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막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4초

임신주령과 진통에 따른 임부 혈청 C-Reactive Protein의 동태 (C-Reactive Protein in Pregnancy and Labor)

  • 김종호;김병석;이재열;이영기;이태형;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298-305
    • /
    • 1993
  • 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0주에서 44주 사이의 건강한 임부 521명을 대상으로 혈청 CRP치를 측정하여 임신 주령과 진통의 유무, 양막의 파열여부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12%(61/521)와 4%(22/521)이었다. 2. 임신주령 37주이하의 만삭전 임부군과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 양막 파열 임부군과 비파열 임부군, 자궁경관 개대 3cm이하 임부군과 4cm 이상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5.93%와 13.7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혈청 CRP치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4. 임신주령 37주 이하의 만삭전 임부군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진통중인 임부군이 23.64%로 진통이 없는 임부군의 4.69% 보다 현저히 높았으며(p<0.001), 혈청 CRP치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도 진통중인 임부군과 진통이 없는 임부군이 각각 12.73%와 3.1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p<0.05)가 있었다. 임신주령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에서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을 비교하여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임부의 감염을 조기 예측하는데 있어 기왕에 조기진통 임부에서 임상적 감염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혈청 CRP치 2.0mg/dl은 진통중인 만삭임부에서도 양막파열 여부와 분만의 진행정도와 무관하게 유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조기진통 임부의 처치시 혈청 CRP치가 0.8mg/bl 이상인 경우 임부의 불현성 감염을 의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녹는 궤양에 기인한 각막 천공에서 각막 재건을 위한 말양막이식술 증례 (Equine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Corneal Perforation Resulting from Melting Ulcer in a Dog)

  • 김주리;배재현;권용환;김남수;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4
    • /
    • 2013
  • 4년령 중성화한 수컷 시츄견이 우안에 녹는 궤양이라는 기왕력으로 전북동물의료센터에 내원했다. 안과 검사결과 우안에 각막 전체의 70%에 해당하는 각막 연화를 동반한 각막 천공이 관찰되었다. 또한 홍채 탈출과 섬유소 응괴가 각막 천공 중앙부에서 관찰되었다. 좌안의 위협 반사와 대광 반사는 정상이었다. 각막 결손 부위가 너무 컸기 때문에 각결막 판을 이용한 방법이나 각막 직접 봉합을 배제하였으며 말양막이식술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말양막은 각막 윤부에 전체 각막을 다 덮을 수 있도록 9-0 나일론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을 실시했다. 양막이식 후 79일 째 육아조직과 색소침착이 다소 남아있었으나 우안의 위협 반사와 눈부심 반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비록 색소 침착과 육아조직이 각막에 남아있기는 했지만 개에서 말양막이식술은 녹는 궤양으로 기인한 각막 천공에서 시행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개의 표재성 각막 궤양에서 소의 양막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Bovine Amniotic Membrane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Canine Corneal Ulcer)

  • 최영민;김준영;박종임;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8-366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bovine amniotic membrane for canine corneal ulcer and to compare bovine amniotic membrane flap to nictitating membrane flap. Corneas were treated with 8.0mm trephine and 100% ethanol was applied and corneal epithelium was removed. This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nictitating membrane flap group and amniotic membrane + nictitating membrane flap group. To compare corneal healing, fluorescein dye tes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UNEL assay were performed. The healing size of the corneal epithelium in was largest among groups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other groups (P<0.05). Also, inflammatory cell deposits and keratocyte apoptosis in amniotic membrane flap group were smallest, but the width of the corneal epithelium was thickest among groups. Therefore, we tentatively predicted that the amniotic membrane flap would be an alternative effec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canine corneal ulcer.

