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둠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베스트셀러로 본 출판 반세기

  • 이중한
    • 출판저널
    • /
    • 통권174호
    • /
    • pp.14-17
    • /
    • 1995
  • 해방 직후엔 우리글과 우리 책의 갈증으로 출간만 되면 곧 매진되는 폭발적 수요현상을 빚었다. "무정"이나 "상록수" "순애보" 등이 대표적인 목록이다. 50년대의 베스트셀러로는 우선 "자유부인"을 꼽을 수 있다. 이밖에도 "얄개전" "청춘극장" "슬픔은 강물처럼"등 일제와 전쟁의 아픔을 정신적으로 어루만져주는 책들이 베스트셀러로 꼽힌다.70년대는 그 무렵의 사회변화를 반영한 '호스티스 문학'과 사회적 운동적 주장과 이념과 사상을 담은 사회과학 논저 및 소설들이 대중적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얻는다. 80년대의 역시 사회비리를 고발하는 "어둠의 자식들" "인간시장" "객주" 등의 대하 역사소설들이 이어진다. 90년대 들어 이러한 이념성 도서는 종언을 맞게 된다.

  • PDF

서술 전략의 전환-「진보의 전초기지」에서 『어둠의 핵심』으로 (The Conversion of Narrative Strategy: from "An Outpost of Progress" to Heart of Darkness)

  • 이만식
    • 영어영문학
    • /
    • 제57권4호
    • /
    • pp.625-649
    • /
    • 2011
  • Even though "An Outpost of Progress" and Heart of Darkness were based upon Joseph Conrad the sailor's same experience in Congo Free State, their narrative strategies are quite different.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An Outpost of Progress," with which Conrad was not satisfied at all, was converted into the modernistic narrative strategy of Heart of Darkness so that the sympathetic power of the story should be improved. The conservative value system of realism is expressed by the omniscient author in "An Outpost of Progress," whereas the frame narrator of Heart of Darkness is proved to be an unreliable one whose norms and behavior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implied author. The glorious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which was proudly presented by the frame narrator at the beginning of Heart of Darkness, was strongly opposed by Marlow, another narrator, who said that the British Empire had been "one of the dark places of the earth" when ruled by the Roman Empire. The feeling of the frame narrator was uneasily changed into the gloomy mood when he described the Thames as the flow which "seemed to lead into the heart of an immense darkness" at the end of Heart of Darkness. Similar to the straightforward narrative strategy of representation in "An Outpost of Progress," the realistic approach of Part I in Heart of Darkness is considered by Conrad as insufficient to reveal the darkest truth of imperialism, which was declared by Kurtz as "The Horror! The Horror!" Thus Conrad uses the Chinese-box structure, in which Kurtz' episode is enveloped by Marlow's tale which is enclosed by the frame narrator's story, in order to penetrate into the mind of ordinary readers in the novelist's age of New Colonialism, while attacking the ideology itself of imperialism instead of critisizing its inefficiency and individualism.

효율적인 고속도로 스마트 가로등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Effective Smart Streetlight in the Express Way)

  • 박춘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64-76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 주변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지금까지의 어둠을 밝히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전방에서의 사고를 미리 알려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의 한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지금까지 한가지 기능인 어두운 밤에 빛을 밝히는 기능 이외에 안전 운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향 후 ITS(Intelligent Traffic System)에 적용 및 응용이 용이하다.

  • PDF

원자 단위에서의 마찰 (Friction in Atomic Scale)

  • Krim, Jacqueline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3권2호
    • /
    • pp.1-7
    • /
    • 1997
  • 나는 12월의 첫째주를 두려워 했다. 그것은 나를 우울하게 하는 보스턴의 진눈깨비 섞인 이슬비나 어둠, 그리고 붐비는 휴일의 쇼핑몰의 주차전쟁같은 것은 아니었다. 그 주가 응축 물질 연구 물리학자들의 모임인 미국물리학회의 3월 총회에 제출할 논문 초록의 마감 시한이기 때문이다. 1986년에 나는 나의 대학 동료 Allan Widom과 함께 고체 평면을 따라서 미끄러지는 한 원자 두께 필름의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 기술을 개발했다. 문제는 나의 원자단위의 마찰 초록을 3월 총회의 수많은 논문들 중 어디에 분류해야 할지 알수 없다는 것이었다. 마찰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나는 항상 거시적 마찰이나 나노미터 단위의 마찰에 대한 회의인 다중성향의 미국진공학회로부터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주류의 물리학자들은 그 주제에 아무 관심이 없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찰이란 단순히 표면의 울퉁불퉁함에 관계된다고 생각했다. 마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또는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마찰의 친숙함을 생각한다면 사람들은 더욱 마찰에 대한 관심을 가졌었을 것이다.

