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물농도

Search Result 54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혈관근에서 Na$^{+}$/Ca$^{2+}$ Exchange System의 역할구명

  • Baek, Young-Hong;Kook, Hyun;Ryu, B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86-86
    • /
    • 1993
  • 혈관근의 수축 또는 이완 반응에서 $Na^{+}$/Ca$^{2+}$ exchange계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먼저 가토와 흰쥐 흉부 대동맥에서 수축과 이완 반응을 검색하고 이때의 혈관 이완 반응을 증개하는 cAMP와 cGMP농도를 측정하였다. 내피세포가 존재한 표본에서 acetylcholine은 norepinephrine 수축 반응을 이완시켰고 이완 반응은 methylene blue로 소실되었으며 isoproterenol과 nitroprusside는 내피 존재와 제거 양표본에서 이완 반응을 일으켰으며 이때 isoproterenol은 CAMP농도를, nitroprusside는 cGMP농도를 증가시켰다.

  • PDF

항 Histamine제의 $H_1$-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

  • 이신웅;박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87-87
    • /
    • 1993
  • 항 Histamine쟤의 효과적인 응용과 그 개발율 위한 자료를 얻고자 이들 약물의 H$_1$-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작용의 상대적 역가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기니픽 회장에는 [$^3$H]QHB어 대한 단일 muscarinic receptor가 존재하였으며 [$^3$H]QNB의 affinity와 결합부위농도는 각각 54 pM 및 156 fmol/mg이었다. 항 histamine제는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3$H]QNB결합을 억제하였으며 [$^3$H]QNB 결합억제로부터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Ki치가 0.008$\mu$M-1.6$\mu$M로서 항 histamine제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고, 이 결과는 carbachol 반응억제로부터 추정된 각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affinity(K$_{M}$)와 유사하였다. 한편 histamine수축반응 억제로부터 추정된 항 histamine재의 H$_1$-receptor에 대한 affinity(K$_{H}$ ) 역시 0.15nM-56.5nM로서 약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각 약물의 $K_{M}$ /K$_{H}$ 비가 3-2300으로 H$_1$-receptor에 대한 역가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역가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즉 유사한 항 allergy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치료혈중농도에서도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이 다르며 본 실험에 사용한 13종의 기존 항 histamine제중 triprolidine이 $K_{M}$ /K$_{H}$ 비가 가장 높았고 diphenidol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은 이들 약물의 항 alleragy 효과에 필요한 작용이 아니며 본 실험에서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H$_1$-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는 이들 약물의 선택과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뇌로의 약물송달 (III)- 혈액-뇌관문(BBB)의 Osmotic Opening법에 의한 뇌로의 약물송달

  • 황만용;박경호;손영택;이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45-345
    • /
    • 1994
  • BBB opening 에 의란 수용성 약물 및 지용성 약물의 뇌혈관 투과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모델약물로서 수용성 약물인 $^{99}$Tc-DTPA, 지용성 약물인 Pherlytoin을 선택하여 뇌혈관 투과성(PA)의 증가율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랫트의 좌측 외경동맥(left external carotid artery)에 혈류의 역방향으로 PE-50 catheter를 분지점에서 1-2mm 전까지 삽입하고, 1.6 molal L-(+)-arabinosg 고장액 (1580 mOsm)을 0. 12ml/sec의 일정한 속도로 30초간 infusion 한 후. $^{99}$Tc-DTPA 혹은 phenytoin 약물 용액을 대뢰정맥으로 주사하고, 대뢰동맥으로부터 약물 투여전 및 투여후 10, 30초, 1, 1.5, 2, 3. 4, 5. 7, 10분 간격으르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마지막 채혈후 즉시 단두하여 뇌조직을 취하였다. 채취한 뇌를 좌, 우반구 및 각 부위별로 분리하고 감마 카운터와 HPLC를 이용하여 뇌증농도를 정량하였다. 또한 뇌 실질 조직내 약물량을 구하기 위해 뇌 혈관내에 존재하는 약물양을 보정하였는데, 이때 계산에 필요한 뇌증 혈액부피의 측정은 $^{99}$Tc-albumin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 PDF

