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식장 관리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하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환경 관리에 관한 연구 II. 저질성상에 따른 환경특성 및 생산성 (Environmental Survey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of Cultured Fleshy Prawn Penaeus chinensis II. Sediment Type-Dependent Environmental Quality and Productivity)

  • 강주찬;구자근;이정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3-308
    • /
    • 2000
  • 대하 양식에 있어 저질성상에 따른 환경변화를 아질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와 같은 유해물질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하의 생존 및 성장 등에 미치는 저질조성의 영향을 검토하여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 조건에서 6주 동안 실험하였다. 실험종료시 DO는 sand, soft sand의 단독 혹은 sand, soft sand 및 mud의 50:50 비율의 혼합조건에서는 5.1~5.9mg/l까지 감소하였으나, mud 조건에서는 4.6mg/l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아질산, 암모니아농도 및 황화수소는 sand, soft sand의 단독 혹은 sand, soft sand 및 mud의 50:50 비율 조건에서 각각 0.07~0.12mg/l, 0.16~0.29mg/l 및 0.009~0.014mg/l까지 증가하였으나, mud 조건에서는 0.15mg/l, 0.36mg/l 및 0.018mg/l로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대하의 생존율은 bare와 mud 조건에서 60% 이하의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나, sand, soft sand의 단독 혹은 sand, soft sand 및 mud의 50:50 비율의 혼합조건에서는 70%이상을 나타냈다. 저질 성상에 따른 대하의 성장과 사료효율은 bare 조건에서 각각 7.6%와 29.4%을 나타내어 성장과 사료효율이 가장 높은 sand+mud 조건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 PDF

넙치 양식장 HACCP 적용을 위한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Sanitation Control for an HACCP Application for a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Farm)

  • 지보영;민진기;김태진;최재석;박선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79-1191
    • /
    • 2013
  • Many sanitation control problems due to aging facilities and equipment were identified when applying an HACCP system to a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farm. Specifically, the major problems included a lack of awareness about worker hygiene, lack of management of the use of fish medicines, and vulnerability to secondary contamination by cross-contamination owing to a failure to separate breeding tools used for healthy and unhealthy fish. Therefore, the management standards on the farm regard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breeding tools, feed and medication, and the hygiene of practitioners must be improved. The hygiene management standard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procedures such as the management of farm hygiene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 fish hygiene, feed, medications, water, and the stocking and shipping of fish. For each procedure, we established the management standards, inspection period, inspection procedures, and how to deal with errors that occur, to enable hygiene management by a small number of managers. Additionally, an inspection system and record form to implement an HACCP system were developed to maintain systematic management. The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all aspects of the farm were designed to be easily managed by the supervisor.

넙치 양식장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Application Model for a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Farm)

  • 김태진;민진기;박선미;최재석;이명숙;김영목;정용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55-1067
    • /
    • 2013
  • We attempted to apply the HACCP system adopted in the food industry to a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farm to ensure the hygiene safety of farmed fish. In this study, HACCP system procedures, including HACCP team organization, critical point determination, establishment of standard limits etc., were established using Codex 12 procedures. To determine whether hazards were critical elements, we evaluated the likelihood and seriousness of each hazard element. The likelihood of residual medicine exceeding the acceptable limit in shipped fish products was demonstrated to be a critical hazard element. Management of the shipment stage was determined to be a critical control point (CCP). Checking the records for stock and release and maintaining a history of medicine use before shipping the fish were suggested as monitoring methods. The standards for acceptable residual medicine were set based o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n the limits were adapted and established for the CCP. An HACCP plan applicable to olive flounder farms was established.

