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이온화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녹차색소의 특성과 염색성 (제 3보) -면섬유에 대한 녹차색소의 염색성- (Characteristics and Dyeing Properties of Green Tea Colorants (Part III) -Dyeing Properties of Cotton with Green Tea Colorants-)

  • 신윤숙;최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0-516
    • /
    • 1999
  •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with green tea colorants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yeing conditions such as colorants concentration. pH dyeing temperature and time on dye uptakes effects of mordats on dye uptakes and color change and effects of cationizing agent on dye uptakes. And various colorfastnesses of dyed fabrics were evaluated for practical use. Green tea colorants showed low affinity to cotton and produced yellowish red color.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was obtained thus it is considered that hydrogen bondings are formed between colorants and cotton. Dye uptake was maximum at pH 5 and decreased as pH increased. Mordants especially Cu and Sn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dye uptake. Dye uptakes were improved remarkably by cationizing. Cationized cotton showed Langumuir adsorption isotherm indicating that ionic bondings were formed between colorants and cationized cotton. While mordanting did not affect lightfastness cationizing affected adversely. Colorfastness of cationized sample was generally inferior to that of mordanted samples.

  • PDF

천연염료의 염색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s)

  • 서명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3-477
    • /
    • 2004
  • 양이온화 처리에 의한 면직물의 홍차색소에 대한 염색성을 향상시키고 그 유효성을 밝히고자 양이온화제 처리조건이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 염색조건이 양이온화제 처리직물의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세탁, 땀, 마찰 및 일광견뢰도를 측정하였다. 면직물은 양이온화제 전처리에 의해 염착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Langmuir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주로 이온 결합에 의해 염착이 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면직물에 대한 홍차색소의 시간에 따른 염착량은 40분간의 염색으로 빠르게 평형염착이 이루어졌으며, 온도와 pH에 따른 염착량은 10$0^{\circ}C$, pH 5에서 최대염착량을 보였다.

  • PDF

양이온화 처리 한지의 천연염색성 (Improvement on Dyeability of Hanji with Natural Dyes Using a (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 유승일;오의명;민유리;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3호
    • /
    • pp.88-97
    • /
    • 2011
  • We carried out cationization of Dak pulp (paper mulberry bast fiber pulp) which is raw material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using a (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to improve dyeability during a dyeing of Hanji with Gardenia (Gardenia jasminoides) and smoke tree (Cotinus coggygria). Fiber specific charge densities were determined using polyelectrolyte titration method and K/S values of dyed Hanji was calculated by Kubelka-Munk equation. As the result, fiber specific charge density increased with degree of cationization. Colors of Hanji dyed with Gardenia did not vary significantly with degree of cationization, but cationized Hanji dyed with smoke tree showed a large increase of a* value and reddish yellow color. After-mordanting did not decrease K/S value of dyes with cationized Hanji. K/S values of dyed Hanji decreased with increasing dyeing temperature. For smoke tree, the cationization impair lightfastness of dyed Hanji without mordant. After-mordanting with copper acetate or iron chloride improved lightfastness of dyed Hanji.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합성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Poly[DMA-co-DAMA] 에멀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방수성- (The Study on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 -The Waterproffing Effeet of Cement Mortar by Poly[DMA-co-DAMA] Emulsion-)

  • 김영근;허동섭;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69-680
    • /
    • 1994
  •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함유한 긴 탄화수소 화합물인 dodecylmetacrylate와 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로부터 DMA-co-DAMA를 합성하고 물에 쉽게 유화시키기 위해 양이온화 하여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와 아세트화 공중합체의 구조를 IR, NMR 등으로 확인하고 GPC로부터 분자량을 산출하였으며 C. H. N분석도 하였다.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는 물에 완전히 유화가 가능하였고 물에 대한 유화 안정성이 증진되었다. 위에서 합성한 아세트화 아크릴공중합체에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Oleic acid, Triethanolamine을 브렌딩하여 제조된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PDCM-PDD)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가지고 용융시험한 결과 45배 희석시 강도비 1.02, 흡수비 0.36~0.57, 투수비는 수압 $100g/cm^2$에서 0.44, $3kg/cm^2$에서 0.55로 우수한 방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양이온화 뉴레이온(코셀) 직물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 오배자를 중심으로 - (Natural Dyeing of Cationic-modified New Rayon (cocell) Fabric - Gallnut-)

  • 김하연;이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6-36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stantivity of anionic dyes for cationic-modified new rayon (cocell) fabric treated with cationic agent (CA), 3-(Chloro-2-hydroxyprop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A). We also investigate the dyeability of cationic-modified new rayon fabric after dyeing with gallut. CA was converted in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into epoxyprop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Treating with this epoxy reagent modified the hydroxyl groups of the new rayon fabric into the trimethylammonium group through ether linkage. The introduction of new cationic sites into new rayon fabric by pretreating with cationic agent improved the substantivity of the Gallnut dye with the new rayon dyebath. The degree of the cationization of cationic-modified new rayon and cotton fabric was evaluated by nitrogen (N) content. This study extracted the colorant of gallnut with hot water at $90^{\circ}C$ and 120 min. Cationic-modified new rayon fabric dyed with extracted solution from gallnut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gallnut,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concentration of cationic agent. Dyeability (K/S) was obtained by CCM observation after dyeing with gallut solution. In addition,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ere also investigate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new rayon and cotton fabric were 42.15% and 54.94%, respectively. N (%) content of cationic-modified new rayon was higher than the cationic-modified cotton. Dyeability (K/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 and gallut.

