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식 어장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 이해영;박민우;전임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2-273
    • /
    • 2000
  • 수산자원의 남획, 연안오염의 증대와 간척ㆍ매립에 의한 연안어장의 축소 등의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은 감소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연안어장의 관리 방법으로 바다목장화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다목장화에 의한 연안의 수산자원증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방류종묘의 종류와 방류량이 증가하였으나, 방류 종묘의 품질과 방류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이와 관련하여 바다목장화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한국 남서해역 조석전선의 시.공간적인 변동

  • 정희동;권철휘;조규대;김동선;김호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9-130
    • /
    • 2000
  • 황해의 남동부에 위치한 한국 남서 연안해역은 남해와 인접한 해역으로 황해저층냉수, 황해난류수, 연안수, 양자강 희석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수계간에 형성되는 수온전선역은 좋은 어장을 형성한다. 또한 이 해역은 주요 수산자원의 어장 및 회유환경 그리고 해조류양식 등과 관련하여 해양학적ㆍ수산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조석전선이 해양의 1차 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성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Bowman and Esaias, 1977). (중략)

  • PDF

제주도에 분포하는 불가사리의 포식습성에 관한 연구

  • 고형범;김보영;홍성완;김판석;강봉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83-84
    • /
    • 2001
  • 우리나라 연안 해역의 공동어장과 패류양식장에 서식하는 굴, 가리비, 반지락등 유용 조개류를 무차별 포식하는 불가사리는 패류양식 어민에게는 해적생물이라 불리우져, 이들을 퇴치하기 위한 대대적이고 적극적인 포획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도 마을 어장의 주요수산물인 전복, 소라, 오분자기등의 자원보존을 위한 불가사리 제거작업을 실시함과 동시에, 자원조성을 위한 종패 살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중략)

  • PDF

안정만 일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 김대윤;나기환;최석원;황상필;김재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69-470
    • /
    • 2001
  • 경남 통영 안정만은 북동쪽으로 진해만과 연결되어 있고, 고성 당동만과 가조도 서쪽 어의도, 수도, 지도 둥의 섬으로 둘러 쌓인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굴, 피조개 등 패류양식이 주로 행해지고 있어 유기물 오염이 심각한 해역으로 해양수산부에 의해 특별관리어장으로 지정되어 현재 어장정화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본 조사는 이 해역의 해양생태계 조사를 통해 공단조성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Oceanographic Conditions in Relation to Laver Production in Kwangyang Bay, Korea (광양만의 김 생산과 양식장환경과의 관계에 대하여)

  • HONG Jae-Sang;SONG Choon Bok;KIM Nam-Gil;KIM Jong Man;HUH Hyung Tac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0 no.3
    • /
    • pp.237-247
    • /
    • 1987
  •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physico-chemica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Porphyra-cultivation grou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ver production and its environmental factors in Kwangyang Bay from January to April in 1986. As a result, major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thought to have a great influence upon the poor harvest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are as follows; 1) the excessive rainfall in the beginning of cultivation period 2) the accumulation of suspended matters on the thallus of laver 3) the decrease of current velocity and the stagnation of the water in the cultivation ground.

  • PDF

Estimation of Stocking Density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and Ecological Indicator for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서식적합도와 생태지표를 이용한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입식밀도 산정)

  • Cho, Yoon-Sik;Lee, Won-Chan;Hong, Sok-Jin;Kim, Hyung-Chul;Kim, Jeong-Bae;Park, J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3
    • /
    • pp.185-191
    • /
    • 2012
  • Most of Korean farms have been developed in the semi-closed bay, and its position is very vulnerable to the coastal contamination due to the long term and the high density. So, mariculture management is very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aquaculture. Some of the specific ways would be the assessment of the optimal stocking density for mariculture management zone and this has to consider both the suitable site selection and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Habitat suitability index(0.0 totally unsuitable habitat, 1.0 optimum habitat) and ecological indicator(Filtration pressure indicator) was used to assess the stocking density for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Geoje Bay showed the higher habitat suitability index value 0.75 than Hansan Bay 0.53, indicating that Geoje Bay is more suitable for oyster farming. Ecological indicator showed different stocking density according to the coastal characteristics in Geoje-Hansan Bay.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hat the stocking density in Geoje Bay should reduce average 40% and Hansan Bay, average 60% than present, in order to meet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The assessment of the stocking density could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coastal contamination, environmental aggravation and the productivity decrease and this study could be a scientific basis to establish the policies for mariculture management.

Development of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for Oyster Aquaculture in GeojeHansan Bay (거제한산만 굴 양식장에 대한 GIS 기반 어장관리시스템 개발)

  • Cho, Yoon-Sik;Hong, Sok-Jin;Kim, Hyung-Chul;Choi, Woo-Jeung;Lee, Won-Chan;Lee, Suk-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11-20
    • /
    • 2010
  • Oyster production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omestic aquaculture, but facing some problems such as exports decrease, a slowdown in domestic demand and marin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order to obtain the suitable and sustainable oyster production, suitable sites selection is an important step in oyster aqua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uitable sites for lunging culture of oyster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base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s. Most of the parameters were extracted by Inverse Distance Weighted(IDW) methods in GIS and eight parameters were grouped into two basic sub-models for oyster aquaculture, namely oyster growth sub-model(Sea Temperature, Salinity, Hydrodynamics, Chlorophyll-a) and environment sub-model(Bottom DO, TOC, Sediment AVS, Benthic Diversity). Suitability scores were ranked on a scale from 1(leased suitable) and 8(most suitable), and about 80.1% of the total potential area had the highest scores 5 and 6. These areas were shown to have the optimum condition for oyster culture in GeojeHansan Bay. This method to identify suitable sites for oyster culture may be used to develop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a decision making.

동ㆍ하계 가막만 표충퇴적물의 환경특성과 미생물의 분포

  • 이대성;강창근;이원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8-159
    • /
    • 2002
  • 가막만은 평균수심이 약 9m인 천해이며 대부분 수하식 굴 양식업이 성행하는 천혜의 수산자원 보고로서 그 규모가 전국 생산량의 30%에 달하는 중요한 어장이였다. 그러나 인구증가 및 주변 임해 산업시설, 과도한 양식업의 성행 등으로부터의 하ㆍ폐수 및 여러 오염물질 등의 유입증대로 인하여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생태계는 매우 다양한 생물들에 의하여 복잡ㆍ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구성원들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Lee et al., 1998). (중략)

  • PDF

가막만 표층퇴적물의 환경특성과 해양세균의 분포

  • 이대성;강창근;이원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0-151
    • /
    • 2003
  • 가막만은 평균수심이 약 9m인 천해이며 대부분 수하식 굴 양식업이 성행하는 천혜의 수산 자원 보고로서 그 규모가 전국 생산량의 30%에 달하는 중요한 어장이였다(Lee and Cho, 1990). 그러나 인구증가 및 주변 임해 산업시설, 과도한 양식업의 성행 등으로부터의 하ㆍ폐수 및 여러 오염물질 등의 유입증대로 인하여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생태계는 다양한 생물들에 의하여 복잡ㆍ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구성원들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Lee et al., 1998).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