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야기 구조

Search Result 1,20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건설진동 측정 및 분석기기의 응용

  • 박연수;김용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1
    • /
    • pp.5-8
    • /
    • 1990
  • 진동측정은 일반적으로 물체의 상대운동을 변위, 속도, 가속도 등으로 측정한다. 측정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픽업을 진동체 위에 설치하여 진동을 측정하는 방법과 진동체의 외부에 설치한 부동점과 진동체와 상대적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이동하는 차량 등의 진동은 외부에 부동점을 설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픽업이 진동체에 붙여지게 된다. 또 구조물에서 비교적 단주기 진동의 경우는 픽업이 직접 진동체에 붙여지나, 주행하중에 의한 교량의 처짐을 측정할 경우 처짐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외부에 부동점을 설치하여 측정한다. 그러나 통상 진동측정이라고 하면 전자의 픽업을 사용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발파 및 항타 등의 건설공사에 의해 야기되는 건설진동의 경우도 픽업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진동측정 원리가 보통 이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도 건설진동 측정 및 분석에 픽업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Constructional Deflection of Composite Beam on Concrete Ponding in Metal Deck Slab (합성보의 시공중 처짐이 합성데크슬래브의 콘크리트 고임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C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6 no.4
    • /
    • pp.99-106
    • /
    • 2002
  • In the composite deck system, beams and deck plates deflect during construction. This lens-shaped deflection may cause problems in the serviceability of a building. Therefore, it should be compensated to be level. Several methods for leveling of floor slab are available, such as (1) increasing stiffness of structural members, (2) propping floor system, (3) cambering beams, (4) pouring additional concrete. In this study, additional weight and volume of concrete for level compensation are examined for various size of floors.

A Study on Layered Electronic Document (계층구조로 운영하는 전자문서에 관한 연구)

  • Lee, Jongkuk;Jeong, Yeonseo;Nam, K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780-782
    • /
    • 2012
  • 본 논문은 전자문서를 다중 계층적으로 운영하는 구조와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전자문서는 단일 계층에서의 작업으로만 이루어졌다. 이런 방식으로는 원본에 변경을 필요하기 때문에 원본을 변경할 수 없는 파일인 경우 (예: Adobe PDF), 전자문서를 보면서 줄을 긋고, 설명을 적는 것과 같은 작업은 전자문서를 출력해서 종이에 작업을 해야 하거나, 원본 문서를 내가 변경 시킬 수 있는 형태의 문서로 제작한 다음, 설명을 적거나, 줄을 긋는 방법을 택하여 왔다. 이런 방법은 원본을 다시 복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 용량의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시켜왔다. 이에 본 논문은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문서를 다중 계층적으로 운영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즉 다중 계층을 적용시킨 전자문서로 원본에는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설명 자료 등을 첨부시키고, 강조하는 등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자문서의 효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Thermal Stress Finite Element Analysis of Iron-manufacturing Furnace Structures (제철용 고로 구조물의 열응력 유한요소 해석)

  • Han Dae-Suk;Paik Jeom-Kee;Lee Jae-Myung;Kim Won-Beom;Lee Man-Seung;Choi Woo-Ch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5.04a
    • /
    • pp.283-290
    • /
    • 2005
  • 제철용 고로구조물의 안전성 위협 요인으로는, 고로자중이나 철광석 낙하 둥과 같은 기계하중 외에도 구조물 내부 온도가 최대 $1700^{\circ}C$에 이르는 고온 환경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의 작업 환경은 고로 구성부재들의 크립손상, 열피로 문제 등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이들 고열에 의한 영향평가는 고로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 필수요소로 거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화재, 냉각판, 철피 등의 냉각시스템을 거치면서 내부의 고온 환경은 고로 외피에 이르는 동안 온도강하가 이루어진다. 급격한 온도강하는 나타나지 않지만 장기간 고로 가동에 있어 상시하중으로 작용하는 이 열원에 의해 고로 각 구부위에는 열응력이 발생하고 이 열응력과 나머지 기계적 하중의 조합에 의해 크립이나 열피로 등과 같이 고로 구조물 안전성 위해요인들이 발생한다고 분석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한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잠재적인 안전성 위해요인으로 알려진 열응력 발생 특성을 분석하고, 고로 건전설계 및 보수 유지 관리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개발한다.

  • PDF

Selective Emitter Solar Cell의 표면 Doping 농도에 따른 광학적,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n, Si-Hyeon;Jang, Gyeong-Su;Park, Hyeong-Sik;Jo, Jae-Hyeon;Lee, Ju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308-308
    • /
    • 2010
  • 산업의 기반이 되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야기되는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고자 신재생 에너지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에 태양전지가 가장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는 기존 전력 생산 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결정질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데 경제성과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전지의 전면에 선택적 doping 형성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선택적 doping 구조의 태양전지는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변환효율이 높으면서 양산에서 사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 더 유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선택적 doping 형성을 위한 실험적인 분석 방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실험을 하기 이전에 결과를 예측하여 실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TCAD simulation을 이용하여 결정질 태양전지의 전면에 형성한 선택적 doping 농도에 따른 pn 접합 형성 구조와 doping profile에 따른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효과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택적 doping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R로 각 파장별 양자효율의 변화와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여 selective emitter 태양전지에 적합한 pn 접합 형성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eV 전자빔 조사를 통한 Pt/Graphene 복합 나노구조의 형성