이매패의 생물정화 기작을 이용한 마산만의 수질개선방안 (Water quality management by bio-purification of bivalve, Mytilus galloprovincialis, in Masan Bay)

  • 홍석진;엄기혁;장주형;박종수;김동명;권정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1-84
    • /
    • 2007
  • 마산만은 한국의 대표적인 반 폐쇄성 내만으로 유속이 느리며, 해수의 순환이 제한되어 입자물질의 침강이 주로 일어나고 있다. 특히, 육상기원 오염물질 유입은 환경오염문제를 일으켜, 부영양화, 적조, 저층 빈산소 현상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이매패류를 포함하는 생태계 시스템에서 물질순환 과정의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여과식자인 이매패류에 의한 COD와 식물플랑크톤 같은 입자유기물질의 제거 효과도 계산하였다. 또한, 이매패류 양식장의 입식위치와 입식량을 산정하여, 생물학적 수질관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모델결과에서, 최적 입식위치는 해양 물리적 과정을 참고로 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집적이 일어나는 곳을 선정하였으며, 최적 입식밀도는 35 개체/$m^{-3}$였고, 최적 입식 면적은 약 500 ha로 나타났다. 이매패류가 최적의 성장을 보인다고 가정하면, 육상부하의 삭감에 관한 노력 없이도 수중의 COD 농도의 18%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 PDF

양식 톳 포복지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Reuse of Holdfasts in Hizikia Cultivation)

  • 황은경;조용철;손철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116
    • /
    • 1999
  • 톳 포복지의 재생력을 이용하므로써, 수확후 남겨지는 포복지로 부터 재생된 엽체를 양식의 종묘로 재사용하고자 하였다. 엽체 채취후 남겨진 포복지를 연승과 함께 수거하여, 1995년 5월부터 11월까지 조간대의 인공 노출 조건 (1일 0, 1, 2, 3시간)에서 월하관리하여, 엽체의 재생 여부를 실험하였다. 재생엽체의 생장은 엽체의 전장, 주지수 및 중량으로 나타내었다. 생산성 비교를 위하여 재생엽체를 현재 양식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연산 종묘와 함께 동일 양식장에 이식하여 1995년 12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양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생산성 비교 결과 재생엽체와 자연산 유체를 사용한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포복지의 재사용으로 자연군락으로부터 매년 유체를 채취하지 않고도 계속적인 양식생산을 할 수 있다.

  • PDF

어가수용성 향상을 고려한 디지털양식의 정의 및 발전방향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Aquaculture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Aquaculturists' Acceptability)

  • 안상중;마창모;김세한;정득영;조성윤;권기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3-105
    • /
    • 2023
  • 디지털양식은 경험과 노동력, 자연환경 의존적인 전통 양식산업이 미래 지능형 스마트양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ICT 기자재 기반의 양식산업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양식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을 통한 양식 재현성 향상 및 생산과정의 효율성 향상을 통한 어가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유럽의 선진 수산국은 양식장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디지털화를 통한 규모화와 첨단화로 양식 기술 뿐만 아니라 양식기자재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반면, 국내에는 다품종·소량생산 구조 및 어가수용성 미확보에 따른 양식생산정보의 수집조차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양식 관련 동향과 기술 요소를 분석하여 향후 지능형 스마트양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한국형 디지털양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안통합관리계획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지역 Network 시범모델 연구 (Constructing A Local Network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 이대인;조현서;조은일;이영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2
    • /
    • 2007
  • 국가단위의 연안통합관리계획과 각 지역별 연안관리지역계획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연안에 대한 지자체 지역주민 민간단체 전문가 집단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안통합관리의 실행방안을 연구하였다. 해외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양식장이 밀집되어 해양환경의 보전이 절실히 요망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와 산업의 요구로 매립 등 해양환경을 훼손할 가능성이 큰 개발활동이 계획되는 등 이용행위간 상충적인 대립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고, 한편으로 다양한 해양 및 환경 관련 단체들이 활발한 역할을 하고 있는 중소도시인 여수지역을 시범모델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네트워크의 구성과정과 필요사항을 제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연안의 문제점과 이용실태, 지역 해양수산관련 업계 및 환경단체 인력과 활동 상황 파악, 연안관리 인적 네트워크 구성방안과 모델 개발, 외국의 연안관리 참여제도 조사 및 국내 도입방안, 해양산업 및 환경보호 활동기관 단체들과의 연대방안, 주민 참여 확대 방안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원 방안 등이 검토/연구되었다. 여수지역에서 실제적으로 관련 네트워크를 창립하여 운영하는 중에 활동자금의 조달, 중앙정부와 지자체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의 지위와 안정적 장치의 미확보로 실효성과 구속력이 약한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네트워크의 활성화 및 효율성을 위해서는 캐나다의 ACAP (Atlantic Coastal Action Program)와 같이, 지역조정담당을 선정하여, 일정한 보수를 제공하고, 계획 수립에 전념할 수 있는 사무실 환경을 제공하는 등의 벤치마킹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사례는 효율적 연안관리와 정책조율을 통한 정부의 정책 입안에 이바지할 것이다.