'창조적 글쓰기'가 개인 및 시대에 미치는 치유적 작용 - '어둠의 남자(Vampire)' 상징을 중심으로 - (Healing Effect of 'Creative Writing' on Individual and on Our Age - Focused on the 'Man of Darkness (Vampire)' Symbol -)

  • 김계희;김기원;한은선
    • 심성연구
    • /
    • 제28권1호
    • /
    • pp.1-49
    • /
    • 2013
  • 이 논문은 '만남'과 '설레임'에서 비롯되었다. 본 논문의 저자는 2013년 2월 중순 경 만나 6월 초에 예정되어있던 원내 학술발표 주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현금(現今) 대중들의 강한 호응을 얻으며 많은 관객들의 발길을 끌어당기고 있는 개봉관 영화들 중에 어린 시절 들었던 옛날이야기들과 유사한 내용의 영화들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띈다. 그런 현상이 신기하다." 라는 대화를 하며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나누다가, 영화 '드라큘라', '트와일라잇 시리즈', '웜바디스(Warm bodies)'에로 자연스럽게 주제가 흘러가게 되고, 저자 공히 이 영화들을 모두 보았으며 또한 매우 인상 깊게 보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학술발표의 주제를 이와 관련하여 정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떠오르고 그것이 말로 표현되는 순간, 가슴 두근거리는 설레임과 두려움과 망설임이 동시에 느껴졌으며, 이렇게 하여 학술발표의 주제가 결정되었다. 학술발표를 준비하고 강연발표하고 청중들과 토론하는 과정 내내 설레임과 열정이 저자와 함께 하였으며, 학술발표집담회에 참석한 청중들 역시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강한 감정반응을 보이며 시간이 지나도록 열띤 토론을 한 후 학술발표를 마치게 되었다. 구연된 발표내용을 그냥 덮어버리려 했으나 웬지 모를 아쉬움이 남고 그 여운이 가시지 않고 있던 중에, 청중들 중 한 분의 조언과 권고에 따라, 논문으로 완성하여 투고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저자가 만나 설레임과 열정을 공유하며 설레임과 열정이 이끄는 곳으로 동반하던 길 위에서 시도하게 된 하나의 작은 '창조적 글쓰기'이다. 본 논문의 제 l장에서는 '창조적 글쓰기'로 이어진 31세 여성의 꿈을 소개하고 그 꿈 이전과 이후의 여성 개인의 삶이 어떠한지에 대해 조명해 보았으며, 제 2장에서는 개인의 무의식(꿈, 환상)에 나타나거나 체험되는 '창조적 충동'의 귀결(실현 방향) 및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개인에서 보이는 '창조적 충동'은, '내향화' 과정을 통해 개인의 인격의 창조적 변환을 가져오게 되기도 하며, '환상적 창작' 혹은 '외향화' 과정을 통해 '작품'으로 출산되기도 함을 볼 수 있었다. 때로는 두 방향의 귀결이 동시에 함께 일어나기도 하였다. 후일 처녀작 '트와일라잇'이라는 작품으로 완성됨으로써 '작가'로서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게 한, 스테프니 메이어(Stephenie Meyer)의 '원형적 꿈'을 분석심리학적으로 고찰하고 그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제 3장에서는 개인의 꿈들과 영화 '드라큘라' '트와일라잇 시리즈' '웜바디스' 등을 조명해 보면서, 개인의 꿈들과 대중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는 소설, 영화 등의 일부 예술작품에서 '어둠의 남자(뱀파이어, 좀비)'의 모습(像)에 변환이 있으며, 인간인 여성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사랑이 결실을 맺기도 하며, 또한 어둠의 남자(뱀파이어)에 대한 의식의 자아의 태도와 상호 관계양상에 있어서도 매우 인상적인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현금의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인지 이와 같은 변화는 그 개인 및 이 시대와 어떤 관련이 있으며 개인 및 시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인지 등에 대해 숙고해 보았다. 인간의 마음 심층(深層)으로부터 솟아오르는 '창조적 충동'은 '개인의 인격의 창조적 변환'으로 실현되거나 예술적 창조를 통해 '작품'으로 출산되기도 하며 시대의 인연과 닿을 경우 그 시대의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게 됨으로써, 개인과 시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치유와 구원의 작용을 가져오게 되기도 함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창조적 충동'의 긍정적이고 치유적인 측면에 대해 주로 조명해 보았으며, '창조적 충동'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귀결 및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은 후일 기회가 되면 새로운 논문을 통해 다시 다루고자 한다.

