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헤라 (대덕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진경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thus to set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2078 newborns to be involved Korea Children's Panel 1st year. Th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mot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directly. A lower level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a higher level of children's emotionality indicated a higher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 Second, mother's self-efficacy also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level. A lower lev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 Third,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directly through mother's self-efficacy. Mother's self-efficacy which was affected by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aggravate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발달 특성 및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매개특성으로 작용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의 일반 조사 대상 가구 중 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078명의 신생아 가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발달, 아동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어머니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족스트레스 연구회(1994). 엄마의 스트레스. 서울: 창지사.
  2.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3. 김미숙(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혜(2006).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언아(2001).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윤정(1996).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활동 중심 집단 상담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8. 남혜순(1993). 어머니가 지각하는 유아의 기질에 다른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 아동교육, 12(2), 121-135.
  9. 문영경, 민현숙(2012).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1(1), 59-79.
  10. 심연웅(1994).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와 정상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비교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이경하(2009).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수미, 민하영(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6(2), 219-225.
  13. 이숙자(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영주(1998). 장애아동 어머니와 정상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영호(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기존중감과 대처방식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0, 67-97.
  16. 이현정(1996).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희정(2011).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지, 35, 99-126.
  18. 임순화, 박선희(2010).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1-278.
  19. 장희정(2005) 체벌에 대한 신념과 양육스트레스가 체벌 행동을 매개로 아동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모의 양육효능감 중재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정길수, 이경숙(1994). 장애아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404, 879-887.
  21. 하지영, 서소정(2010).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 특성 특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151-168.
  22. 한세연, 박성연(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다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회지, 17(1), 245-258.
  23. 황경자(2002). 중복 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Abidin,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104_12
  25. Bates, J. E. (1987). Temperament in infancy. In Osofsky, J.D.(Eds.), Handbooks of infant development. NY: Wiley.
  26.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0).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predictors. Family Relations, 42, 13-24.
  27.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https://doi.org/10.1002/imhj.10048
  28. Crnic, K. & Acevedo, M. (1995).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Vol. 4(pp. 277-297).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https://doi.org/10.2307/1130428
  30. Jackson, A. P., & Huang, C. C. (2000).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among single mothers of preschooler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26(4), 29-42.
  31. Leahy-Warren, P., McCarthy, G., & Corcoran, P. (2011). First-time mothers: Social support,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and postnatal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 388-397.
  32. Swick, K. J., & Hassell, T. (1990). Parental efficacy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17(1), 24-32.
  33. Teti, C.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34. Thomas, A., Chess, S., & Birch, H. G. (1968). Temperament and 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 NY: New York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