두툽상어(Scyliorhinus torazame) Cu,Zn-SOD의 분자 계통학적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Scyliorhinus torazame (Carcharhiniformes) Inferred from Cu,Zn Superoxide Dismutase)

  • 김근용;남윤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9
    • /
    • 2006
  • 두툽상어 (Scyliorhinus torazame)부터 분리된 항산화 효소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SOD 또는 SOD1)의 핵산 염기서열 및 추정 아미노산 서열을 대상으로 분자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래 알려져 있는 척추동물의 Cu,Zn-SOD 서열들을 포함하여 neighbor-joining (NJ), maximum parsimony (MP), maximum likelihood (ML) 및 Bayesian 분석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통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골어류인 본 어종의 척추동물 분류군 내에서의 계통적 위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분자 계통수로부터 얻어진 대부분의 consensus tree들에서 분석에 사용한 분류군들은 종래 알려진 분류학적 위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고, 이중 두툽상어는 같은 연골어류종인 blue shark와 높은 유연관계를 나타내면서 보다 진화한 경골어류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분지를 형성하였다. 특히 핵산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한 neighbor-joining 분석에서 두툽상어는 경골어류와 양막동물에 비해 보다 원시형태의 척추동물 Cu,Zn-SOD 유전자의 한 형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태반양막유래 상피줄기세포의 임상적용을 위한 새로운 세포분리 및 배양 기술 (New Isolation Technique and Culture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s of Human Amniotic Epithelial Stem Cells)

  • 우상규;조정윤;신일섭;강성근;라정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71-280
    • /
    • 2009
  • 태반은 성체줄기세포의 보고이다. 특히 양막상피세포는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 능력을 나타내는 세포 표면 표시자들을 그대로 발현하는 줄기세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피세포를 실험실에서 지지세포 없이 대량 증식 배양하는 것은 상피세포가 가지고 있는 내인성 성격으로 인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과 ROCK 저해제(Rho-associated kin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양막상피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세포를 얻었고, 최적의 세포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배양된 양막상피세포는 상피세포의 특성과 줄기세포의 특성을 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줄기세포 치료를 이용한 재생의학의 관점에서 인간태반 유래 양막상피줄기세포는 아무런 윤리적인 논란을 일으키지 않는 주요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재료로서 여러 가지 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조산아에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및 제대 혈관염이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반응성 단백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funisitis on the level of peripheral blood C-reactive protein at birth in preterm infants)

