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성교육

Search Result 2,46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변화하는 우리대학 - 부산외국어대학교 - 대학 총장의 리더십 "위기를 기회로...대학교육의 Global Standard화" -

  • Jeong, Gyeong-Man
    • 대학교육
    • /
    • s.160
    • /
    • pp.51-56
    • /
    • 2009
  • 부산외국어대학교가 양성하고자 하는 인재의 모습은 외국어와 외국문화에 정통한 인재, 다학문적, 다문화적 지식을 겸비하고, 세계를 무대로 사업기회를 창출하고 세계를 품는 한국인이다. 1997년 '국제 전문인력 양성 국책 대학'으로 선정된 부산외국어대학교는 국내최고의 외국어교육과 지역학 연구기관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첨단 외국어 교육시설과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의 세계화를 선도할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는 부산외국어대학교의 "대학교육의 Global Standard화"를 알아본다.

  • PDF

국제물류 정규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 Park, Ye-Na;Park, Gwang-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02-203
    • /
    • 2018
  • 각 학교(전문대 이상)에서는 국제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공이 개설되어 관련 과목 교육을 하고 있다. 학제별로 개설된 전공과목들을 파악하고 전체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정규교육과정에서 물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한계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정규교육이 우수한 국제물류 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어떤 방향 점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 분석하였다.

  • PDF

Study for a Sustainable Program of the Professional Long-term Care Workers (전문성이 강화된 지속가능한 요양보호사 제도 연구)

  • Kyoung, Seung-Ku;Jang, So-Hyun;Lee, Yong-Ga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4
    • /
    • pp.290-304
    • /
    • 2018
  • The study proposes a discussion model for long-term care workers as a thought experiment, that strengthens speciality and presents an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for long-term care workers. First, the study unpack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cense acquisitors and the employed as long-term care workers. In sequence, the study tries to present an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of the professional long-term care workers, that is comprised of a new education & training course with NCS in junior colleges for young peoples, intensification of speciality in education & training course through extension of times and deepening contents, introduction of legal refresher training, granting of roles of the NHIC as insurer in legal refresher training, introduction and legal employment of the professional tong-term care workers with career experience and speciality. At last, the study suggests a series of policy projects for realization of that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The Necessity and Strengthening Plan of Internet Ethics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교원양성기관에서 인터넷윤리 교육의 필요성 및 강화 방안)

  • Kim, Taek-H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6 no.2
    • /
    • pp.1-8
    • /
    • 2013
  • Internet ethics education in school is very necessary for young people to use the Internet properly and to be able to utiliz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 However Internet ethics education for the would-be teachers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train teachers operates Internet ethics curriculum and teaches it to would-be teacher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perating status about Internet ethics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which open a major in computer related education. As a result, only less than 30% of the enti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re operating to have the curriculum. So,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ternet ethics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we should have applied it to other curriculum in other major. In addition, training and retraining to the teachers for Internet ethics should be strengthened.

