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iminant Analysis of IT-Gifted and Average Prim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학습 양식에 따른 초등 정보영재와 일반아의 판별기능 분석

  • 김용 (한국교육정보학술연구원) ;
  • 서정희 (한국교육정보학술연구원) ;
  • 김자미 (국제이러닝연구소) ;
  • 김종혜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차승은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유승욱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염용철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장혜선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06.11.24
  • Accepted : 2007.02.15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itable for IT-gifted prim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learning sty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s of identifying IT-gifted students by comparing IT-gifted's learning style with average student's. Grasha-Rei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Inventory was used, which was proved to identify gifted IT students with 66.45% accuracy. As a result, The learning style of IT-gifted was determined as independent, competitive, participant Therefore,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seem to be suitable for IT-gifted. IT-gifted also ne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and discussion with their peers.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정보영재와 일반아에 따른 학습 양식의 차이를 토대로 정보영재에게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영재는 독립형 경쟁형, 참여형 학습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학습 양식 측정 도구(Grasha와 Reichmann)는 정보영재와 일반아를 판별함에 있어서 66.45%의 판별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보영재의 학습 양식에 적합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 아니라 적절한 경쟁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학생들과의 모둠 활동 등을 통한 상호 작용이 가능한 환경 조성을 통해 협동학습을 보강하는 등 참여 학습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