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식 환경 정보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lementation of Modeller and Simulator for Fish Farm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Petri-Net (페트리넷을 이용한 어류양식 환경 정보 모델러 및 시뮬레이터 구현)

  • Ceong, Hee-Taek;Cho, Hyu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3
    • /
    • pp.626-634
    • /
    • 2012
  • It is required that system can seamlessly identify and manage change history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everal types of data as well as individual information of feeding and water environment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fish farming environment and fish farmer.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system which can present and simulate current status of water quality and feeding based on th historical data of them, and check changes of state step by step using visual C++. In addition, we proposed the entropy model which can be comprehensive analysis about water quality and feed status information based on knowledge of fisheries. It can be the foundation to create high-level environment model reflecting the more diverse fisheries knowledge such as disease.

Analyzing the Styles and Types of Math Lear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수학학습양식 및 유형 분석)

  • Kang, Na Ru;Lim, Daekeun;Ryu, Hyunah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2
    • /
    • pp.363-381
    • /
    • 2013
  • The constituents of math learning styles are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cognitive domain and attitudes toward math learning and environments of math learning in the affective domain. Each of the constituents has two opposing styles; there are the visual style and verbal style i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there are the whole style and analytical style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s for attitudes toward math learning, there are two styles which are the authoritative and goal-oriented style and the practical and entertaining style. Also as fo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s of math learning, there are two styles which are the interior-oriented style and exterior-oriented style. There can be classified into 16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by the combination of a total of 8 styles of mathematics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the styles and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Smart Fish Farm Platform in the Future (미래 스마트 양식 플랫폼의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Joowon;Lee, Jongsub;Kim, Youngae;Shin, Yongta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9 no.7
    • /
    • pp.157-164
    • /
    • 2020
  • As the consumption of fishery products continues to increase, aquaculture industry has emerged instead of fishing industry facing limitations of fish stock resources. Recently, smart fish farming industry has rapidly developed through convergence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derive a future model of smart fish farming platforms in order to secure the superiority of the aquaculture industry and the technology standard hegemony. In this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 fish farm platform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environment related to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technology related to smart fish farming by applying PEST methodology of macro-environmen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he public and industrial circl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related projects by including the entire process of value chain of aquaculture industry of breeding, produc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and by presenting advanced model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win.

Effects of Pupils' Learning Styles in Project-based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프로젝트 기반 초등 수학교육의 학습양식 효과분석)

  • Lee, Myung-Geun;Oh, Eu-Ge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1-264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에서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대한 학습양식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이 어떤 양식의 학습자에게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신장에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여, 학습자 중심교육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04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분산자, 융합자, 수렴자, 적응자 학습양식으로 분류하고, 4주간 12차시에 걸쳐 프로젝트 기반 수학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양식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은 수렴자 학습양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학적 태도의 세부요인에서는 수렴자 학습양식의 자신감, 목적의식 신장과 융합자 학습양식의 흥미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집중분석 / 정보화시대의 기술발달로 전자잡지 위상 파악 급선무

  • Kim, In-Suk
    • Digital Contents
    • /
    • no.3 s.94
    • /
    • pp.56-61
    • /
    • 2001
  • 디지털 혁명과 새로운 매체환경 변화로 이제 잡지산업은 잡지언론으로서의 역할과 지식산업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에 서 있다.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결합은 새로운 공동체와 새로운 소통양식을 낳았다. 특히 새로운 소통양식에서는 개인 정보 발신자를 등장시켰는데 독립웹진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송신측면에서는 단일 거대 미디어 업체가 정보내용과 정보유통을 독점하는 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

  • PDF

Discriminant Analysis of IT-Gifted and Average Prim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학습 양식에 따른 초등 정보영재와 일반아의 판별기능 분석)

  • Kim, Yong;Seo, JeongHee;Kim, JaMee;Kim, JongHye;Cha, SeungEun;Yoo, SeungWook;Yeum, YongChul;Jang, HyeSun;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9-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itable for IT-gifted prim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learning sty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s of identifying IT-gifted students by comparing IT-gifted's learning style with average student's. Grasha-Rei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Inventory was used, which was proved to identify gifted IT students with 66.45% accuracy. As a result, The learning style of IT-gifted was determined as independent, competitive, participant Therefore,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seem to be suitable for IT-gifted. IT-gifted also ne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and discussion with their peers.

