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형태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8초

스마트폰 GPS 기반 그래피컬 패스워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Phone GPS based Graphical Password Approach)

  • 김태은;김현홍;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2호
    • /
    • pp.525-532
    • /
    • 2013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단말 환경에서의 정보보호가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정보보호의 한 연구 방안 중 안전하게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방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에서는 자체적인 하드웨어 제약 사항에 따라 높은 보안 등급의 패스워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기 힘든 어려움을 가진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순한 문자들을 패스워드로 입력하게 되면 입력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으며, 엿보기 공격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엿보기 공격을 방어하고 사용자 입력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에서 생성할 수 있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그래피컬 패스워드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인간공학적 작업장 분석 및 공정개선 사례

  • 박해천;정문조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64-571
    • /
    • 2003
  • 현대 산업사회는 첨단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생산시설이 자동화되고, 작업형태 또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택트타임(tact time) 분석으로 작업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특정 신체부위만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단순 반복작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어깨, 허리, 손목 등에 통증을 호소하는 근골격계질환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노동부 자료[1]에 의하면 근골격계질환자 수가 2000년 1,009명, 2001년 1,598명이고 2002년 상반기만 1,069명으로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2년 한해 동안만 ○○중공업 253명, ○○조선 158명, ○○자동차 78명의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여 산업재해 판정을 받음으로써, 이로 인한 노동력 상실 및 막대한 비용 손실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중략)

  • PDF

터널구조물에 대한 균열변상의 진전해석이 가능한 유지관리 해석기법 (A Development of Analysis Technique for Defects Which Were Incorporated a Propagation Process of Cracks in Tunnel Structures)

  • 박시현;박성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10-31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등가소성힌지길이 개념을 새롭게 개선하여 도입함하여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시간의 경과 및 외부환경 변화와 더불어 발생 가능한 지하구조물의 변상은 해당 구조물의 구성재료 및 작용하는 외압의 형태 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즉, 장기적인 지반외력의 변화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단부에 큰 휨압축응력과 인장을력이 생기는데, 내측에는 압축이 생기고 외측에는 인장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측벽이나 어깨부에서는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균열발생단면에 대하여 축력, 휨모멘트, 균열폭을 서로 연관 지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균열폭의 확장을 추적해 나갈 수 있다. 해석기법을 토대로 개발된 해석모듈을 이용하여, 본 해석 기법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을 위해서는 수평보구조와 터널구조에 대해 각각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구조물 내에서의 균열의 진전이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가는 것이 표현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 Kim, E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아이언 페이드샷의 운동학적 특성 분석 (A Kinemat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a Iron fade-shot with a Golf Swills)

  • 이경일;오종선;정진영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1-322
    • /
    • 2009
  • 본 연구는 골프 기술 가운데 하나인 페이드샷에 대하여 3차원 영상분석을 시도하여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남자 프로 골프선수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7번 아이언으로 국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운동학적 주요 변인들을 산출하여 그 변인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지도 방법 및 원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클럽헤드의 궤도는 아웃사이드에서 인사이드의 형태로 나타나 클럽헤드의 궤적이 이상적인 패이드 샷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체중심은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나타날 때 실패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성공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킹은 임팩트 후 자연스럽게 팔로스로우를 하여 손목을 풀어 주었으며 움직임의 순서에서 어깨 동작이 먼저 이루어지고 허리가 따라가는 형태로 나타났다. 고관절 각속도는 지연히팅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페이드샷이 이루어지는 형태와 일치되었으며 클럽헤드의 속도 또한 임팩트시 코킹이 풀리면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트 암 엔드-이펙터 궤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Trajectory of Mast Arm End-Effector)

  • 문진수;김철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51-157
    • /
    • 2006
  • 생활수준이 향상 될수록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는 요소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로봇이 지면에 고정된 장치산업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폭넓은 응용가치가 기대되는 휴먼 로봇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휴먼로봇은 사람을 대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관련 하드웨어의 부족으로 매우 단순하고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구학적인 메커니즘과 제어장치를 개발하여, 어깨와 팔을 3자유도 형태로 마스트 암을 구성하고, 관절변수의 특성과 엔드-이펙터 궤적실험을 통하여 사람과 유사한 동작을 재현하였다.