  • PDF

근소만 갯벌어장 내 바지락의 생존, 성장, 환경을 고려한 서식 적합성 연구 (A Study on the Habitait Suitability Considering Survival, Growth, Environment for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Pado and Beopsan))

  • 최용현;최윤석;조윤식;김영태;전승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23-730
    • /
    • 2016
  • 현재 국내바지락 양식 산업은 연안선 변화, 양식 환경악화로 생산량이 감소하는 반면, 수입량 급증으로 인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현 실태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양식을 위해 서식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바지락의 서식환경은 양식장의 생산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5월까지 근소만에 위치한 파도와 법산 갯벌어장에 대하여 생존(입도, 해수유동), 성장(Chlorophyll a, DIN, DIP, 노출시간), 환경(수온, DO, 퇴적물 COD, IL)을 이용하여 서식환경 특성을 구명하였다. 조사결과 파도(최대값; 모래함량 48.76 %, 해수 유속 10.59 cm/s, Chlorophyll a 12.70 ug/L, 노출시간 3시간, DO 18.65 mg/L)는 법산(최대값; 모래함량 37.40 %, 해수 유속 6.02 cm/s, Chlorophyll a 6.41 ug/L, 노출시간 7시간, DO 14.81 mg/L)보다 높은 유속과 모래함량, 풍부한 DO와 영양염으로 바지락 서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도 더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파도와 법산 바지락 서식지 환경을 파악하여 근소만 갯벌어장의 최적 관리 방안 및 잠재적 적지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진동만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어장적지평가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Jindong Bay)

  • 조윤식;홍석진;이원찬;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7-6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의 진동만 10개 정점에 대하여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양식순기에 맞추어 계절별(7월, 10월, 1월, 4월)로 실시하였으며, 어장 서식지 적합지수를 위한 어장평가인자로 수온, 클로로필 a, 부유입자물질, 해수유동, 염분, 용존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였다.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성장과 어장환경 상관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 인자들에 대한 그래프가 작성되었으며, 서식지 적합지수 산정결과 진동만의 서쪽해역(HSI 0.32~0.41)이 동쪽해역(HSI 0.19~0.27)보다 높은 적합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단위생산량과 유의한 상관성($R^2$=0.834, P<0.01)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어장적지평가를 통하여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한 어장관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연안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Contents of Inorganic Elements in Shellfish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최윤석;송재희;박광재;윤상필;정상옥;안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5-232
    • /
    • 2012
  • 갯벌어장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연안 생태계의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해연안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지역내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 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양식장 오염니 기준에 비하여 매우 낮은 농도를 보이며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Ef) 와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오염원이 적은 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서식하는 패류에 대한 오염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연구지역내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퇴적물과 패류의 원소함유량의 상관관계는 연관성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패류의 무기원소 및 중금속의 농축은 Mn, Zn에 대해서만 상관관계가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갯벌어장의 패류 및 저서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조간대 퇴적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장관리를 위한 중금속 오염에 대한 기준설정이 필요하며, 오염경로와 퇴적물의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