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독성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길초근(Valeriana fauriei Briquet) 및 양강근(Alpinia galangal Swartz) 정유의 유제 및 입제제형의 잉어(Cyprinus carpio)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ies of Emulsifiable Concentrates and Granules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and Alpinia galangal Swartz Essential Oils against Cyprinus carpio)

  • 전황주;김경남;김용찬;이성은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59-664
    • /
    • 2018
  • 길초근 및 양강근정유를 유제 및 입제로 제형화한 후 이들의 급성어독성을 측정하였다. 잉어를 이용한 급성독성에 사용된 길초근 및 양강근 정유는 수증기증류법, 핵산을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이들의 유제 및 입제의 급성어독성은 반수치사농도($LC_{50}$)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길초근 및 양강근 원제 중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만이 어독성을 나타내었다. 길초근 및 양강근 추출법별 정유 이용한 유제의 급성어독성 평가한 결과 길초근의 경우 모든 추출법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양강근 정유는 추출법에 관계없이 모두 잉어에 대한 어독성이 관측되었다. 입제의 경우 길초근은 용매로 추출한 정유에서 독성이 나타났고, 양강근 정유의 경우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 입제에서만 어독성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3급 어독성에 해당되는 것으로 환경 중 사용에는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살충효과가 뛰어난 양강근 정유의 경우 수증기증류법 및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의 $10mg\;L^{-1}$ 수준에서 노출된 잉어의 분자적 반응을 확인하여 cytochrome P450 1A 효소 및 glutathione S-transferase의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들은 수계환경 중 양강근 정유의 동태를 관찰하는 바이오마커로서 사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한국산 복어의 독성 3. 선어와 냉동어 국매리복의 독성차이 (Toxicity of Pufferfish in Korea 3. Comparison in the toxicity of fresh and frozen pufferfish Tikifugu vermicularis radiatus (Gukmeri-bok))

  • 전중균;황천수;야구옥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6-178
    • /
    • 2000
  • 국매리복은 근육의 독성이 약독이라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 국매리복의 섭식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아직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근육의 독성이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어와 냉동어에서 근육의 독성 (유독개체출현율, 최고독성 및 평균독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선어의 근육은 무독이었지만 냉동어의 근육은 약독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냉동한 국매리복의 근육이 약독인 것은 냉동과 해동과 같은 물리적인 처리로 인해 생긴 것임을 강하게 보여주며, 아울러 앞으로 복어류의 독성을 조사할 경우에는 냉동어뿐 아니라 선어도 조사해야 할 것이다.

  • PDF

Diazinon과 Carbofuran의 송사리(Oryzias latipes)와 미꾸리(Misqurnus anguillicaudatus)에 대한 선택적 독성과 Acetylcholinesterase저해 (Selective Toxicit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of Diazinon and Carbofuran to Killifish(Oryzias latipes) and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 김영배;이성규;김용화;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7-123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diazinon과 carbofuran의 송사리와 미꾸리에 대한 선택적 어독성 기작을 규명코자 뇌와 몸체에서 acetylcholinesterase(AchE)를 추출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 농약에 의한 효소의 활성저해도(IC50)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급성 어독성 실험에서 얻어진 LC5O값과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송사리의 AchE의 활성은 미꾸리의 활성보다 2배 높았고, diazinon과 carbofuran의 선택적 독성은 diazinon의 대사산물인 diazoxon의 두 어종에 대한 IC50 값이 미꾸리가 송사리보다 4배 낮고, carbofuran의 IC50값은 송사리가 미꾸리보다 약 3.4배 낮으므로,IC50 값에 의하여 부분적으로는 설명될 수 있었다. 따라서 AchE을 이용하여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독성을 검색하는데 있어 동일농약인 경우 어종간의 감수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농약의 독성을 1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위의 방법이 본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농약의 종류와 어종을 다양화한 실험과 흡수, 체내에서의 대사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급성 독성 현상과 AchE의 저해도와의 관계가 먼저 정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제초제 Butachlor의 송사리에 대한 아급성(亞急性) 독성(毒性) (Subchronic Toxicity of Herbicide Butachlor in Fish , the Medaka (Oryzias latipes))

  • 신천철;이성규;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8-125
    • /
    • 1985
  • 농약의 만성어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초제인 butachlor에 대하여 송사리 (Oryzias latipes)을 대상으로 하여 90일간 아급성 어독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만성독성 평가를 위한 생물학적 검정어류로써 송사리의 타당성을 제고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송사리는 우리나라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소형 민물고기로써 시험기간중 대조군 등에서 산란 및 부화가 이루어져 풍부한 생물학적 자료와 함께 농약에 대한 만성 어독성 평가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2) Butachlor의 0.16 ppm 처리군은 약간의 길이 성장감소와 산란된 수정란의 부화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0.04ppm과 0.01 ppm의 butachlor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별 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고로, butachlor는 송사리에서 0.04${\sim}$0. 16ppm의 MATC 값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실험기간중 DO와 pH및 온도를 매일 측정한 결과 송사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이 입증되었다.

