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농도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4초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에 경구투여된 oxolinic acid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pharmacokinetics of oxolinic acid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김진우;서정수;지보영;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1-227
    • /
    • 2010
  • Oxolinic acid를 사육수온($13{\pm}1.5^{\circ}C$, $23{\pm}1.5^{\circ}C$)에 따라서 조피볼락(평균체중 500 g)에 60 mg/kg의 농도로 1회 경구 투여한 다음, 경시적인 혈청내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30시간째($0.60{\mu}g/ml$)에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1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10시간째($2.22{\mu}g/ml$)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OA의 조피볼락 혈중내 흡수양상과 소실정도는 사육수온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Two-compartment model로 해석하여 WinNonlin program을 이용,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42.16{\mu}g{\cdot}h/m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max)은 26.13 h, 혈중최고농도(Cmax)는 $0.43{\mu}g/ml$, 예상약물소실시간(Et)은 230시간으로 계산되었다. $13{\pm}1.5^{\circ}C$의 경우, AUC는 $131.98{\mu}g{\cdot}h/ml$, Tmax는 8.81 h, Cmax는 $2.04{\mu}g/ml$, Et는 492시간으로 계산되었다.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실크 비드의 적외선 분광 특성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the infrare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silk beads)

  • 김성국;조유영;이광길;김기영;김현복;권해용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8-123
    • /
    • 2015
  • 알코올의 농도 변화에 따른 실크단백질의 구조전이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백옥잠 누에고치를 이용하여 실크단백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코올의 농도를 100%, 70%, 50%로 조절하여 제조한 실크 비드의 적외선 분광 분석을 하였다. 고농도(100%) 알코올로 처리한 실크단백질은 전형적인 ${\beta}-sheet$ 구조를 반영하는 $1265cm^{-1}$ 부근에서 흡수대를 보였으며 모델 약물로 사용한 4HR의 특성 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알코올의 농도를 70%, 50%로 조절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모델 약물의 흡수대인 $2933cm^{-1}$ 부근, $1069cm^{-1}$ 부근, 그리고 $973cm^{-1}$ 부근의 흡수대가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조성되는 실크단백질의 미세 구조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보다 정밀한 실크단백질 구조 제어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성분의 기억 및 학습에 관한 연구

  • 임동구;김경만;오기완;최수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33-233
    • /
    • 1994
  • 인삼 성분이 학습 및 기억력 중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는 약물들에 대한 아답타겐 (상품명) 과 인삼 수 엑기스산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Ethylcholine aziridium ion(AF64A), scopolamine 및 morphine을 쥐 및 생쥐의 해마와 복강에 각 각 주입하여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유발한 후 아답타겐을 경구 투여하여 학습 및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수로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인삼 수 엑기스산을 일주일 동안 복강 주사하여 각 효과를 수로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인삼 수 엑기스산을 일주일동안 복강 주사하여 각종 신경계에 미치는 변화를 효소 활성도,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수용체 결합을 지표로 하여 살펴보았다. AF64A 투여군 중 플랫폼을 전혀 인지치 못한 군에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투여 횟수에 따라 플랫폼을 인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연습 후 일주일간 물을 투여한 대조군의 도달 시간에 큰 변화가 없음에 반해,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3일 투여 후 최대 시간이 걸리고, 투여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차 도달 시간이 단축되었다. 인공 뇌척수액 및 AF64A의 투여군에서 아답타겐을 5일간 투여한 경우 대조군보다 각각 3배 빠른 속도로 플랫폼을 기억하였다. 한편 scopola mine 투여시에는 아답타겐을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약 3배 빨리 플랫폼에 도달하였으나 각 투여군의 매일의 도달 시간 차이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4일 전에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saline 및 merphine 투여시 약 1.4배 빨리 플랫폼을 인지하였다. 인삼 추출물을 7일 투여 했을 경우 선조체에서 도파민 합성 효소인 tyrosine hydroxylase 활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했으며, 대사체인 DOPAC의 농도도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도파민, HVA및 대사율인 DOPAC/DA와 HVA/DA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선조체의 GABA농도는 약 66%로 낮아졌지만 AChE의 활성도는 변화가 없었다. 인삼 수 추출물을 2주일 투여시 선조체의 도파민 수용체의 특성변화는, D1 수용체의 친화력에는 변화가 없는 반면, 최대 결합 수용체 수는 약간 낮아졌고, D2 수용체의 경우 최대 결합 수용체수는 변화가 없었으나 친화력은 감소하였다. 또한 피질의 benzodiazipine수용체 결합 친화력에는 변화가 없는 반면 최대 결합 수용체 수는 약 15%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연수의 benzodiazepine 및 피질의 GABA 수용체의 특성에는 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AF64A, 아급성 scopolamine 및 급성 morphine꽈 투여로 학습능이 저하되고 아답타겐을 경구 투여시엔 저하된 학습능력 빛 기억력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본 결과는 인삼성분 중에는 도파민 및 GABA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Renal dehydropeptidase-I (DHP-I) St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DA-1131, A New Carbapenem Antibiotic

