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 기능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2초

어깨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이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성인의 어깨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oracic Joint Mobilization on the Scapular Function in Adults with Scapular Dysfunction)

  • 이상빈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83-90
    • /
    • 2021
  • 본 연구는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사무직원에 대해 어깨뼈 안정화 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을 시행한 후 어깨뼈의 위치와 움직임 및 어깨기능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남의 N대학에서 근무하는 사무직원 중에서 어깨뼈 기능이상 검사(Scapular Dyskinesis Test, SDT)를 하여 이에 해당되는 42명을 연구 대상자로, A그룹은 어깨뼈 안정화운동 적용군(N=14), B그룹은 등뼈관절가동술 적용군(N=14), 그리고 C그룹은 어깨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을 결합한 실험군(N=14)으로 나누었다. 각 중재는 4주간 주 3회, 회당 25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깨뼈 위치 변화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어깨뼈 움직임의 변화에서 위팔뼈 벌림 45°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벌림 90°에서도 C그룹이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깨기능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 어꺠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의 결합은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사무직원의 어깨뼈 위치와 움직임 그리고, 상지기능장애지수의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자가 등 가동운동이 어깨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Shoulder Pain and Function)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6-403
    • /
    • 2020
  • 본 연구는 자가등 가동운동(STME,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이 어깨 기능장애 환자에게 어깨통증과 장애정도, 어깨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 기능장애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STME와 대조군으로 할당하였으며, 시각 상사척도와 어깨기능장애, 어깨의 가동범위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6명의 STME 중재 그룹은 폼롤러를 활용하는 방법과 네발자세에서 이용하여 굽힘, 폄을 자가로 실시하였고, 16명의 대조군은 전기치료 패드를 이용한 플라세보 효과를 활용하였다. 두 집단은 20분 동안 주당 3회를 4주간 실시하였다. STME군이 대조군 보다 통증과 기능장애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05), 어깨의 가동범위는 STME을 이용한 그룹이 플라세보 그룹 보다 굽힘, 벌림, 가쪽 돌림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하지만 폄과 안쪽돌림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p>0.05). 따라서 STME은 어깨통증과 기능장애 해결에 효과적이며, 향후 어깨 통증 환자에게 보다 쉬운 접근방법의 중재방법을 교육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회적 치료비용 또한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 (Physical Function and Fatigue in Mastectomy Patients)

  • 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6권2호
    • /
    • pp.164-171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를 파악하여 수술 후 적응을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2003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C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63명을 대 상으로 어깨관절 가동범위, 어깨관절 기능, 신체적 자각증상 및 피로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환측의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건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어깨관절 기능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바지 입기'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등지퍼 올리기'였다. 신체적 자각증상의 정도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감각이 둔하다'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가렵다'였다. 4. 피로 때문에 가장 방해가 되었던 문항은 '일상적인 생활(집 밖의 일과 매일하는 허드렛 일)'이었다. 결론 : 유방절제술 후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PDF

대학 엘리트 카나디언 선수들의 어깨·허리·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평가 및 진단 (Assessment of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Elite Canadian College Paddlers)

  • 신광택;안창규;손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29-238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 엘리트 카나디언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을 검사 및 진단하여 선수들의 기능 향상 및 상해예방을 위한 훈련 방법론에 대한 조언을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경주 소재 D 대학의 평균 8.5년의 경력을 가진 8명의 엘리트 선수들이 실험에 참가했으며, Biodex system III, Biodex stabilizer system, THP 2, Inbody 720이 근기능 검사(peak torque, average power, work fatigue), 동적 균형 검사, 신체성분 검사를 위해 사용되었다. 등속성 근기능 검사는 어깨와 허리, 무릎 관절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 후 동측 불균형과 좌 우측 불균형 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 A3, A4, A5, A6, A8 선수는 어깨의 근력과 파워 훈련이, A1, A2, A7, A8 선수는 어깨의 근지구력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2, A5, A8 선수는 허리의 근력과 파워 강화 훈련이 필요하였고, A1, A8 선수는 허리의 근지구력 강화 훈련이 필요하였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무릎과 허리의 동측 근력비가 정상적이지 못했는데, 이의 개선을 위해 A2, A3, A4, A8 선수는 복근의 강화가 필요했고 A3, A5, A6, A7, A8 선수는 햄스트링의 강화가 요구되었다. 선수들의 BMI 평균은 24.90 $kg/m^2$, 체지방율은 12.23%, 반응시간 평균은 324 msec, 밸런스 점수는 각각 2.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카나디언 엘리트 선수들은 근력 불균형에 의한 경기력 저하와 상해 잠재 위험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근기능 검사를 통한 관리와 함께 적절한 훈련 처방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에서의 부분적 체중지지가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전연구 (The Effects of Arm Function in Sitting With Body Weight Support in Cerebral Palsy : A Preliminary Study)

