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육요인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Culturally Responsive Construct of Meta-Parenting : Validation of Korean Meta-Parenting Questionnaire (메타양육 척도(K-MPQ)의 타당화 연구)

  • Han, You-M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21 no.4
    • /
    • pp.499-50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Hawk(2007)이 자녀 및 양육과 관련된 부모의 의도적 사고로 제시한 메타양육(MPQ) 척도를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원래 MPQ에는 예상, 평가,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 등 4개의 요인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상 요인과 반성적 사고 요인이 같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들은 미국 어머니보다 메타양육 수준이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예상과 반성적 사고 요인에 더 높은 점수를, 그리고 문제해결에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K-MPQ는 상당히 안정적 구조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한국 어머니들의 메타양육 요인들은 대체로 양육신념 및 양육실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 Seo, So-J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4
    • /
    • pp.11-27
    • /
    • 2004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자녀양육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자녀 양육행동, 아동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미국 내 거주하는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 의 수혜 자인 저 소득층의 어머니와 영 아들을 (출생∼36개월)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어머니의 연령, 소득수준,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 특히 어머니의 연령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아동발달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서만 유의한 정적인 강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과는 맥을 같이하는 연구결과이지만, 저소득층(high-risk families)의 어머니와 영아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이 연구의 결과는 저소득층을 위한 아동 및 가족의 통합적 복지사업을 실천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사회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회 제공과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서 전문가의 직접적인 모델링을 통한 부모교육을 통해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켜나갈 때, 아동 및 가족 복지 실현의 궁국적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s,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China (중국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 Wang, Dan;Ahn, Doehee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6 no.4
    • /
    • pp.199-229
    • /
    • 2016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yles,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character strength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378 high school students in Zheng Zhou, China.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ing styles,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courage, and peer relations. Third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Also,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mediated between authoritarian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s and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융복합시대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요인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ik, Jin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9
    • /
    • pp.453-461
    • /
    • 201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and to prove the medit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negatively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no effect on them.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s, bu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positively them. Third,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d positively their fandom activities. Fourth,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s had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fandom activities, and they also played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fandom activities.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 Park, Seon-Hye;Park, H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9-1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Extent and Determinants of Fathers' Child Care Time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허경옥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57-71
    • /
    • 1995
  •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기혼여성의 취업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 참여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이 같은 요구는 부의 참여가 기혼여성, 자녀의 성장발달등 가정천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부의 자녀양육시간 연구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동시에 연구대상으로 대두되었다. 이같은 변화속에서, 실제 가정생활에서 부의 자녀양육시간은 개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어떤 개인적, 가정적, 또는 사회인구적 요인들이 양육시간량을 결정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그 의미가 있다. 현대가정의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미혼부 증가, 이혼증가로 인한 편부의 증가, 재혼 증가로 인한 계부의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 각기 다른 가정형태에서의 부의 자녀양육 참여시간을 비료 분석하였다, 또한 부의 자녀양육 시간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노동시장의 근로시간, 개별적 인적 자원, 역할관념, 가정환경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미국 위스콘신대학내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인구 및 생태센터 (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198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로써, "전국 가족 및 공도거주체 조사" (National Survey of Family and Households)에서 추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큰 것으로 검증 되었다. 각 그룹간 비교에서 편부가정의 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많은 시간을 자녀와 놀아주고, 야외활동 및 과제물 도와주기 등에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계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더욱 적은 시간을 자녀와 함께 하였다. 부의 자녀양육시간 결정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에서의 노동 시간, 교육수준, 자녀 연령이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의 직장 근로시간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양육 참여시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자녀를 가진 아버지일수록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BETWEEN CONDUCT DISORDER AND NORMAL ADOLESCENTS (청소년 품행장애와 부모양육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Kim, Kyung-Bin;Lee, Jong-Il;Jhin, Hea-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9 no.1
    • /
    • pp.67-81
    • /
    • 1998
  • Objective: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of parental psychopathology and parenting behavior and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c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in influencing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ce comparing with normal adolescents. Methods:The author assessed 52 conduct disorder who met the DSM-Ⅳ criteria, and 144 normal control subjec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Parental Rearing Behavior Scale'. Results: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1)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duct disorde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father’s anxious emotion subscale, not mother’s. 2)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duct Disorde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ther subscales such as affection, hostility, rational guideline and consistent limitation subscales. Conclusion:The results suggest that father’s psychopathology including overanxious parenting style will predispose a risk factor for conduct disorder than mother’s psychopathology.

  • PDF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 Kim, Young Kyoung;Park, Wan 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4
    • /
    • pp.417-43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pandemic on mother's child-rearing style and provide information on mother-rearing. The significance of regression coefficients was verifi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warm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and the effect of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on warm parenting (β=-).40, p <.001). Moreover, covid infe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rolled child care (β=.21, p=.002), and separ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led child care (β=-26,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can see that the strong belief in mother-rearing and the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healthy children have a great impact on child growth.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receive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정옥분;김경미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5 no.4
    • /
    • pp.105-11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fathers´ child-rearing on thei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6 adolescents from 3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The father´s ‘day-to-day guidance’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The father´s ‘day-to-day guidance’ was the best predictor in predicting the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 perceive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PDF

Caregiving Reward of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Rewards (손자녀 양육 조모의 양육보상감 및 영향요인)

  • Kim, Eun-Jeong
    • 한국노년학
    • /
    • v.32 no.3
    • /
    • pp.851-8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regiving reward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infant grandchildren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rewards in double-earner househol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who are under 6 years of age in double-earner households in Seoul, Gyeonggi-do and six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the hierarch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randmothers' caregiving rewar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 It was also appeared that main factors of the rewards of grandmother were grandparents meaning,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and economic level. This study implies that improving grandparents meaning,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and economic support may be a strategy to enhance the reward of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tervention and welfare policy for elderly careg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