예술 공간의 미메시스적 재구성: 황재형의 작품론을 쓰기 위한 기초 (The Mimetic Reconstruction of Artistic Space through Works of Hwang, Jai Hyoung)

  • 박구용
    • 철학연구
    • /
    • 제116호
    • /
    • pp.105-128
    • /
    • 2017
  • 이 글은 황재형의 작품세계를 예술공간의 미메시스적 재구성이라는 프레임으로 읽어보려고 시도한다. 나는 황재형의 작품이 품고 있는 세계가 그 자신의 주관적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작품 속의 공간은 황재형 작가가 음악적으로 사태에 동화되는 과정, 곧 미메시스를 통해 재구성한 세계로 읽힌다. 이런 읽기를 위해 나는 먼저 빛과 어둠의 교차로에서 그의 작품과 소통하는 길을 찾고자 한다(2). 이 길에서 미메시스적 반응으로 재구성된 황재형 작품의 예술 공간 안팎을 넘나들다가(3), 시간을 품은 공간을 통과해(4) 길 밖으로 나온다(5).

롤랑 지게르와 시의 풍경 - 『불 위의 손』을 중심으로 (Roland Giguère and Poetic Landscape - La main au feu)

  • 김용현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153-176
    • /
    • 2015
  • Poet, painter and publisher, Roland $Gigu{\grave{e}}re$ is one of Quebec's outstanding figures, inspired by both Surrealism and Quebec nationalism. He participated in contemporary artistic movement 'Phases' and influenced collective self-awareness and political ferment, 'Quiet Revolution'. In La Main au feu(1973), his poetry represent a landscape dominated by darkness in contrast with red color of fire from the volcanic crater. The world is immersed in darkness of despair which allude to the Great Darkness of Quebec society. Acts of violence assume many different forms: crows, black rain, dark flow, frenzy of knife blows. Both things and humans are in the state of absence or lack. Life falls into opacity of death. In the background of dark landscape, we discover Miror, a singular character. Similar to chain of mountains and to bare forest, he is a creature that shape the tragic inner world of poet. He is as like as seismograph that record the tremble of being. Finally, in order to fight the darkness of environment, the poet attempt to use the power of fire of volcanoes. The flow of magma become paintings of his dream and the flame of eruption, poetry of cry toward the sky. 'La main au feu' means the will to resist injustice and repression in the world. The tragic reality is replaced by a dream that become second reality out of reach of the force of hostile external circumstances.

조현병을 가진 사람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 박미원;엄태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21-5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을 가진 사람의 삶의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조현병으로 진단을 받은 지 5년이 경과하고 20세 이상인 성인 10명이었다. 연구결과, 4개의 본질주제인 '내 인생의 나락, 정신질환', '어쩔 수 없는 받아들임과 내려놓음', '어둠속에서도 나를 일으킴', '평범한 일상 살아가기'를 발견하였다. 조현병은 연구참여자들을 상처와 고통 속의 삶으로 내던지는 특별한 굴레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일상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바탕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현병을 가진 사람은 병리적 결과물인 '환자'가 아니라 한 명의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기후변화·기상학적 비전·문학적 상상력 (Climate Change, Meteorological Vision, and Literary Imagination)

  • 신문수
    • 영어영문학
    • /
    • 제57권1호
    • /
    • pp.3-25
    • /
    • 2011
  • As extremes of climate such as heavy storms, rainfalls, and droughts tend to be routine in recent years, global climate change becomes a serious concern not only for natural scientists but also for scholars of the human sciences. Efforts to tackle the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certainly require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about it but also a new sociocultural paradigm for valorizing and respecting nature in its own right. The huge casualties and mass destruction caused by recent climate disasters also remind us that nature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to bring about changes in human history-a fact largely ignored in traditional history. This again validates the ecocritical request to prioritize place, physical setting, or the relationship characters hold with the natural world in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he meteorological vision in creating as well as understanding literary and cultural texts by examining such works as Shelley's "The Cloud," Byron's "Darkness," Keats's "To Autumn," all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dramatic climate change including "the year without summer." It also briefly discusses Roland Emmerich's 2004 movie The Day after Tomorrow as a way of understanding recent cultural responses to the crisis of global warming.

전시체험공간 구성에서의 현상학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빛을 이용한 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in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Exhibition Space - Focused on Exhibition Utilizing Light -)

  • 박은아;한혜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83-194
    • /
    • 2013
  • Exhibition space emphasizes the experience in the space rather than viewing or appreciation of visitors. Because the experience spaces in today's life are limited, people experience rest, comfort, and sometimes extraordinary space experience through exhibition space. Exhibition space has changed from a static place to a space where visitors move and act with the exhibits to freely feel the space. Also, the static space expressed only with illumination and shadow becomes a new space different from daily space for user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 through such user-oriented exhibition spac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y through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structure. It is to analyze and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structure centered in the opinion of Merlo-Ponti that considers the experience of body among 'characteristics'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of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published up to date and the viewpoint of Steven Hall that sees light as a subject of creating the space. This study is also considers how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r is built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enomenology and exhibition experience space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r that is the common point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 and analyzing the common point and difference of them. It also focuses on the space of dark whether forming any light rather than looking at the light which is the sense facto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n whether there is any light or not applied to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grounded by the theoretical materials of Merlo-Ponti and Steven Hal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s in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structure and, based on the result, to set up the basic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ressions in the composition of exhibition experience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