  • PDF

농약에 대한 잉어(C. carpio)와 송사리(O. latipes)의 급성독성 상관성 및 감수성 (Correlation and Sensitivity of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on the Common Carp(C. carpio) and Killifish(O. latipes))

  • 배철한;박연기;김연식;조경원;이석희;정창국;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8-83
    • /
    • 2012
  • 국내 농약등록을 위한 어독성시험은 잉어(Cyprinus carpio)와 송사리(Oryzias latipes) 그리고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어독성은 잉어에 대한 독성값으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잉어는 실내사육이 어렵고 사육환경에 따른 감수성 차이와 한정된 시험시기 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시험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잉어와 송사리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두 시험종간의 상관성과 감수성을 파악하고 농약 어독성시험을 위해 보다 현실적으로 적합한 시험종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은 국내 등록농약 70종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48시간 $LC_{50}$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잉어와 송사리의 상관계수(R)가 0.8480로 상관성이 높았고 종간 감수성에 있어서 잉어와 송사리의 $LC_{50}$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잉어와 송사리에 대한 $LC_{50}$값을 현재 국내 어독성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였을 경우, 18종 농약에서 분류 등급의 변동이 발생하였으나 특이한 경향성은 없었다. 그러므로 급성독성의 상관성 및 감수성 측면과 어류 사육에 대한 표준화 측면에서 잉어보다 유리한 송사리에 대해서 독성시험종으로서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농약(農藥)의 급성어독성(急性魚毒性)과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른 독성(毒性)의 변화(變化) (Acute Aquatoxicity of Chemicals to Carp and Changes of Toxicity Values Dependent on Treatment)

  • 이성규;박철원;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1
    • /
    • 1984
  • 5종(種)의 농약(農藥)(butachlor, isoprothiolane, probenazole carbofuran, cartap)에 대하여 잉어를 대상으로 하여 급성어독성(急性魚毒性)값인 96시간 $LC_{50}$값을 평가(評價)하였고, 또 합리적인 급성어독성(急性魚毒性) 실험(實驗)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처리시문(處理時問)및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른 급성어독성(急性魚毒性)값의 변화(變化)와 수조내(水槽內) 용존산소(溶存酸素)의 농도(濃度)를 측정(測定)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各) 농약(農藥)의 96시간 $LC_{50}$값은 butachlor 0.25 ppm, isoprothiolane 10.0 ppm, probenazole 6.2 ppm, carbofuran 1.40 ppm, cartap 0.64 ppm이었다. 2) 각(各) 농약(農藥) 모두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 $LC_{50}$값 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배추좀나방 방제약제로서 후추 추출물, 카시아 오일, 라벤더 오일 함유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급성 생태독성평가 (Acute Ecotoxicity Evalu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Agro-materials Containing Pepper Extract, Cassia Oil, Lavender Oil for Control of Diamondbackmoth)

  • 유아선;정미혜;홍순성;장희섭;이제봉;박경훈;이영묵;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3-349
    • /
    • 2013
  • 식물추출물 후추 추출물과 카시아 오일, 라벤더 오일을 이용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로 개발 중인 제품으로 배추좀나방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후추 추출물+카시아 오일 57.5% (후보제형 A), 후추 추출물+카시아 오일 57% (후보제형 B), 후추 추출물+라벤더 오일 50% (후보제형 C) 유제의 생태에 대한 급성독성을 평가하여 친환경농자재 시제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물벼룩 급성독성을 실시한 결과 후보제형 A 및 C 유제의 $EC_{50}$은 각 0.46, 0.25 mg $L^{-1}$로 EPA 기준으로 강한 독성이었고, 후보제형 B 유제의 $EC_{50}$는 1.9 mg $L^{-1}$로 보통독성이었다. 잉어 급성독성 시험의 경우, 후보제형 A 유제의 $LC_{50}$가 1.9 mg $L^{-1}$으로 농촌진흥청 고시에 따라 어독성 II급 농약이었으며 후보제형 B, C 유제는 2.9, 3.8 mg $L^{-1}$로 어독성 III급 농약으로 구분되었다. 꿀벌 급성독성시험은 접촉과 섭식 시험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고, 후보 3종 모두 접촉과 섭식독성 $LD_{50}$가 100 ${\mu}g$ a.i $bee^{-1}$ 이상으로 나타나 독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렁이 급성독성시험의 경우, 후보제형 A, B 및 C 유제의 $LC_{50}$가 각각 887, 988, 564 mg $kg^{-1}$이었다. 후추 추출물+카시아 오일 57% (후보제형 B), 후추 추출물+라벤더 오일 50% (후보제형 C) 유제는 어독성 및 꿀벌 급성독성이 낮아 친환경 농자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황에서 추출한 생리 활성 물질의 흰가루병 방제 효과 (Effect of a Bioactive Substance Extracted from Rheum undulatum on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 백수봉;경석헌;김종진;오연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90
    • /
    • 1996
  • 대황 추출물(RK)과 화학약품 1, 8-dihydroxy anthraquinone(AK)을 제제화하여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약효, 약해 및 어독성을 조사하였다. 제제화한 RK와 AK 약제를 하우스에서 500배, 1000배 희석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오이 흰가루병에 대하여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pot에서 2,000배, 3,000배, 5,000배 희석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두 7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또 노지에서 4,000배, 5,000배 희석농도로 처리해도 75.3%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RK 약제는 250배 희석농도에서 오이에 약해가 없었으나 AK 약제는 250배 희석농도에서 약해가 있었다. 어독성은 두 약제 모두 반수치사농도(TLm)가 2ppm 이상으로 독성은 낮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