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적데이터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n the validation methods of calibration considering correlations (상관관계를 반영한 신용등급 계량화 검정기법 연구)

  • Kim, Enn-Na;Ha, Je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3
    • /
    • pp.407-417
    • /
    • 2010
  • In Basel II compliance, internal rating systems are allowed for banks to enhance the self control and the validation of the system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e validation methods are composed of qualitative test and quantitative test, three basic standards of which are discriminatory power, stability and calibr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quantitative tests for calibration and find a new method for it. These methods for discrimination between forecasted PD and observed PD include binomial test, chi square test, Brier score, traffic lights approach, normal test and extended traffic lights approach. We introduce a modified extended traffic lights approach considering asset correlations.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Performances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연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Han, Jeong-min;Lee, Young-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8
    • /
    • 2017
  • 우리나라 연구개발(R&D) 투자는 2014년 기준 세계 6위, G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은 4.29%로 세계 최고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정부 R&D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 투자 규모 증대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역량의 양적 증대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 또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활용 측면에서 기술사업화로 연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R&D 예산 및 성과 활용의 양적 질적 증대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연계되지 못하고 휴면 상태로 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막대한 예산, 특히 정부 R&D 예산 투입에 의하여 창출되는 연구성과가 기술이전뿐만 아니라 사업화까지로 연계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각 요인 간 영향 및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대해 정량적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에 관한 연구를수행함에 있어 결정주체, 정책/제도 등의 관점에서 분석한 정태적 접근과, 사업화 전체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분석한 동태적 접근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산 학 연 및 정부의 기술이전 사업화 관련자들이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효과적인 사업화 전략 수립을 통해 성과 확산에 기여하는데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ata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데이터 과학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Bongchul Kim;Bomsol Kim;Jongho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5
    • /
    • pp.417-425
    • /
    • 2022
  • The 'Comprehensive Plan for Nurturing Digital Talents' reported at the Cabinet meeting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ugust 2022 focuses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informatics education centered on SW, AI education.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science education is also drawing attention as a field of informatics education. Data science is originally a field where various studies are fused, and advanced technologies are being used for data analysis, modeling, and machine learning. This study devised a draft of the instructional model of data scienc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developed a final instructional model through usability test and expert validation.

A Case Study Of Scientific Gifted Education in Russia (러시아의 과학영재교육 사례연구)

  • Oh, Hee-Jin;Lee, Hyo-ny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1
    • /
    • pp.85-100
    • /
    • 2008
  • Korea has begun institutional education for the gifted since 2002. It has quantitatively expanded, but needs rather qualitative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a case of scient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Three principal of Russian science academy, one educational psychologist, and one education-government official ha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study. All data from interviews were carefully analyzed.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gives us full assurance that students should reveal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the specialized program in school. The Russian run various, particular academies because they try to search for potential ability in manifold areas. The people in charge of scientific education in Korea should make an effort to seek for varied routes in the way of searching for hidden originality and potential ability.

  • PDF

An Analysis of News Trends for Libraries in Korea: Based on 1990~2018 News Big Data (도서관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 1990~2018 뉴스 빅데이터 분석)

  • Han,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3
    • /
    • pp.7-36
    • /
    • 2019
  •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37,818 news articles that were reported on the subject of 'library' for 29 years from 1990 to 2018 in order to analyze the tendency of media coverage about 'library'. First, the quantitative change in media coverag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y time, subject and media type. In addition,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contents of the press and the frames inherent in the p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showed a major interest in the library's informational, educational, and cultural functions, and the trend of the subject's interest wa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at of the library community, except for the issue of librarianship. Lastly, the main attitudes that the media take toward the reporting of library articles were the reporting and advertising functions.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the Character Education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수학교과 인성함양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 Kim, Hyun Joo;Koh,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4
    • /
    • pp.377-400
    • /
    • 2018
  •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make the school classroom as a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based on general classes and naturally realize the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A draft of the instructional model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at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could be improved. The toughness index was measured by using the Character Scale for School Mathematics(CSSM)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we completed a P (personal) instruction model and a S (social) instruction model that can enhance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advisory committee.