  • 김도현;이흔지;김희섭;유병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33-40
    • /
    • 2010
  • 목 적 : 조산아에서 출생 직후 말초 혈액의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 농도가 자궁 내 염증의 침범 부위 또는 진행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봄으로써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RP 측정의 임상적 의의와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9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기간 32주 미만의 조산아 187명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연구 대상을 'no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M (-), 85명]군과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M (+), 102명]군으로, 다시 HCAM (+)군을 'funisitis' [F (+), 49명]군과 'no funisitis' [F (-), 53명]군 및 'funisitis/amnonitis' [FA (+), 58명]군과 'isolated chorio-deciduitis' [FA (-), 44명]군으로 분류하였다. 출생 직후 말초 혈액의 high sensitivity CRP 농도를 측정하여 각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 HCAM (+)군, F (+)군, F (-)군, FA (+)군의 말초 혈액 CRP 농도는 모두 HCAM (-)군에 비해 높았으나(평균=0.29 vs. 0.06 mg/dL; 0.52 vs. 0.06; 0.07 vs. 0.06 mg/dL; 0.46 vs. 0.06 mg/dL, P<0.05), FA (-)군의 경우는 HCAM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F (+)군과 FA (+)군의 말초 혈액 CRP 농도는 각각 F (-)군 및 FA (-)군보다 높았다 (평균=0.52 vs. 0.07 mg/dL; 0.46 vs. 0.05 mg/dL, P<0.05). HCAM (-)군과 F (+)군, HCAM (-)군과 FA (+)군을 감별하기 위한 경우, 말초 혈액 CRP 농도의 cut-off 값을 0.02 mg/dL으로 정하였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두 94% 및 53%였다(P<0.0001). 또한, F (+)군과 F (-)군, FA (+)군과 FA (-)군을 감별하기 위한 경우, 말초 혈액 CRP 농도의 cut-off 값을 0.02 mg/dL으로 정하였을 때 민감도는 각각 79%와 86%, 특이도는 모두 53%였다(P<0.002, P =0.000). 말초 혈액 CRP 농도가 0.02 mg/dL 이상인 경우, 임상적 융모양막염, 확증된 조기 발현 패혈증,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제대 혈관염의 빈도가 높았다. 결 론 : 재태기간 32주 미만의 조산아에서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RP 농도는 태반의 염증이 제대 혈관염이나 양막염까지 진행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여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진행 정도를 잘 반영하였고, 제대 혈관염이나 양막염의 감별 진단에 어느 정도 진단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미숙아의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산전과 산후 인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re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Progno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 권세호;이병국;이흔지;나소영;이정하;박수연;강은경;김도현;이관;김희섭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51-159
    • /
    • 2008
  •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미숙아의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백혈병양반응 (leukemoid reaction)은 골수 이외의 원인에 의해 절대호중구수 30,000/$mm^3$ 이상인 경우로 이에 대한 산전 위험 요소와 출생후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치료와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혈중 백혈구수를 분석하고 합병증과 예후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미만의 미숙아 중 2,500 g 미만의 적정 체중아 252명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혈구검사를 출생 직후 및 매일 또는 매주 시행하였고 절대호중구수가 30,000/$mm^3$ 이상인 경우를 백혈병양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산전 위험 요소는 산모의 나이, 조기 양막 파수,융모양막염, C-반응 단백질 수치를 조사하였고 미숙아들의 합병증 및 예후는 재태 기간, 출생 체중, Apgar 점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기관지폐 형성 이상, 동맥관 개존, 뇌실 내 출혈, 괴사 장염, 미숙아 망막증, C-반응 단백질 수치,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환자군은 총 8명(3.14%)이었다. 산전 관련인자로 산모의 연령과 조기 양막 파수와는 관련이 적었으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P=0.010)와 분만 전 산모의 높은 C-반응 단백질 수치(P<0.001)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볼 때 환자군의 재태간(P=0.005)이 짧고 출생 체중(P=0.011)이 작았으며 1분 Apgar 점수(P=0.045)와 5분 Apgar 점수(P=0.014)가 낮았다. 환자군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P=0.004)과 기관지폐 형성 이상(P< 0.001)과 관련이 컸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일수가 길었다(P<0.001). 체중이 비슷한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임상적 특징 및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인공호흡기 사용일수(P=0.041)와 기관지폐 형성 이상의 발생률(P=0.006)이 백혈병양반응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환자군에서 출생 직후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환자군과 대조군의 특징과 합병증을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기관지폐 형성 이상과 환자군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비교위험도가 각각 60.12, 4.57로 95%신뢰구간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전체 대상 환자군에서 동맥관 개존과 신생아 괴사 장염의 발생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사망률,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백혈병양반응은 산전 감염과 관련이 있고 이로 인해 백혈구수가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반응이 출생후 기관지에 영향을 미쳐 기관지폐 형성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 전 산모의 감염에 대한 산과적 치료와 출생 후 미숙아의 호흡기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ry lung syndrome 2예 (Two Cases of Dry Lung Syndrome)

  • 송인규;김수영;이주영;이은희;손진아;최은진;김은선;이현주;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58-162
    • /
    • 2011
  • 조기 양막 파수에 의한 양수 과소증 산모에게서 출생한 미숙아들에게 발생하는 호흡 곤란의 원인으로 폐 저형성증이나 폐고혈압증, RDS, 폐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과 유사한 초기 경과를 보이는 DLS는 이들에 비해 빠른 회복을 보이고 적은 후유증을 남기는 특징을 가져 다른 질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 과소증 산모에게서 출생한 미숙아로 출생 초기심한 호흡 곤란을 보였지만 X-ray 소견이 RDS에 합당하지 않거나 폐 표면 활성제에 반응하지 않았으나 높은 흡기 압력과 NO가스로 치료 후 급속도로 호전되어 DLS로 진단된 2예를 보고하였다. 호흡 곤란을 보이는 미숙아의 치료 시 다른 질환들이 감별되는 경우 DLS를 염두하여 높은 흡기 압력으로 인공 호흡기치료를 하고 심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 후 NO 가스의 사용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쌍생아에서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증례 (Discordant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Twins)