A study of antiproliferative effect by Euonymus alatus (Thunb.) Sieb water-extract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귀전우(鬼箭羽) 물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b;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4
    • /
    • pp.1-9
    • /
    • 2005
  • Purpose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Euonymus alatus (Thunb.) Sieb 추출물 (CWE) 의 증식억제, 항산화 작용 및 세포사 유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Methods : SKBR3 세포주는 48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 ($0-40\;{\mu}g/ml$)의 CWE를 첨가하면서 배양되었고, 세포의 생존 비율은 MTT 배양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CW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되어 있음을 형태학적인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분절을 통해 확인하였다. Results : CW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9.3+2.2{\mu}g/ml$이며, 약물의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아울러,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WE가 ROS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과 항암예방효과는 농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하였다. Conclusion : 이러한 관찰을 통해 Euonymus alatus (Thunb.) Sieb의 열수 추출물은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력한 항산화효과 및 세포사의 유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Clozapine-Induced Therapeutic Responses and Plasma Homovanillic Acid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lozapine의 치료반응과 혈장 Homovanillic Acid 및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와의 관계)

  • Kim, Chan-Hyung;Lee, Hong Shick;Kim, Kwang Hyeon;Yoo, Kae J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4 no.1
    • /
    • pp.84-94
    • /
    • 1997
  •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changes of plasma homovanillic acid(HVA),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and HVA/5-HIAA ratio during an 8-week clozapine tria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sma monoamine metabolites and treatment responses. Twenty-seve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s were treated for 8 weeks with clozapine. The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at baseline just clozapine trial and then every 2 weeks until the end of 8-week clozapine treatment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CGI). The plasma HVA and 5-HIAA levels were measured also biweekly using high pr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Plasma HVA and 5-HIAA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 8-week clozapine treatment, although plasma HVA/5-HIAA ratio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e changes of plasma HVA levels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PANSS positive scores, of general psychophathology scores, and changes of total socres. The changes of plasma 5-HIAA levels were in signf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PANSS negative scores. But the changes of plasma HVA/5-HIAA ratio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PANSS subscale score changes. 48%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clozapine was categorized as responders, who showed at least a 20% decrease in PANSS total socre and a CGI severity score of mildly ill or less(${\leq}3$) at the end pint of the study. The baseline plasma HVA levels and HVA/5-HIAA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sponders(N=13) than in nonresponders (N=14).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levels of plasma 5-HIAA was found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t the end point of the stu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lasma HVA between responders(40.3% decrement) and nonresponders(3.1% increment). But no sign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lasma 5-HIAA and the change of plasma HVA/5-HIAA ratio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psychotic effect of clozapine on positive symptoms may be associated with dopaminergic blocking activity, and that on negative symptoms may be associated with serotonergic blocking activity. The baseline plasma HVA levels and the change of HVA levels from baseline may be useful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with clozapine.

  • PDF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의 carumonam(AMA-1080)의 약동 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성권;조종태;신상구;이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59-59
    • /
    • 1992
  • 간헐적 혈액투석 또는 지속적 복막투석 요법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carumonam의 약동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이 환자들에서 적절한 투여용법을 고안하고, 이들 특수 질환군에서의 임상시험모형을 도굴하고자 하였다. 혈액투석환자는 carumonam 1g을 20분간 지속 정주 후 약물의 분포기 종료가 예상되는 시간에 혈액투석을 4-5시간 시행하였으며, 혈액, 투석액, 뇨를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지속적 복막투석 환자군에 있어서는 1일 3회(6, 6, 12시간) 복막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carumonam 1g을 정주하고 24시간동안 혈액 및 투석액, 뇨를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혈액, 투석액 및 뇨중 carumonam의 농도는 HPLC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경시적인 혈장 carumonam 농도변화 및 투석에 따른 약물의 제거를 혈액 투석환자는 2 compartmental model, 복막투석환자에서는 bidirectional 2 compartmental model에 의해 그 약동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 PDF