  • PDF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Aquaculture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Aquaculturists' Acceptability (어가수용성 향상을 고려한 디지털양식의 정의 및 발전방향)

  • Sang Jung Ahn;Chang-Mo Ma;Se Han Kim;Deuk-Young Jeong;Sungyoon Cho;Kiwon Kw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4
    • /
    • pp.93-105
    • /
    • 2023
  • In order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aquaculture industry, which is dependent on experience, labor-intensive and natural environment, into future intelligent smart aquaculture, digital aquaculture improves aquaculture reproducibility and efficiency of production process through digitization of the aquaculture industry based on ICT equipments,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for promoted to increase the acceptability of aquaculturist. Europe's advanced fisheries countries have achieved rapid growth not only in aquaculture technology but also in the aquaculture equipment industry through digitization that combin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aquaculture farm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collect aquacultural data in Korea because it has not secured a Korean aquaculture industry for multi-variety, small-scale production and aquaculturists' refusal of recep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aquaculture to convert to intelligent smart aquaculture in the future by analyzing trends and critical technology.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s (온라인 환경에서 정보탐색활동과 학습자 특성과 상관관계)

  • Oh, EunJoo;Kim, Jung-Sub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19 no.3
    • /
    • pp.415-428
    • /
    • 2007
  • 본 연구는 인지양식이 온라인 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라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지양식이 온라인 정보탐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다른 개인적인 특성들이 온라인 정보탐색행위와 연관성이 있는지 고찰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학생 36명이었으며, 인지양식검사와 Ellis와 Haugan (1997)의 정보탐색행위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연구 주제를 주고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탐색하도록 시켰으며, 이들의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인지양식검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양적 분석하고,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인지양식과 온라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탐색능력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다. 반면에, 정보탐색행위는 컴퓨터 이용 능력, 온라인 도서관 시스템 사용경험/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검색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는 정보탐색에 보내는 시간과 반비례 상관관계를 가지며,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총 8단계의 정보탐색과정 중 " Browsing" 단계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끝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도서관 시스템 사용능력에 높은 효능감을 보였지만, 학교 온라인도서관 시스템이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있다고 대답했으며, 자신들의 연구를 위해서 인터넷 검색엔진보다는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Education Effectiveness by Cognitive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사이버가정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석)

  • Cho, Yeongl-Ho;Seol, Moon-K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54-159
    • /
    • 2008
  • 2005년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많은 학생이 이를 외면하고 사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사용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인지양식 특성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교육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독립적인 인지양식 학생들은 학원, 과외 등의 사교육으로 사이버가정학습 이용률이 저조하였고 잘 정리된 자료와 콘텐츠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이용하고 싶어 했고 사이버가정학습의 내용과 콘텐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장의존적인 인지양식 학생들은 가정에서 컴퓨터 사용 환경이 쉽지 않아 이용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현재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만족도 조사에서 사이버선생님에 대한 불만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다.

  • PDF

Smart Fish Farm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 양식장)

  • Yeo, Sang-Sam;Kim, Dong-Hwan;Kim, Chan-yeong;Kim, Yang-u;Kim, Dong-geun;Park, Rae-chang;Kim, Hyeon-u;Kim, M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13-314
    • /
    • 2022
  • 현재의 양식업을 살펴보면 영세 양식어업인 중심의 정책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문제점은 대규모의 자본 및 신규 인력의 진입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점이다. 이 문제로 인해 양식업 종사자의 고령화로 양식업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두이노를 이용한 양식장 스마트화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양식장의 자동 제어 및 원격 통신을 이용한 수동 제어가 가능하며 센서들의 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받아 핸드폰으로 받아 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양식을 떠나 실시간으로 자연의 생태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이고 최적의 생육환경을 맞추어간다는 점에 있어 기존 양식장의 어류와 비교해보았을 때 더 높은 품질의 어류를 기대해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