트랙터 시트의 인간공학적 설계 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rgonomic Design Factors for Driver's Seat of Tractor)

  • 장지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9-64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트랙터와 운전자의 인터페이스에서 중요한 연결고리인 트랙터 시트에 대한 인간공학적 설계인자의 도출이다. 대상 인구집단은 한국과 미국의 성인남녀이며 앉은엉덩이오금수평길이, 앉은어깨뼈높이, 앉은팔꿈치 높이 등 7종의 인체측정변수를 사용했다. 시트 설계 인자로는 좌석면의 크기, 등받이의 크기 및 팔걸이의 위치를 도출했다. 척주의 형태와 피복 효과 또한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의 결과가 소형 트랙터에 적용되는 시트의 설계 과정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전이성 간암으로 인한 어깨통증 환자에서 박동성 고주파술 경험 - 증례보고 - (Pulsed Radiofrequency Lesioning of the Suprascapular Nerve for Referred Shoulder Pain due to Metastatic Liver Cancer - A case report -)

  • 김형태;장인수;한상지;이준학;권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230-234
    • /
    • 2007
  • A diagnosis of shoulder pain is varied and difficult to make. The initial onset of liver cancer is difficult to detect and patients typically do not complain of symptoms as most tumors are asymptomatic. If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develop, the first symptom is usually pain that extends from the abdomen to the back and shoulder. A suprascapular nerve block is used in the treatment of the referred shoulder pain due to a metastatic hepatoma, but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has been limited because of its short duration. Recently, the advent of pulsed radiofrequency (PRF) lesioning has proved a successful treatment for chronic refractory pain involving the peripheral nerves. We experienced a case of a 66-year-old male patient complaining of referred right shoulder pain due to metastatic liver cancer, which was relieved after PRF lesioning of the suprascapular nerve.

어깨관절 벌림 시 부하 형태에 따른 근활성도 분석 (Analysis of Electromyography in Accordance with Abduction Angle of Shoulder Joint)

  • 권원안;김상수;이상학;김기철;민동기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2호
    • /
    • pp.67-75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gle at the shoulder joint abduction compare muscle activity by analyzing abduction in normal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shoulder joint which muscles are activated exactly know what its purpose is. Methods : 15 students with a healthy shoulder abduction angles ($45^{\circ}$, $90^{\circ}$) according to the trapezius (upper, midder, lower), infrasupinatus, deltoid, pectoralis major, serratus anterior, latissimus dorsi muscle activity of the were analyzed. How the% MVIC EMG activity of each muscle EMG signals were standardized.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23.6 years old, and is a key 175.6Cm, weight 70.66Kg respectively. $45^{\circ}$ non-load Pectoralis major, load Deltoid, $90^{\circ}$ non-load Deltoid, Latissimus dorsi load showed the most activity.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uscle activity of the muscles in order to mobilize the comparison of the active muscles, but the experimenter with a rang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at every time I was able to find the average. Based on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future studies.

다양한 진동 패턴에 따른 신체 부위의 촉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Tactile Effects on the Different Body Parts by the Various Vibration Patterns)

  • 이환문;유용희;송찬호;정진언;성미영;전경구;이상락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63-16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진동 소자로 제작한 진동 패드의 촉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과 설문을 통해 신체 부위별로 가장 현실감이 뛰어난 진동 패턴을 제시한다. 실험 방법은 $4{\times}4$ 배열 형태의 16개의 진동 소자를 이용하여 진동 패드를 제작하였다.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각 진동 소자의 떨림 여부와 강도를 제어하며, 게임에서 자주 사용되는 음향 효과인 총소리에 의해 자동으로 다양한 진동 패턴을 생성하여 신체 각 부위에 여러 가지 패턴의 촉감 자극을 추어 그 현실감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진동 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사격 게임에서의 현실감이 좋으며, 어깨 부위가 가장 현실감 있는 부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한 네 가지 패턴 중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지는 느낌의 실험 패턴 형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 부위와 진동 패턴에 의한 촉감 효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사용자 실험으로서, 진동으로 촉감을 제공하는 햅틱스 분야의 연구를 위한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