  • PDF

Instructor Fostering Program for Farmers' Water Saving Education (농민 물절약 교육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 Lee, Seul Gi;Choi, Kyung Sook;Do, Jong Won;Lee, Gwang 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56
    • /
    • 2019
  • 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농업가뭄 현상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 이후부터 무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해 농민 물이용 손실을 저감하고, 물부족에 대비한 선제적인 가뭄대응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농민 물절약의 중요성 인식으로 2015년에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에 농민 절수교육 및 홍보를 통한 물절약 추진 과제가 포함되었다. 농민 물절약 교육을 통한 농민의 가뭄에 대한 경각심과 물절약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자발적인 물절약 실천을 통한 효율적 수자원 이용을 도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농민 물절약교육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2017년에는 물절약 교육 모델의 현장적용을 위한 시범교육이 실시되었다. 또한 "2018년 정부 가뭄종합대책" 중 가뭄대책 실천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실시 확대 추진을 위해 2018년도에는 2016년과 2017년에 실시한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을 바탕으로 물절약 교육 모델의 실용화를 위한 농민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농업용수의 물공급 및 관리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지사단위 유지관리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경기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상 제주권의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상 하반기 교육을 실시하여 총 322명의 교육인력을 양성하였다. 전문인력양성 교육은 물절약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장적용을 위해 농민 물절약 교육 이수단계별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각 단계별 교육을 직접 실습해 보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이수 후에는 교육생의 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고 기타 교육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생의 대부분이 농민 대상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매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절약 교육의 지속적인 실천 및 전국적인 확대를 위해 별도의 예산 및 인력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육과정을 완료 후에는 수료증을 수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절약 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물절약 교육 강사용 교재를 배포함으로 본 교육을 이수한 전문인력의 농민 물절약 교육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Teacher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 Choi Don-hyung
    • Hwankyungkyoyuk
    • /
    • v.10 no.2
    • /
    • pp.349-36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을 태동기(1980년 이전), 성립기(1981-1991년), 정착기(1992년 이후)로 구분하여 간략히 개관한 다음, 전국 수준의 초.중등학교 학생, 교사,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에 관한 의식과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조사 연구 결과 및 이를 바탕으로 한 환경과 담당 교사의 현직연수와 양성교육에 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 1993년 이후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변화 및 발전 현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중등학교의 교사자격증 표시과목으로 '환경'과가 1994년부터 추가됨으로써 현직교사 연수 및 교사양성대학에 환경교육과의 설치가 제도적으로 가능해졌다. 둘째, 제6차 교육과정(1995년부터 적용)에 신설된 중학교 환경 및 고등학교 환경화학 담당 교사 확보를 위한 자격연수(총 180시간)가 1994년 여름방학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1996연말까지 환경과 부전공 자격 소지자를 680명 배출하게 되었다. 셋째,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를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환경교육과가 전국 3개 대학(한국교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순천대학교)에 설치되었다. 넷째, 1995년부터 전국의 각급 학교에 환경주임교사를 배치하여 학생의 체험적 환경교육을 유동하고, 일반교사에게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있다. 다섯째, 환경과 부전공 제도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대학재학 중에 전공과목에 대하여는 42학점 이상, 환경교육 관련 과목을 21학점 이상 이수한 학생은 환경과 부전공 교사 자격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자생단체로 지역별 '환경교사연구회'가 구성되어 환경교육 자체연수, 교재개발과 보급, 환경캠프와 답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끝으로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서 계속 노력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ing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Ha, Kyu Soo;Yeo, Kyounge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221-231
    • /
    • 2016
  • As th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increa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that ar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increased rapidly.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from the government has been diversified and because of increasing suppor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deman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As of today, most educa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re management major, expert or people who has the experience of starting a business. Lately, target of education has been diversified and as the deman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have been raised. In the present study, we are going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in Korea and then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overseas. And then we derive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When our training courses for the entrepreneurship educators are compared to the courses overseas, we do not have a systematic and ongoing courses.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training of educators has to be done prior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In accordance to the existing school system, we should strive to achieve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at cultivates specialized educators.

  • PDF

로스쿨 도입, 이제부터 진짜 시작이다

  • Park, Geun-Yong
    • 대학교육
    • /
    • s.149
    • /
    • pp.51-56
    • /
    • 2007
  • 로스쿨 도입을 통해 기존의 '선(先) 선발 - 후(後) 양성'에서 '선(先) 교육 - 후(後) 자격부여'로 법률가양성 시스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로스쿨은 이제 법률가양성을 위한 1차적 책임을 맡게 된 것이다. 새로운관점에서 법률적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책임도 이제 로스쿨을 운영할 학교와 교수가 짊어져야 한다. 이에 로스쿨이 단순히 도입을 넘어 본연의 취지로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어떤 제반조건이 갖춰져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