  • 박소연;이상헌;김태호;권오윤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42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앉은 자세에서 현수를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해주었을 때 상지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 아동 5명과 뇌종양 아동 1명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 harness를 착용하여 부분적 체중지지를 하기 전과 착용한 상태에서 손 뻗기 동작을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어깨관절과 손뻗기 동작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고, Box and Block 검사를 실시하여 체중지지 전과 착용 시 상지 기능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을 사용하였다. 어깨관절의 관절 가동범위와 Box and Block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팔뻗기 동작의 수행 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대상자 마다 연령 및 손상의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지만, 앉은 자세에서 harness를 이용하여 부분적 체중지지를 적용하였을 때 상지의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향후 다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PDF

동작관찰과 시각적 되먹임 융합 운동이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의 정렬,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ction Observation and Visual Feedback Convergence Exercise on the Alignment, Pain and Function of Forward Head Posture and Round Shoulder Posture)

  • 강효정;양회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23-128
    • /
    • 2018
  • 본 연구는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에 대한 일반 운동과 동작관찰, 시각적 되먹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를 가진 24명으로 하였으며, 일반 운동군(8명), 동작관찰군(8명), 시각적 되먹임군(8명)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모든 운동군은 주 3회, 총 4주간 운동하였다. 운동 전 후 머리척추각(CVA), 둥근어깨자세(RSP), 시각적 상사척도(VAS), 경부장애지수(NDI)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CVA는 일반 운동군과 동작관찰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RSP, VAS, NDI의 경우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운동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VAS에서 동작관찰군이 일반 운동군과 시각적 되먹임군보다 큰 변화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동작관찰이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유방암 수술 후 방사선치료중인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심폐기능 및 어깨관절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houlder Joint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Surgery)

  • 채영란;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4-466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houlder joint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 went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Method: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N=12)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shoulder stretching, arm weight training, and walking on treadmill. Maximal oxygen uptake (v2max), maximal running time,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and shoulder functional assessment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Baseline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data we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the Fisher's exact test and Mann- Whitney U test. For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Result: 1) Following the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both v$\alpha$ max and maximal running time tended to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2) Shoulder abduction, extension and flexion of the operated upper extrem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contro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program(p<0.05). 3) Shoulder flexion of the normal upper extrem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contro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program(p<0.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surgery can improve shoulder functions and increase cardiopulmonary functions, which are maximal oxygen uptake and maximal running time.

  • PDF

일부 농업인에서의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he Prevention Program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ne Farming Village)

  • 권순찬;류현철;인희교;이경숙;이수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3권1호
    • /
    • pp.1-10
    • /
    • 2008
  • 일개 농촌 마을에서 농한기를 활용하여 시행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사업을 소개하고 주요 사업결과를 분석하여 농업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6년 12월 5일부터 2007년 1월 26일까지 사곳리 마을회관을 12회 방문하여 4번의 기초교육과 5번의 심화교육 등 9번의 근력 및 유연성 강화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사전평가), 기초교육과 심화교육 사이(중간평가), 교육 후(최종평가) 등 3회에 걸쳐 의사 2인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평가, 시각통증척도에 의한 근골격계 통증 평가, 생활체육 전문가 3인에 의한 좌우의 악력, 배근력, 하지근력, 몸통, 어깨, 하지, 무릎유연성 측정을 통한 근골격계 근력 및 유연성 평가, 설문지를 사용한 어깨, 허리, 무릎의 기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12회의 일정 중 1회 이상 참석한 농업인은 총 57명이었으며 남자가 20명(35.1%), 여자가 37명(64.9%)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0.7(±8.1)세였다. 근골격계 질환 검진에서 한 번 이상의 검진을 받았던 43명중 32명(74%)이 한 가지 이상의 근골격계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퇴행성관절염이 26명(60.5%), 근막통 증후군이 19명(44.2%), 허리디스크가 10명(23.3%)이었다.목어깨, 허리, 무릎다리의 통증정도는 1차, 2차 평가 간, 2차, 3차 평가 간, 1차, 3차 평가 간의 비교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차 평가에서 1차 평가에 비해 목어깨, 허리, 무릎다리 모두 유의한 통증의 감소를 보였다(p<0.05). 근골격계의 기능을 1차, 2차 평가 간, 2차, 3차 평가 간, 1차, 3차 평가 간 비교한 결과 모두 기능점수가 우수하게 변화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력 및 유연성 정도는 좌우의 악력, 배근력, 하지근력, 몸통, 어깨, 하지, 무릎유연성을 측정하였으며 1차 평가에 비해 3차 평가에서 모든 항목에서 근력 및 유연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었고, 농한기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개선 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었지만 이번연구를 통하여 일부 농업인에서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 실시 후 근골격계 질환의 단기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근골격계 질환의 중장기적인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와 농번기를 통한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