Effects of filtering techniques for smoothing reservoir inflow data (저수지 유입량 자료 평활화를 위한 필터링 기법 적용 효과)

  • Youngje Choi;Jaehwang Lee;Moon Hy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4-424
    • /
    • 2023
  • 댐, 저수지 등 수자원 시스템분석 시 가장 기초가 되는 유입량 자료는 실측 수위(저수량)와 방류량을 역산하여 산정된다. 이 중 댐 수위는 수표면 진동으로 인해 변동이 크며, 특히, 급격한 수위 변화가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수위-저수량 변환 시 큰 오차가 발생하여 유입량 진동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하지만 홍수기 저수지 운영 효과 분석 등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시간 간격이 짧은 10분 또는 1시간 단위의 유입량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관련 연구 수행 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등을 통해 실측 유입량 자료를 보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 평활화를 위해 이동평균법을 적용하면 데이터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는 있지만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첨두 유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거나, 첨두 유입량 발생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유입량과 같이 변동이 큰 수문자료의 평활화를 위해 가우시안 가중 이동평균법(Gaussian-weighted moving average technique), 사비츠키-골레이 필터링기법(Savitzky-Golay filtering technique) 등 필터링 기법을 댐 유입량 보정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에 발생한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충주댐, 합천댐 등 다목적댐 유입량 자료를 수집하고, 보정을 수행하였다. 필터링 기법의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실측자료와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와 비교하였고, 추가적으로 비교적 변동이 작은 일 단위 유입량 자료와의 양적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실측자료와의 양적 차이가 작고, 첨두 유입량 및 첨두 유입 발생시간에서도 차이를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Performance of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witter Big Data Analysis (트위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육의 성과요인 분석)

  • Joo, Kilhong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5 no.3
    • /
    • pp.215-223
    • /
    • 2019
  • The wave of the information age gradually accelerates, and fusion analysis solutions that can utilize these knowledge data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various forms of big data such as large capacity texts, sounds, movies and the like are increasing, Reduction in the cost of storing data accordingly,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etc. resulted in quantitative qualitative expansion of data. Such a situation makes possible utilization of data which was not trying to be existing, and the potential value and influence of the data are increasing. Research is being actively made to present future-oriented education systems by applying these fusion analysis systems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on Twitter, analyzed the natural language of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word, quantitative measure of how domestic windows education problems and outcomes were done in it as a solution.

데이터 기반 유사연구영역 효율성 제고 방안 및 과제 우선순위 도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출연연 사례 및 AHP분석을 중심으로

  • Jeong, Jae-Yeon;Choe, San;Gang, In-Je;Jeong, Jae-Ung;Han, Yu-Ri;Jeo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7-547
    • /
    • 2017
  •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R&D 투자 규모는 세계최고의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개발 예산의 양적인 확대 및 성장과 함께 상대적으로 연구개발 예산의 효율적 활용이 중요한 과학기술정책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R&D사업 유사영역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의 의사결정을 돕는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지표들을 제시하였다. 그 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효율성 지표들을 NTIS에서 추출한 2015년 정부출연연구기관 R&D 사업 데이터와 연계하여 실질적으로 측정과 사용이 가능한 정량적 지표들만을 따로 선별하였다. 또한 정부 R&D사업 효율성 지표들의 가중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수행하였으며 계층분석기법의 결과로 나온 가중치를 효율성 지표들에 적용하여 과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정책의 수립, 실행 및 조정 시 고려해야 할 지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유사연구영역 관련 정부 R&D 정책수립에서 실행까지의 연계를 강화시키고 국가적으로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Concept Extraction Method for Image Based on Human's Natural Abilities (인간의 생득적 능력에 기반한 이미지의 의미정보 추출방법)

  • Park, Hyung-Kun;Lee, Yill-B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307-310
    • /
    • 2011
  • 최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급속한 증가는 그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기술이 인간과의 상호 작용에서 그 양적 범위와 질적 깊이를 더해감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그 중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지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저수준(low level)의 시각 정보만을 이용하는 경우 인간과의 상호 작용에서 의미 격차(conceptual gap)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미지 객체의 시각 정보들을 가공해서 온톨로지(ontology)와 같은 형태의 지식 베이스(knowledge base)와 연동하여 보다 고수준의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메인을 벗어난 새로운 환경에 대해 적응력과 강인함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 베이스가 없는 상태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형태로 주어진 대상 객체로부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정보들을 추출해, 구조적으로 지식 베이스를 형성해 나가고 이를 토대로 대상 이미지 객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발달 심리학 이론들을 바탕으로 시각과 관련된 인간의 생득적 능력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우선 주어진 이미지 객체로부터 의미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