  • Kim, Ji-Young;Kim, Gye-Won;Park, Seong-Hak;We, Jeoung-Soon;Park, Haeng-Soon;Junnick Ya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8-238
    • /
    • 1996
  • 각종 동물 및 인체 신장 유래 DHP-I에 의한 DA-1131, imipenem(IPM) 및 meropenem(MEPM)의 속도 상수를 측정한 결과, DA-1131은 동물종에 관계없이 가장 안정성이 큰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체 DHP-I에 대한 Vmax/Km 값이 IPM의 21.9%로 관찰되어 IPM보다 하위 기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A-1131, IPM/CS 및 MEPM/CS의 20mg/kg투여 후의 혈중농도 반감기(T$_{1}$2/)는 각각 11.4분, 8.9분, 10.3분이었으며, 1$\mu\textrm{g}$/$m\ell$ 이상의 혈중농도룰 유지하는 시간은 66.6 분, 55.9 분, 63.1 분이었다. DA-1131, DA-l131/CS, IPM/CS, MEPM 및 MEPM/CS의 40 mg/kg 투여 후 24시간 동안의 뇨중 배설율은 57.9 %, 61.3%, 22.6 %, 11.3% 및 65.9%이었으며, 각 약물을 40 mg/kg 투여 15분 후 DA-ll3l의 폐중 농도는 11.2$\mu\textrm{g}$/g으로 DA-l131/CS, IPM/CS 및 MEPM/CS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T/P ratio도 DA-1131, DA-l131/CS, IPM/CS 와 MEPM/CS 투여군에서 거의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장중 농도는 DA-1131 과 DA-l131/CS의 경우 29.l$\mu\textrm{g}$/g 및 34.2$\mu\textrm{g}$/g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IPM/CS, MEPM 및 MEPM/CS 투여군에 비하여는 높은 결과로 나타났고 T/P ratio도 DA-1131과 DA-l131/CS 투여군이 IPM/CS, MEPM 및 MEPM/CS 투여군보다 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막유화 다중 에멀젼을 이용한 생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PCL)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CL Microcapsules Using Multiple Emulsions by Membrane Emulsification)

  • 지연주;염경호
    • 멤브레인
    • /
    • 제27권6호
    • /
    • pp.511-518
    • /
    • 2017
  • 막유화(membrane emulsification, ME)는 SPG 막과 같이 균일한 크기의 세공을 갖는 막을 사용하여 좁은 입도분포의 에멀젼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막유화법으로 형성시킨 다중 에멀젼을 사용하여 폴리카프로락톤(PCL)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를 연구하였다. 먼저 초음파 유화기로 $W_1/O$ 단일 에멀젼을 제조한 후, premix 막유화를 적용하여 $W_1/O/W_2$ 다중 에멀젼을 형성시킨 후 용매 증발을 통해 모델 약물인 BSA가 담지된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비율(D/C ratio), PCL 농도, 유화제 농도, 모델 약물의 농도, 막간 압력차 등 막유화 변수가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입경과 입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Premix-ME를 적용하여 평균 입경 $5{\sim}6{\mu}m$의 균일한 크기를 갖는 모델 약물 BSA의 함침량이 약 26%인 다중 코어형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PHBV를 이용한 황산겐타마이신 서방성 제형의 제조와 방출거동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HBV Devices Containing Gentamicin Sulfate)