Dihydropyridine계 칼슘 Channel효능제 및 길항제가 Muscarinic Receptor에 미치는 영향

  • 이신웅;박영주;이해태;장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45-45
    • /
    • 1992
  • Calcium channel에 작용하는 dihydropyridine(DHP) 계열의 calcium channel 효능제와 길항제의 caicium channel에 대한 작용과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작용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3$H]QNB와 [$^3$H]nitrendipine 결합실험을 시행하고 이를 지표로 하여 칼슘효능제와 길항제의 이들 receptors에 대한 결합성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칼슘 channel 효능제인 Bay K 8644는 칼슘길항제인 nicardipine 및 nimodipine과 같이 고농도에서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3$H]QNB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들 약물의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Ki치는 각각 16.7 $\mu$M, 3.5 $\mu$M, 및 15.5 $\mu$M이었다. 한편, 이들 약물은 다같이 칼슘 channel의 high affinity DHP결합부위에 대한 [$^3$H]nitrendipine 결합을 억제하였으나 이 부위에 대한 Bay K 8644, nicardipine, 및 nimodipine의 Ki치는 각각 4 nM, 0.1 nM, 및 0.2 nM로서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Ki치 보다 4,000-75,000배 작았다. 뿐만 아니라 [$^3$H]QNB결합을 완전히 차단하는 고농도의 atropine(1 $\mu$M)에 의해서도 [$^3$H]nitrendipine결합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DHP계 약물의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작용은 칼슘channel에 대한 이들 약물의 작용을 연구하거나 임상적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때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Fleroxacin Tablets in healthy Korean (플레록사신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Lee, Myong-Jae;Sun, Yih Hsiu;Sohn, Uy-Dong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8 no.2
    • /
    • pp.132-136
    • /
    • 2008
  •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에 따라 플레록사신정 (Fleroxacin, 100 mg) 을 시험약으로 하고 메가로신정 100 mg을 대조약으로 하여 $2{\times}2$ 교차 시험법에 따라 건강한 성인 지원자 24명에게 3정 (fleroxacine, 300 mg/정) 씩을 경구투여한 후, 각 피험자들의 혈중 약물농도 데이터로부터 구한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AUCtmax.) 과 최고혈중농도 (Cmax) 등의 생체이용률 파라미터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고찰하여 두 제제간의 생물학적동등성을 평가하였다. 혈중 약물농도는 HPLC/UV 검출기로 분석하다. 플레록사신정의 대조약과 시험약에 대한 동등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보면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의 판단 기준인 2항목 (AUCt, Cmax) 에 대하여 두 가지 비교항목 중 AUCt 값의 경우 대조약은 $44.26{\pm}7.12{\mu}g{\cdot}hr/mL$, 시험약은 $4.11{\pm}1.63{\mu}g/mL$이며 두 약물의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은 log 0.9570 에서 log 1.0565 이다. Cmax 값의 경우 대조약은 $45.16{\pm}10.04{\mu}g{\cdot}hr/mL$, 시험약은 $3.78{\pm}1.01{\mu}g/mL$ 이며, 대조약과 시험약의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8369에서 log 1.0626 로서, AUCt 와 Cmax 두 항목 모두 log 0.8에서 log 1.25 이내이어야 한다는 생물학적동등성시험 기준을 충족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시험약 플레록사신정 (Fleroxacin, 100mg)은 대조약인 메가로신정 100 mg 대하여 생물학적동등성의 판단 기준인 두 항목 AUCt와 Cmax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Microsphere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미립구의 제조 및 특성화)

  • Kang, Hye-Su;Kim, Beom-Soo
    • KSBB Journal
    • /
    • v.22 no.3
    • /
    • pp.146-150
    • /
    • 2007
  •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P(3HB-co-4HB)] microspheres were prepared using 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P(3HB-co-4HB) with 3.9 mol% 4HB was synthesized by fed-batch culture of Ralstonia eutropha.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and type of surfactant (Tween 80, sodium dodecylsulfate, and polyvinyl alcohol), addition of dispersion stabilizer (Acacia), concentration of polymer and model drug (bovine serum albumin) on particle size of the microspheres and their in vitro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crosphere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dispersion stabilizer and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 drug and polymer. Amount of drug release in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of the microspheres.

Differential Cytotoxic Effects of Jaspine B in Various Cancer Cells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Jaspine B의 함암활성 비교)

  • Lee, Jihoon;Choi, Kwangik;Kwon, Mihwa;Lee, Dongjoo;Choi, Min-Koo;Song, Im-So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12
    • /
    • pp.1392-1399
    • /
    • 2016
  • Jaspine B is an anhydrophytosphingosine that is isolated from a marine sponge. Because of its structural similarity to sphingosine, it shows anti-cancer effects in human carcinom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ts anti-proliferative effect on various cancer cells and to correlate its association with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Jaspine B in relevant cancer cell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Jaspine B in various cancer cells was determined by a cell viability test, and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Jaspine B in relevant cancer cells was determined using mass spectrometry coupled with liquid chromatograph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 value between the cytotoxicity and the cell accumulation of Jaspine B were determined using SPSS 16.1. The cytotoxicity of Jaspine B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ncer cell when compared the $EC_{50}$ values of Jaspine B. Breast and melanoma cancer cells were susceptible to Jaspine B, whereas renal carcinoma cells were resistant.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s of Jaspine B had a reciprocal correlation with the $EC_{50}$ values in the same cells (r = 0.838).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Jaspine B was associated with the cellular accumulation of this compound. However, Jaspine B was not a substrate for P-glycoprotein and 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as major efflux pumps caused multidrug resistance. The maintenance of a high intracellular concentration is crucial for the cytotoxic effect of Jaspine B; however, efflux pumps may not be a controlling factor for Jaspine B-related resistance in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