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조윤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Brewed with Improved-Nuruk (개량누룩을 이용한 전통주의 품질특성)

  • 김태영;윤인화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7 no.3
    • /
    • pp.399-404
    • /
    • 1997
  • 우리의 전래 민속주는 중국 둥과 같이 곡류 위주의 양조방식으로 발달하여 고대에는 그 기술이 일본 등에 전수될 정도로 선도하였으나, 조선말을 전후한 역사적인 시련기 속에서 별다른 개발을 보지 못한 가운데 서구적인 문명의 영향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민속고유주의 개발 내지 재현보다는 서구적인 양조방식 혹은 외래주류의 모방 및 개발에 역점이 주어지고, 원료면에서 식량자원의 제한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오면서부터 그 쇠퇴일로를 거듭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 민속주류의 올바른 복원과 현실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우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Ceyuan (測圓海鏡) and Jiuyong Yandai (九容演代)

  • Cheng, Chun Chor Litwi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7 no.1
    • /
    • pp.13-30
    • /
    • 2014
  • The book ${\ll}$Ceyuan Haijing${\gg}$ studies inscribed and circumscribed circles in a right triangle and shows equations that give the diameters of the circles. We discuss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tents written by the scholar Yang Zhaoyun in Qing dynasty on the contents of ${\ll}$Ceyuan Haijing${\gg}$ in his book ${\ll}$Jiuyong Yandai${\gg}$. He derived equations to find the diameters of the circles based on algebraic knowledge known in the Qing dynasty. In this paper, we conclude that Yang's methods in devising the equations include the Gou-Gu Theorem, mathematical expressions derived from Gou-Gu ratio table, and the technique of interchanging triangles and events. We conclude that the Gou-Gu ratio table was a very important tool when Yang devised the equations in ${\ll}$Ceyuan Haijing${\gg}$.

Zymological Properties of Foxtail Millet Wine-making by Isolated Strains from Nuruk (누룩에서 분리한 우수균주에 의한 좁쌀주의 양조특성)

  • Yu, Cheol-Hun;Hong, Sung-Yeun;Koh, Jeong-Sam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5 no.3
    • /
    • pp.138-144
    • /
    • 2002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oxtail millet wine, zymological properties by isolated strains from Nuruk were investigated. Saccharomyces sp Y5-1 as brewing yeast, Aspergillus sp. M6-3, Aspergillus awamori 6970, and Aspen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6959 (KCTC) as saccharifying molds were used, respectively. Acid content, soluble solids, color (b) and alcohol contents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Ethanol concentration of millet wine made with Nuruk by Aspergillus awamori 6970 and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6959 were higher than the other, 10.6 and 10.1% respectively. Citric acid was only detected on $1{\sim}2$ day starting fermentation. Oxalic acid,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f millet wine were high in the wine made of Nuruk by Aspergillus usamii mot. shirousamii 6959, Aspergillus awamori 6970 and traditional Nuruk, respectively. During fermentation, glucose and xylose was higher than the others. Xylose was increased, but most of other sugar were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cetone, ethyl acetate,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buthanol and iso-amyl alcohol were detected In the wine made with Nuruk by Aspergillus awamori and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iso-imyl alcohol and ethanol were high. On sensory evaluation, the wine made with Nuruk by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was the best on color and taste.

The in vivo and in vitro evaluation of chitosan nanofiber membrane

  • Park, Ho-Nam;Lee, Myeong-Hui;Sin, Seung-Yun;Kim, Gyeong-Hwa;Kim, Jeong-Bin;Choe, Yeong-Suk;Lee, Sang-Cheol;Lee, Ju-Yeon;Seol, Yang-Jo;Gu, Yeong;Ryu, In-Cheol;Han, Su-Bu;Lee, Seung-Jin;Park, Yun-Jeong;Jeong, Jong-Pyeong
    • 대한치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1a
    • /
    • pp.144-145
    • /
    • 2004
  • PDF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Until 1945) (누룩 미생물의 문헌적 고찰 (1945년 이전을 중심으로))

  • Yu, Tae-Shick;Kim, Hyun-Soo;Hong, Jin;Ha, Hyun-Pal;Kim, Tae-Young;Yoon, In-W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170-179
    • /
    • 1996
  • 누룩은 생소맥을 조분쇄하여 물로 혼합시켜 자연적으로 공지중의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배양시켜 만들었다. 그러므로 누룩에서는 많은 종류의 사상균, 호모와 세균이 증식하였다. 누룩의 당화력은 원료 생소맥의 당화력과 대부분의 사상균의 당화력과 알붕의 세균성 당화력에 기인하여, 발효력은 누룩효모와 극소수의 사상균애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1945년 이전까지 누룩으로부터 12속 59종의 사상균이, 8속 29종의 효모와 4속 16종의 세균이 분리 되었다. 누룩사상균은 Aspergillus 속이 주종을 이루었고 Rhizopus속, Absidia속, Nucor속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spergillus속과 Rhizopus속은 중요한 누룩 당화균으로 작용하였다. 누룩의 대표적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이며 , 이균이 알코올 발효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며, Saccharomyces cerevisiae도 전통 민속주의 탁주와 약주의 발효역에 깊이관여한다고 사료된다. 누룩 중에 증식하는 세균은 양조학상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지않지만 Bacillus 속 과 젖산세균이 많이 분리되었으며, 젖산세균은 담금초기에 pH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 PDF

The $Fc{\gamma}$ receptor III genotype as a risk factor for aggressive periodontitis in Korean patients (한국인 급진성 치주염 환자의 위험요소로서 $Fc{\gamma}$ III 수용기의 유전형)

  • Kim, Myung-Hyun;Shin, Seung-Yu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13-123
    • /
    • 2006
  • 연구배경 IgG에 대한 $Fc{\gamma}$ 수용기는 치주병인균에 대한 숙주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중 $Fc{\gamma}RIIIa$는 NK 세포, 대식세포, 단핵구, ${\gamma}{\delta}T$세포에서 발현되며, EC2 도메인에서 158 아미노산 부위의 valine (V)-phenylalanine (F)의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Fc{\gamma}RIIIb$는 특이적으로 중성구에 발현되는데, extracellular (ECl) Ig-like 도메인 내 4개의 아미노산 치환(substitutions)에 의한 NA1-NA2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급진성 치주염 환자와 $Fc{\gamma}III$ 수용기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재료 치주적으로 건강한 90명 (대조군, 남자 64명, 여자 26명)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지주과에 내원하여 급진성 치주염으로 진단된 환자 43명 (aggressive periodontitis patients: AgP, 남자 30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실험 대상자는 임상 실험에 대해 동의 하였고, 초진 시 전자 탐침(Florida Probe(R) Co. Gainesville, FL)을 이용하여 탐침 시 치주낭 깊이 (PPD), 임상부착수준 (CAL), 치태지수(PI), 탐침 후 출혈지수 (BOP)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대립 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Fc{\gamma}RIII$ 복합 유전형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1. $Fc{\gamma}RIII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 결과 대조군과 급진성 치주염 환자 군(AgP)사이에서는 대립 유전자 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P<0.05), $Fc{\gamma}RIII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Fc{\gamma}RIIIa$ 158F 대립형질이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유의성 있게 많이 발견되어졌다. (P<0.05)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Fc{\gamma}RIIIa$ 유전자의 분석이 한국인의 급진성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의 위험요소의 표지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