  • 최학수;김상욱;윤덕일;강길선;이종문;김용식;이해방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334-342
    • /
    • 2001
  • 항생제의 서방형 전달을 위해 황산겐타마이신 gentamicin sulfate (GS)을 함유한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 제형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형의 두께, hydroxyvalerate (HV) 농도, 초기 약물함유량 및 첨가제의 함유에 따른 약물 방출거동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제형의 표면형태와 매트릭스 내부 약물의 조성을 관찰한 결과 약물방출 전과 후 모두 거칠고 다공성인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V와 첨가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약물이 고분자 매트릭스에 더 조밀하게 배열함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구조가 약물의 방출에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HPLC를 이용하여 약물의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제형이 복합적인 방출 방향을 나타내었고, 일부 매트릭스는 30일 동안 거의 영차에 가까운 방출거동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우리는 제형의 두께, 고분자 매트릭스의 조성, 첨가제의 함유량 등을 조절함으로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단백질 약물 방출속도에 미치는 친수성 첨가제의 영향 (Effects of Hydrophilic Additives on the Release Rate of Protein Drugs)

  • 권영관;김지현;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13-217
    • /
    • 2007
  • 첨가제가 단백질 약물 방출 속도 및 약물 제제 제조 및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친수성 첨가제인 D-sorbitol의 경우 친유성 첨가제보다 단백질 약물 방출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최적의 농도는 3% (w/v)로 나타났다. 또한 제제 제조시 점도를 낮게 유지할 뿐 아니라 상분리 없는 균일한 pluronic 용액상태를 유지하여 약물이 첨가될 경우에 균일한 약물제제를 만들 수 있었다. 한편 D-sorbitol은 pluronic 수용액의 CMC를 낮추고 마이셀 표면에 작용하여 구조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pluronic 제제에 D-sorbitol을 첨가하여 단백질 약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었다.

새로운 nucleoside계 항암제, ara-CDP-DL-PCA.Na(BR-28702-2)의 약효연구 및 급성독성 시험.

  • 백우현;신원섭;채희상;노정구;강부연;차신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69-169
    • /
    • 1994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 ara-CDP-DL-PBA.2Na, 및 ara-CDP-DL-PMA.2Na 3종의 BR-8702-2의 micellar soultion을 투여시료로 하여 제암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DBA/2J 마우스(평균 체중 25g, 수컷)에 L$_{1210}$임파성 백혈병 세포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는 실험계 에서 400mg/kg/day, 단회투여 및 80 혹은 100mg/kg/day, 1~5일간 투여로 ILS%값이 229~543으로 우수한 제암력을 보였다. 또한 BDF$_1$ mice(15~20g)의 axillary region에 3㎣의 Lewis Lung Tumor를 피하로 이식한후 약물투여를 통한 제암효과를 관찰하였다. 100, 200, 300mg/kg/day의 단회 투여계 에서는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 한편, 20, 40, 6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 에서는 ara-CDP-DL-PCA.2Na만이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에 역순하여 저농도인 2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그때의 ILS%는 32.3%였고 투여기간중의 체중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COM 370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투여시료로한 micellar solution의 입자도를 분석한 결과 ara-CDP-DL-PCA.2Na는 4.2nm size의 것이 99.48%를 차지하고 있었다. ara-CDP-DL-PCA.2Na의 ICR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투여에서의 LD$_{50}$값은 암,수컷 모두 5000mg/kg이상 이었고, 정맥내 투여 에서는 432mg/kg이었다. 실험과정중 생존동물의 일반적 이상소견등은 없었으나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서 체중증가 억제현상이 있었다.

