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육 지식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지식과 영아와 상호작용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 홍순옥;김성혜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5-7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parenting knowledge,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infant, and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by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311 mothers. Instruments were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Larsen & Juhasz, 1986) and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bbott-Shim & Sibely, 1987).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Results showed (1) differences about parenting knowledge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age and education level, (2) differences in mother-infant interaction by mothers' age and education level, (3) parenting knowledge about physical develop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ositive interaction, linguistic modeling, and sensitive response knowledge about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had a large effect on positiv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linguistic modeling.

  • PDF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부모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rental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on Elementary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arental Efficacy and Parenting Anxiety)

  • 조찬희;김교헌;이형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7-187
    • /
    • 2021
  • 대한민국 국민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에서 2019년 사이에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게 성장했다. 취업모의 자녀돌봄휴가나 남편의 배우자 출산휴가와 같은 일가정 양립정책의 확산으로 맞벌이 비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고등교육 이수자 증가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부모의 교육적 경제적 수준은 이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또한 자녀 양육에 있어 양육분담을 하는 가족지원과 자녀와의 대화 및 놀이 활성화의 가정건강성으로 이루어진 가족관계는 개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학부모의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지원과 가족건강성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인 가족관계와 부모교육수준과 부모경제수준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인 부모수준이 부모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의 만 6세 이상 만 11세 이하의 초등학생 1,07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제안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관계와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나 부모수준 그리고 부모효능감은 양육불안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부모수준은 사교육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모효능감은 사교육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가족관계나 양육불안감이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가족관계나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양육불안감에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나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사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과열되고 있는 사교육 분위기 속에서 부모의 경제적 교육적 수준 향상은 사교육을 증가시키지만, 좋은 가족관계에 의한 부모효능감 향상은 양육불안감과 사교육을 낮추는 효과를 거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경영 관점에서 자녀교육과 가족행복이 균형을 이루는 데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이 2세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양육방식의 매개적 역할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Related Factors on Two-year-old Infants' Development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yles)

  • 김종훈;이지영;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9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parenting related factors(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knowledge on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two-year-old infants'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735 mothers and their two-year old infants selected from a sample of the 3rd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conducted in 2010.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identify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were identified via bootstrapp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parenting style most defini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and self-efficacy), parenting related factors(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knowledge on Infant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two-year-old infants.

미숙아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요구도 (Knowledge and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and Rearing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 박지윤;방경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her's knowledge of premature development and rearing and their education need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premature moth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as 73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Knowledge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and rearing was measured b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 The education needs about development and rearing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SPSS 20.0.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on development was 59.3 out of 100. The category of knowledge on language development was rated the highest, and motor development category was the lowest. The score of knowledge on rearing was 77.8 out of 100. The knowledge on bathing category was rated the highest and defecation category was the lowest. The growth education needs for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The method for developmenta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rear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mature infant mothers have less knowledge on premature development than premature rearing, also mothers were interested in development and there were many needs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 PDF

신생아 부모의 양육지식과 양육자신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 이화자;이승아;김명희;김영혜;박남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262-271
    • /
    • 2004
  • Purpose: To explore the level of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113 newborn's parents. Data was collected by researcher from Oct. 28th to Dec. 18th, 2002. Data were analyzed SPSS WIN(10.0) Program. Result: Total score of parents knowledge: Father's mean was 13.59(SD=5.32) and Mother's mean was 17.55(SD=3.72).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knowledge about newborn care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mother's knowledge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father's(t=6.45, p=.000). Total score of parents of newborn confidence: Father's mean was 40.66(SD=7.34) and Mother's mean was 41.88(SD=7.23).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fidence in newborn care between father and mother(t=1.26, p=.209).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nfidence about newborn care of fathers(r=.331, p<.001) and mothers(r=.317, p<.01).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educate fathers to enhance their knowledge about newborn care.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knowledge and accuracy of behavior regarding newborn care.

  • PDF

인형을 이용한 아기돌보기가 전공만족도, 수업만족도, 신생아 양육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aby Care using Dolls on Major Satisfaction, Class Satisfaction, Knowledge of Newborn Care)

  • 김은정;김해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17-425
    • /
    • 2020
  • 본 연구는 인형을 이용한 아기돌보기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수업만족도, 신생아 양육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대학생으로 총 95명이었다. 대조군(n=47)은 신생아와 관련된 동영상 시청과 강의식 교육을 실시하였고, 실험군(n=48)은 인형을 이용한 아기돌보기를 실시한 후 전공만족도, 수업 만족도, 신생아 양육지식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5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전공만족도는 인형을 이용하여 아기돌보기를 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중재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90, p=.061). 인형을 이용하여 아기돌보기를 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수업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3.17, p=.002). 또한 인형을 이용하여 아기돌보기를 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신생아양육지식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2.50, p=.014).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인형을 이용한 아기돌보기가 수업만족도와 신생아 양육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효과적인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 김헤라;김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3-67
    • /
    • 2012
  • 이 연구는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발달 특성 및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매개특성으로 작용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의 일반 조사 대상 가구 중 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078명의 신생아 가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발달, 아동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어머니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헬리콥터 양육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Helicopter Parenting)

  • 이용화;김지현;임소연;채명옥;이혜림;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37-246
    • /
    • 2014
  • 목적 최근 들어 청소년기 후반부터 성인기 초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많이 보여주고 있는 헬리콥터 양육의 개념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개념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양육방식과 구별되는 헬리콥터 양육의 속성을 추출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선행요인과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문화적 동향에 발맞춘 간호지식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에 따른 개념분석 연구이다. 결과 본 연구의 포함기준을 충족한 연구논문 12편의 분석결과 헬리콥터 양육의 세 가지 속성은 주위를 맴돌기, 깊이 개입하기, 대신 결정하기로 밝혀졌으며, 대체용어로는 블랙호크 양육, 벌새 양육, 호버크래프트 양육이 도출되었고, 관련개념으로는 스텔스기 양육과 가미카제 양육이 확인되었다. 결론 경제 불황 및 취업난, 청소년 대상의 강력범죄율 증가, 통신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헬리콥터 양육이 출현하였다. 헬리콥터 양육은 청소년 및 성인기 자녀에게는 독립 실패 및 자존감 저하, 불안, 우울, 강박증을 발현시키고 부모에게는 소진과 삶의 만족도 저하라는 면에서 부정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심리적 밀착으로 인한 안정감, 경제적 도움 등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영향은 감소시키고 긍정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지식수준 및 요구도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Knowledge Level and Demand of 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Mother)

  • 최미경;신정희;구현경;박선영;한현아;최단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27-24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demand for parent education by mothers of adolescents based on their knowledge of raising a child,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Mothers of 207 middle school adolesc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struments included scales on demand for parent education (Lee, 1995 and Byun, 1999), parenting efficacy (Gibaud-Wallston & Wandersman, 1978), and parenting stress (Kim, 2004 Abidin, 1990). Results showed mothers high in knowledge of parenting had higher parenting efficacy and less parenting stress mothers high in maternalanxiety expressed higher demand for parenting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and for their children's academic adjustment; and mothers with higher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ressed higher demand for parenting education.

  • PDF

신생아돌보기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 임산부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 이지민;최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61-57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mo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23 immigrant pregnant wom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D city. The program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period of 3 weeks. The outcome variables were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4 to June 24, 2011,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child 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newborn care self-efficacy for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mpared to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be presented to married immigrant woman at public health centers to enhance their confidence in child-re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