  • Cha, Myeong-Jun;Song, U-Seok;Kim, Yu-Seok;Jeong, Dae-Seong;Kim, Seong-Hwan;Lee, Su-Il;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70-570
    • /
    • 2012
  • 그래핀(graphene)은 육각형의 탄소원자 한층으로 이루어진 이차원 구조체로써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요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그래핀과 금속 나노입자의 복합구조는 수소 저장체, 가스센서, 연료전지, 화학 촉매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그래핀/금속나노입자 복합구조의 제작 방법에는 열증발(thermal evaporation), 전기도금법(electrodeposition), 표면 기능화(surface functionalization)를 이용한 방법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긴 공정시간이 요구되며,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가 넓다는 단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합성된 그래핀이 전사된 SiO2 (300nm)/Si 기판에 염화기가 포함된 백금 화합물 분산용액을 스핀코팅(spin-coating)하고 MeV 전자빔을 조사하여 Pt/grapheme 복합구조를 형성하였다. 이 방법은 균일한 크기 분포의 나노입자의 형성이 가능하며, 간단하고,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며, 다른 방법에 비해 그래핀의 결함형성이 적다는 장점을 지닌다. Pt/grapheme 의 기하학적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와 투과전자현미경(transimission)을 통해 분석하였고, Pt와 graphene의 일함수(workfunction)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전하이동에 의한 도핑(doping)현상을 라만 분광기(Raman spectroscopy)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통해 분석하였다.

  • PDF

Research of the Method for Required Fire Resistance of the Concrete Structures in Tunnel (터널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화성능 확보방안을 위한 연구)

  • Park, Kyung-Hoon;Kim, Heung-Youl;Kim, Hyung-Jun;Shin, Hy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06-512
    • /
    • 2009
  • 최근 건설 중인 금정터널(총 연장 20.3km)이나 부산-거제간 침매터널은 화재 발생시 구조체의 강도저하로 인한 붕괴 및 사회기반시설인 교통망을 장시간 끊어놓은 등 큰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초장대터널이나 침매터널은 다른 터널보다 밀폐된 공간이므로 화재 시 단시간에 급격하게 온도상승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주재료인 콘크리트의 폭렬이 발생하고 구조물 내부까지 고온이 전달되어 경우에 따라 구조체의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터널내화용 보드와 모르타르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확보방안을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대한 내화성능 평가는 ITA(International Tunneling Association)에서 정한 화재 손상범위를 평가기준으로 하였고 터널화재 시나리오는 네덜란드의 TNO에 의해 실행된 실험결과를 따른 RWS 화재곡선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BIBFRAME-Based Linking Structure for Interrelating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대체자료 서지레코드 연결을 위한 BIBFRAME 기반 연계 구조 구축)

  • Lee,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3
    • /
    • pp.281-301
    • /
    • 2021
  •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using a flat bibliographic structure based on unit recor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be linked with other related resources in record leve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access to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tructed a linking structure which adopted FRBR-based BIBFRAME structure to establish a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can interrelate the bibliographic records with flat structure and the multi-level BIBFRAME structure. This research proposed a linking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enables interlinking between bibliographic records for related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by composing upper-level linking property categories and interconnecting them to classes and properties of BIBFRAME.

Development of a Thickness Mode Piezoelectric Oscillator Sensor to Detect Damages in a Structure (구조물 손상 탐지를 위한 두께 방향 모드 압전 오실레이터 센서 개발)

  • Kim, Dong-Young;Roh, Yong-R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95-101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feasibilityof a thickness mode piezoelectric oscillator to detect damages in structures. The thickness mode oscillator sensor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feedback oscillator circuit and a piezoelectric thickness mode vibrator to be attached to a structure of interest. Damage to the structure causes a change in the impedance spectrum of the structure, which results in a corresponding change of a resonant frequency of the structure. The oscillator sensor can instantly detect the frequency change in a very simple manner. Feasibility of the piezoelectric oscillator sensor was verified with a sample aluminum plate where artificial cracks of different lengths and number were imposed in sequenc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was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data with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es of a plate with cracks.

전력기술개발의 중요성

  • 송길영
    • 전기의세계
    • /
    • v.34 no.5
    • /
    • pp.257-260
    • /
    • 1985
  • 지난 70년대 두차례에 걸쳐 밀어닥친 에너지파동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크게 달라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는 중동정세의 퇴미로 국내외정세는 우리에게 커다란 시련을 안겨주고 있다. 에너지정책도 이와같은 정세를 반영해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고도성장기에는 우선 무엇보다도 왕성한 전력수요에 대한 공합의세를 다해야하는 것이 전력정책의 최우선적인 과제였으며 이예따라 대규모의 전원개발이 계속 추진 되어왔던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전력사업의 경영과제는 전력수요의 정대에 따라 야기되고 있는 이른바 수요저성장사능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가야만 할 것인가 하는데로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소용돌이에서 보다 저렴하고 안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