  • PDF

Exenatide: a New Agent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s Adjunctive Therapy

  • Yoo, Ju-No;Yoo, Dong-Joo;Yoo, Bong-Kyu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5-172
    • /
    • 2005
  • 엑세나타이드는 2005년 4월에 미국 FDA로부터 허가된 새로운 계열의 당뇨병치료제로서 적응증은 멧포르민이나 설포닐유레아계열의 당뇨병치료제로서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목표치로 저하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기존의 치료법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엑세나타이드는 3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자생하는 도마뱀의 타액에서 유래된 물질과 조성과 기능이 유사하도록 합성된 펩타이드 약물이다. 이 약물은 혈중포도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인슐린분비를 촉진하며, 비정상적으로 높은 혈중 글루카곤농도를 저하시키며, 음식물의 위통과시간을 연장하며, 식욕을 저하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기전을 통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멧포르민으로 1일 1500 mg을 사용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당화혈색소가 7%를 초과하는 제2형 당뇨병환자 336명을 대상으로 부가적으로 30주간 엑세나타이드 $5{\mu}g$또는 $10{\mu}g$을 1일 2회 피하주사 한 임상시험결과에 의하면, 당화혈색소가 7% 미만인 환자의 비율은 intent-to-treat 로서 각각 27%와 40%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치료법과 위약으로 치료받은 군에서의 1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성 있는 결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또 다른 임상시험에서는 상기 임상시험과 유사한 임상시험계획을 바탕으로 하여 설포닐유레아로 치료받고 있었지만 당화혈색소가 7%를 초과하는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의하면 엑세나타이드와 설포닐유레아의 병용치료 시 혈당조절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멧포르민과 설포닐유레아의 병용요법으로 치료받고 있던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 약의 부작용은 치료개시 후 나타나는 메스꺼움이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저 혈당현상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은 인슐린 대용약물이 될 수 없으며 당뇨병성 케토산증의 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 약물은 심한 신부전이 있거나 말기신장질환 환자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 PDF

흡연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 증상 및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Clinical Symptoms and Level of Serum Prolactin in Schizophrenic Patients)

  • 우행원;임원정;연규월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43-150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성향 및 흡연이 임상양상이나 증상,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연령, 발병연령, 이환기간,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 및 항파킨슨 약물의 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호 식품인 커피를 매일 한잔이상 마신다고 답한 경우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2) 흡연 이유는 긴장 완화(85.7%), 권태로움을 피하고 싶어서(45.2%), 습관(38.1%),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서나 또는 친구를 모방(23.8%)하여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했다. 80.1%가 금연을 시도했었으나, 94%에서 craving때문에 금연에 실패하였다. 금단증상으로 불안감(52.9%), 정신과적 증상의 악화(23.5%), 환청의 악화(8.8%), 약물부작용의 악화(14.7%), 졸리움의 증가(47.1%)등이 있었다. 3) BPRS 총점수는 흡연군과 비흡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척도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HAM-D에 의한 우울증상 및 SCL-90-R의 대인관계 민감도 항목과 공포증 항목이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PANSS. AIMS는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흡연군에서는 혈청 prolactin이 비흡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1) 공변량분석결과 흡연이 혈청 prolactin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정신 분열병 환자에서 금연 유도시 적절한 항불안 약물이나 항우울 약물의 일시적인 병합치료로서 금단증상을 최소화 시켜야 하며, 환자들의 낮은 자존심 및 높은 의존심을 충족시키는 정신치료가 병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hromatography를 반복(反復)하여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 (Compound 1)과 Rhaponticin (Compound 2)을 얻었다. S. aureus SG 511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mg/m{\el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ATCC 6633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 mg/ml 농도(濃度)에서 우수(優秀)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1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055에 대(對)해서는 Rhapontigenin과 Rhaponticin 모두 2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抗菌) 효능(效能)은 군약(君藥)인 대황(大黃)의 성분(成分) 중(中)의 하나인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