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류생태

검색결과 810건 처리시간 0.031초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 (Habitat Environment, Age and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the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하윤;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8-287
    • /
    • 2011
  •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생태학적 특징과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를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꾸구리의 서식조건은 수심 10~40 cm, 유속 40~120 cm/sec, 하상입자 크기는 8~20 cm였고, 자갈층의 층수가 서식밀도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령은 5월을 기준으로 만 1년생 체장 28~42 mm, 만 2년생은 체장 43~58 mm, 만 3년생은 체장 59~68 mm, 만 4년생 이상은 체장 69~85 mm로 추정되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4~10 mm가 더 컸다. 섭식시간대는 00시부터 06시 사이에 주로 섭식하여 야행성 어류로 판단되었고, 위 내용물은 날도래목(Trichoptera) 57.7%, 파리목(Diptera) 26.0%,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16.3% 순으로 높았으며,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을 주로 섭식하였지만 성장하면서 크기가 큰 날도래목을 주로 섭식하였다.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Pisces: Cobit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Korean Endemic Miho Spine Loach,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Geumgang River, Korea)

  • 고명훈;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2-99
    • /
    • 2018
  •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 choii의 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고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섭식생태를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양리의 금강지류 지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호종개는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기로, 11월부터 2월까지는 월동기로 나누어졌으며, 활동기에는 주행성 어류로 기질 (모래) 밖으로 나와 활동하였다. 소화관내용물을 상대중요성 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로 분석한 결과, 파리목 (Diptera) 69.9%, 요각목 (Copepoda) 23.2%, 꽃병벌레과 (Arcellidae) 2.3%, 새각목 (Branchiopoda) 2.0%, 유영목(Ploima) 2.0%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0년생)는 유영목과 새각목을 주로 섭식하였으나, 성어(2~3년생)는 크기가 큰 깔다구과(Chironomidae)를 주로 섭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어류의 시각 예민도-명암대비 역차와 최소 분해각 - 에 관한 모델링 (Modelling on Contrast Threshold and Minimum Resolvable Angle of Fish Vision)

  • 김용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1호
    • /
    • pp.43-51
    • /
    • 1998
  • 수중에서 어류들이 색이시 생물적인 목표물이나 어로작업시 어구 등의 시각자극과 최대탐지거리 등을 예측하기 위해서 어류의 주된 시각 예민도 요소인 명암대비 역치와 최소 분해각을 수치모델링 하였다. 어류시각의 명반응과 순반응에 따라 명암대비 역치와 최소분해각은 배경휘도와 체장에 따른 자연대수의 함수로 표현하였다. 이 때 관련된 수식의 계수들은 기존의 실험 결과나 어종간의 시각 예민도 등에서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생리 생태나 개체차 등도 조정할 수 있다. 본 모델은 먹이생물이나 어구 등의 시각자극에 의한 시인정도와 시정 등의 추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전반적인 수중 광학적인 조건하에서 시각자극의 세기에 따른 시각 예민도와 그 반응에 의한 어류행동 모델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외래종 배스가 저수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중초산과 북초산 저수지를 대상으로 (Effect of Invasive Species on Reservoir Fish Communities: For Joongchosan and Bukchosan)

  • 박철우;유수향;조윤정;김종욱;강의태;김재구;김수환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96-101
    • /
    • 2021
  •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군산시의 중초산 저수지와 북초산 저수지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중초산 저수지에서 4목 5과 8종 1,895개체, 북초산 저수지에서 3목 5과 7종 171개체였다. 중초산 저수지의 우점종은 참붕어(661개체, 상대풍부도: 34.7%) 아우점종은 흰줄납줄개(660개체, 상대풍부도: 34.7%), 북초산 저수지는 배스(77개체, 45.0%)와 붕어(60개체, 35.1%)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중초산 저수지는 우점도 0.697, 다양도 1.483, 균등도 0.713, 종 풍부도 0.928, 북초산 저수지는 우점도 0.801, 다양도 1.304, 균등도 0.670, 종 풍부도 1.167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생태계 교란생물인 배스의 영향으로 토착어종의 개체수와 군집의 다양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외래어종의 지속적인 제거와 유입을 막는 관리가 요구된다.

하천의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산정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Recommendations for Fish Habitat)

  • 성영두;박봉진;주기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7호
    • /
    • pp.545-554
    • /
    • 2005
  • 금번 연구는 낙동강 유역의 영강, 위천, 회천, 거창위천, 청도천, 단장천에서 산란기와 성어기에 어류의 서식과 수심, 유속, 하상재료 등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자연과학과 공학의 학제간 상호 연계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어종별(피라미와 갈겨니), 성장단계별(산란기와 성어기), 서식처조건별(수심, 유속과 하상재료) 어류 서식 적합도 기준을 작성하였다. 유지유량 증분법 개념의 물리적 서식처 모의시스템을 적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주요 하천에서 어류서식에 적합한 유량을 산정하고, 그 중 가장 큰 유량값을 생태학적 추천유량으로 결정하였다. 금번 결정한 생태학적 추천유량은 내성천 $6.5\;m^3/s$$5.0\;m^3/s{\sim}10.0\;m^3/s$ 이었다. 또한 생태학적 추천유량과 기존에 산정된 생태계 필요유량 및 유황분석 결과를 비교${\cdot}$검토 하였다.

어류의 연속행동계측을 위한 SSBL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주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7-50
    • /
    • 2003
  • 초음파 발신기(핑거)에 의해 원격으로 해양생물을 추적하는 방법(이하 바이오텔레메터리 라고 한다)은 해양생물에 핑거를 부착하여, 핑거가 발사하는 음을 표적으로 해양생물의 행동생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바이오텔레메터리의 최대 장점은 대상생물의 순간적인 행동생태와 서식환경을 동시에 상세하게 조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것은 다른 방법으로는 실현하기가 어렵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