    • 2021
  • 오늘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무수히 많은 건강정보가 시시각각 쏟아지면서 대중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건강에 대한 정보탐색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만 0-3세 건강한 영유아들의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탐색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24명의 미국인, 한국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 어머니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아이에 대한 건강정보를 탐색할 때 어떠한 정보원들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는지 탐색경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의 건강정보탐색 경로는 아이의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정보원과 탐색주제의 측면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이가 아플 때는 특정 질병이나 증상에 대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먼저 탐색하지만, 아이가 아프지 않을 때는 성장, 발육, 식단, 육아 등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활용되는 정보원과 관련하여, 아이가 아플 때보다 아프지 않을 때 더욱 다양한 건강정보원들(예컨대, 공공도서관, 정부기관, 어린이집 교사 등)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어머니들 그룹에 따라 활용되는 정보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외 정보 전문가들은 어떠한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을지 논의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