구리전해도금에서 알킬아민의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Alkylamines on Cu Electroplating)

  • 이재원;신영민;방대석;조성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알킬아민이 구리전해도금에 미치는 영향을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해 분석해보았다. 수용액상 용해도를 갖는 알킬아민을 도금액에 첨가할 경우, Cu2+의 환원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알킬아민 중 1,12-diaminododecane에 대해 다양한 농도 및 도금액 조건에서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1,12-diaminododecane은 산성 도금액상에서 protonation 되어, Cu2+의 착화제로써 작용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1,12-diaminododecane의 억제 효과는 Cu 표면상 흡착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2-diaminododecane는 (i) protonation에 의한 양이온화와 그에 따른 Cu 표면상 기흡착한 음이온과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과 (ii) amine에 의한 Cu 표면상 직접 흡착의 두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흡착한 1,12-diaminododecane은 도금 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리도금막 형성시 3차원적 성장과 표면 미세화를 야기하였다.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합성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II) - 아크릴공중합체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터의 방수성 - (The Study on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 (II) - The Waterproofing Effect of Cement Mortar using Acrylic Copolymer -)

  • 김홍대;김영근;김승진;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679-690
    • /
    • 1996
  • 긴 탄화수소를 함유한 alkylmethacrylate와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로부터 아크릴공중합체를 합성하고, 물에 쉽게 유화시키기 위하여 아세트산으로 양이온화하여 아세트화 아크릴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아세트화 아크릴공중합체는 물에 완전히 유화가 가능하였고, 물에대한 유화 안정성이 증진되었다. 위에서 합성한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 합체에 sodium gluconate, oleic acid, triethanolamine을 브렌딩하여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PDCM-PSD)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를 가지고 응용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분산, 방수효과(0.3~0.5)를 확인하였다.

  • PDF

Diethylaminoethyl Chitin 유도체의 제조와 그들의 응집거동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The Diethylaminoethyl Chitin Derivatives and Their Flocculating Behavior)

  • 김천호;김소연;정병옥;김재진;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237-245
    • /
    • 1997
  • DEAE-chitin은 alkali-chitin 용액에 DEAE HCl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DEAE-chitin은 물과 유기용매에 대한 향상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DEAE-chitin은 chitin의 탈아세틸화반응보다 온화한 조건인 sodium borohydride를 함유하고 있는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80^{\circ}C$에서 9시간동안 탈아세틸화반응을 행하여 DEAE-chitosan을 제조하였고, DEAE-chitin의 양이 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ethyl halide를 이용하여 4차화시킴으로써 4차 암모늄기를 가진 TEAE-chitin유도체를 각각 합성하였다. 이들 합성유도체들의 반응에 따른 구조변화는 FTIR, $^1H$ NMR 등으로 확인하였고, 카올린 현탁액을 이용한 응집실험결과 pH가 약 알칼리일 때, 그리고 수지농도가 8ppm일 때 최적의 응집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홍화 황색소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성 증진 (Improving Dyeability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on Cellulose Fibers)

  • 신윤숙;조아랑;류동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54-1760
    • /
    • 2007
  • 홍화 황색소의 면, 마,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키토산 전처리를 행하였다. 키토산 전처리가 염착성, 색상,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키토산 전처리는 염착성을 증진시켰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다. 2% 처리농도에서 미처리와 비교할 때 면은 5.6배, 모시는 7.2배, 레이온은 3.7배 염착량이 증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한 면과 모시는 YR 색상에서 Y 색상으로 변화하였으며, 레이온의 경우에는 전처리와 상관없이 Y 계열의 색상을 보였다. 키토산 전처리에 의해 색상은 노란색이 강하여졌으며 더 진하고 깊은 색상으로 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 직물은 염색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였는데 공통적으로 50, $70^{\circ}C$에서는 YR 색상을 30, $90^{\circ}C$에서는 Y 색상을 나타냈다.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색상은 진하고 칙칙하였다. 세탁견뢰도는 아주 낮았으며, 일광에 매우 약한 홍화 황색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일광견뢰도는 양호한 편이었다. 기존의 자동 염색기로 염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초음파 염색법이 면과 모시의 염착량을 30% 이상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레이온의 경우, 두 방법간의 염착량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