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육죄책감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a Mother's Guilty Conscience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 박희진;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7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종일제 어린이집에 다니는 243명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7.0 for Window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t-test,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학력과 모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의 차이로는,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인 어머니보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고, 취업모가 비취업모보다 긍정적 양육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양육죄책감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 박윤경;이주연;임소라;장희란;강효정;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The Cor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Control in Parents with a child, and Empathy, Humor Sense, Parenting self-efficacy)

  • 김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31-842
    • /
    • 2022
  •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부모의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이하 유아의 부모들에게서 수집한 203부의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낮게, 심리적 통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공감능력 및 유머감각과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공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통제'와, 유머감각의 '유머에 대한 선호도'는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 '자율성통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이외의 요인들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양육죄책감과 아버지 양육지원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the Father's Parenting Support on the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 with Young Children)

  • 김은영;이주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1호
    • /
    • pp.167-18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ather's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her parenting behavior. For the goal, the present study 1)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s the general variables of the mother and child, and 2) examined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her spouse's support o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50 mothers whose infants and toddlers were attending a day-care cent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younger than 29 years old reported more parenting guilt than the mothers aged 35 to 39. Also, the working mothers felt more parenting guilt than the unemployed mothers. Second, when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parenting behaviors, and the father's parenting support are analysed,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nly rejection control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 means that even if the mother feels a lot of parenting guilt, if the father's parenting support is high, her rejection control parenting behaviors tend to appear les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father's parenting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the mother's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희귀유전대사질환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죄책감 (Parenting Stress and Guilty Feeling for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Rare Genetic Metabolic Diseases)

  • 권은경;최미혜;김수강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1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using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the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rare genetic metabolic diseases(MPS, PWS) have parenting stress and guilt feeling. Method: This study used PSI /SF(Abidin, 1995) and Guilt Index as devised herein. From 156 m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July 2006,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received the approval from IRB at S Hospital (IRB File No: 2006-02-014).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Mothers felt very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guilt. Parenting stress was related positively to guilt feel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could help understand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rare genetic metabolic diseases and those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effective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relief of parenting stress and guilt feeling.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argeting on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rare genetic metabolic diseases in Korea.

  • PDF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 오경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10
  • 본 연구는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에 따라 그들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어떠한 특정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이 연구방법으로 이용되었다. 먼저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노인과 높은 노인으로 각각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조부모들은 비자발적 양육책임, 심한 양육스트레스, 가족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 불안한 미래, 자기 돌봄의 부재, 사회적 지지의 부재를 나타내었다. 생성감 수준이 높은 조부모들은 자발적 양육책임, 역전된 부모역할에 대한 긍정적 반응, 양육에 대한 보람, 미래에 대한 희망, 자기 돌봄의 존재, 사회적 지지의 존재를 특징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안을 하였다.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 다면성 (Multifaceted Aspect of Inclusive Care Experienced by Residential Child Care Staffs)

  • 윤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05-317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을 통해 통합보육의 다면성과 성공적 통합보육 수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아동양육시설에서 통합보육을 경험한 10명의 보육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따라 전사 자료를 분석했다. 보육사들은 통합보육 수행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적응과정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에게 충분한 돌봄을 제공할 수 없어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들은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때에 받을 수 있도록 행정기관과의 즉각적 소통의 창구 마련, 장애아동 케어와 관련한 보육사 교육지원 및 특수교사 파견 등을 원하고 있으며, 3교대 정책에 대해서는 모두 반대의견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양육시설에서의 통합보육 다면성에 따른 지원방안으로서 보육사의 처우와 급여 문제, 시설보호아동들의 교육 기회와 양육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을 환기 하는데 있어 향후 연구 방향을 추가로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주말부부와 일반부부의 자녀양육 비교 연구 -유아기와 학령초기 자녀를 둔 부부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Dual Residence Couple's and Single Residence Couple's Child-rearing.)

  • 한유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75-18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dual residence couples and the single residence couples in terms of the situation of child care, development of their child and mother's parenting guilty or parenting stress. Als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parenting guilty and parenting stress of dual residence mothers. The 178 mothers of three to eight tear-old participated the survey. Half of them were dual residence mothers and another half were those of single residence. These two groups were matched in terms of the occupation of the mother and the age of the child.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single residence couples, dual residence couples used multiple methods of child care. And they depended maternal families more than paternal ones as a care-giver. They also payed much more for the child care than single residence couples. 2) Children of the dual residence couples did not differ with those of the single residence couples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3) Dual residence mothers had more parenting guilty than those of single residence while thes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4) While dual residence mother's parenting guil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aternal families, thei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ng with the husband, the mother's age, the flexibility of time in the mother's work place, the mother's orientation to the career, and the supports of the husband. In conclusion, dual residence families in Korea were not so negative as expected.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renting difficulties of the dual residence mothers could be decreased by the change of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and the psycho-social support of the hus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