  • 김이슬;강지만;이지훈;장윤실;박원순;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65-70
    • /
    • 2017
  •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선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본 증례는 쌍생아에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인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증례에 대한 국내 첫 보고이다. 31세 초산부가 쌍생아(2 융모막, 2 양막)를 임신하였다. 임신 34주 산전 초음파에서 한쪽 태아의 크기가 작고 양측 뇌실 확장증이 발견되었으며 임신 37주경에 제왕절개로 분만하였다. 첫 번째 신생아는 남자로 출생 체중 2,410 g, 아프가 점수 8/9점으로 출생하였으며 두 번째 신생아는 여자로 출생 체중 1,380 g, 아프가점수 5/8점으로 출생하였다. 두 번째 신생아는 자궁 내 성장지연, 소두증, 소하악증, 사지 관절의 강직을 보였다. 불일치 쌍생아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신생아의 혈액검사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immunoglobulin M이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소변과, 혈액, 뇌척수액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양성소견을 보였다. 반면에 정상으로 출생한 남아의 거대세포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감염된 환자의 안과적 검진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이 관찰되었고, 후에 실시한 청력검사에서 양측의 감음 난청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ganciclovir 치료를 받았으며 현재 여아는 심한 발달지연이 있으며 침대에서 누워서 생활하는 중이다. 이와 같이 쌍생아에서의 선천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증이 한 명에게만 발생하는 경우의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이 증례를 통하여 심한 불일치 쌍생아의 경우에 선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고연령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로 태어난 쌍생아의 임상 양상 (Perinatal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ed Twins in Women of Advanced Age)

  • 정인혁;김성우;조희승;이규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97-203
    • /
    • 2011
  • 목적: 35세 이상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을 통해 출생한 쌍생아와 자연 임신 쌍생아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35세 이상 산모와 체외 수정 시술로 출생한 신생아 관리에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2001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 사이 분당차병원에서 출생한 쌍생아 중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인 신생아 508례를 대상으로 하여,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 받은 288례와 자연 임신군 220례 사이의 주산기 특성과 합병증 및 신생아기 질환발생의 차이를 의무 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체외 수정 시술군과 자연 수정군 사이의 산모 연령은 (36.7${\pm}$2.07세 vs. 36.8${\pm}$2.18세, P=0.57)로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재태 연령($36^{+0}{\pm}1^{+5}$주 vs. $36^{+0}{\pm}2^{+0}$주, P=0.95), 출생체중(2,420${\pm}$440 g vs. 2,480${\pm}$460 g, P=0.14) 역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분 아프가 점수(7.37${\pm}$1.19 vs. 7.09${\pm}$1.46, P=0.019)와 5분 아프가 점수(8.67${\pm}$0.84 vs. 8.51${\pm}$0.96, P=0.045)는 모두 체외 수정 시술군에서 높았다.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전치태반, 조기 양막 파수, 제왕 절개술, 부당 경량아의 빈도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조발형 패혈증의 빈도는 체외 수정 시술군에서 자연 수정군보다 낮았다(2.4% vs. 6.4%, P=0.02). 그밖에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기관지 폐 형성이상, 동맥관 개존증, 신생아 괴사 장염, 뇌실 내 출혈의 발생 빈도는 모두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기관에서 지난 10년간 고연령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로 태어난 쌍생아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여 자연 수정으로 출생한 쌍생아와 비교하였을 때, 체외 수정 시술로 인하여 주산기 합병증과 신생아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