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야기 구조

Search Result 1,20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iffness and Load Matrix for Finite Parallelogrammic Plate Bending Element (평행사변형 유한요소의 강성 매트릭스와 하중 매트릭스)

  • 조병완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89.04a
    • /
    • pp.28-32
    • /
    • 1989
  • In the recent years, parallelogrammic shape structures were often introduced in the Civil Engineering. Especially parallelogrammic shape highway slabs, which were used in the portions of Interstate-75, U.S.A., were a unique one to result in only one wheel crossing the joint at any one time. In this reserch, major efforts were made to provide an appropriate subroutine program and to study an analytical behavior of paralleloqrammic plate bending element by developing the stiffness and load matrices.

  • PDF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ropagation in Inundation Area with Structures (제내지 구조물 설치에 따른 제방붕괴 범람홍수파 특성 분석)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04-908
    • /
    • 2007
  • 도시 지역에서는 범람류에 의한 인명 피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범람류 특성과 침수특성을 파악하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명 피해를 야기시킬 수 위험요소로는 홍수파의 전파속도와 범람류의 유속 및 수심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도시 지역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구조물의 영향에 의한 범람홍수파의 거동에 대해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기초적인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홍수파의 전파속도는 제방 붕괴시 하도 초기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내지에 구조물 설치 유무가 범람홍수파 전파속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기 월류수위 효과를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제내지에 구조물이 있음으로써 없는 경우에 비해 제방붕괴부 주위의 최대수심은 증가하였다. 이는 구조물에 의한 배수영향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구조물 설치밀도가 높은 군집구조물의 경우에 확실하게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최대수심을 산정하는 식을 무차원변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Ice impact on arctic gravity caisson (극지용 중력식 해양구조물의 유빙충격 해석)

  • Yu, Byung-Ku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 no.2
    • /
    • pp.52-59
    • /
    • 1987
  • 극 지역용 중력식 해양구조물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문제중의 하나가 구조물의 유빙(ice)과 충돌시 야기되는 foundation붕괴 현상인데, 본 논문에서는 정적 해석을 위해 sliding 및 bearing failure 현상에 대하여만 연구하였고, 또한 동적 해석을 위하여 soil과ice의 특성으로부터 structure-ice-soil의 상호 작용 운동 방정식을 설정하여 구조물과 ice의변위, 속도, 가속도와 ice force와 soil force의 history를 시간영역 해법으로 풀었다. 한 예제로 Beaufort Sea의 37 feet수심과 granular soil 상태에서 구조물의 최대변위는 0.4 feet이고 가속도는 약 0.3kg이며 이때 구조물이 sliding에 대하여 안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A Case Study for the Concrete Caisson Crack Failur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케이슨 균열발생의 원인규명 사례연구)

  • 박용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7 no.4
    • /
    • pp.119-126
    • /
    • 1994
  • One of the most serious promblems in the concrete structures is cracking failure due to the several complicated reasons. These cracks are not only serious structural problems, but also lower the durability and deteriorate the structural shape, which cause the reinforcement rust in the open air and sea water. An analytical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racking problems in the one of concrete caisson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is caisson is modelled with plate elements and truss elements for the walls and lifting cables respectively and analyzed in the every construction stages, such as lifting, moving, sinking, filling, towing, setting, and proposed reasonabl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concrete caisson structures.

  • PDF

Development of Hybrid Three Dimensional Beach Deform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복합 3차원 해빈변형모델의 구축과 그 적용)

  • Shin Seung-Ho;Ho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4
    • /
    • pp.199-206
    • /
    • 2004
  • Construction of a large offshore structure in coastal area may cause serious morphological changes for a wide region ranging from shoreline to offshore behind the structure. Shin et at. [2000] and Shin and Hong [2004] identified the sediment transport patterns behind the large offshore structure through a series of three dimensional movable bed experiments. In present study, a hybrid three dimensional beach deformation model was suggested based on thos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s revealed by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The model was verified by the results of the three dimensional moveable bed experiments and they agreed well not only in reappeared tombolo in shoreline side but also in the erosion and deposition region behind offshore structure. In addition, the model was applied to real beach deformation problem, which was occurred by construction of artificial offshore islands, and it valid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 PDF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Semicircular Structure for 5G Applications (5G 응용을 위한 반원형 구조를 가진 사각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 Kim, Yeong-Jin;Maharjan, Janam;Choi, Dong-Yo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0
    • /
    • pp.1269-1274
    • /
    • 2019
  • The paper presents a design of simple four-element microstrip-patch array antenna that is suitable for 5G applications. The proposed array consists of four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elements with semicircular etches made on both sides of each elements. The antenna is fed using the combination of series and corporate feeding networks. The size of the ground is also changed to improve the antenna frequency. Finally, yagi elements are also added to improve the directive gain of the antenna. The presented microstrip patch array is able to achieve wide frequency bandwidth of 21.95-31.86 GHz. The antenna has also attained gain of 9.7 dB at 28 GHz and has maintained high gain and high directivity throughout the frequency band. The proposed array antenna fed by series-corporate feeding network, with low profile and simple structure is a good candidate for 5G applications.

수열합성법과 스퍼터링증착법을 이용한 Hierarchical ZnO Nanowire 합성 및 수소생산응용

  • Choe, Yeong-U;Yong, G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02-602
    • /
    • 2013
  • 산화아연(ZnO)은 직접 천이 와이드 밴드갭(3.37 eV)과 큰 excitation binding energy (60 meV)를 갖는 II-VI 반도체로 광촉매, light emitting diodes (LED), dye-sensitized solar cell 등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다. ZnO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polar terminated (001)면과 nonpolar low-symmetry (100)면을 갖으며 (100)면이 (001)면보다 더 안정하기 때문에 (100)방향의 일차원구조가 쉽게 합성된다. 이러한 일차원 구조는 빛의 산란을 유도하여 더 많은 빛의 흡수를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일차원 구조를 따라 효율적인 전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원 구조의 장점을 살리면서 더 넓은 표면적을 갖는 hierarchical ZnO nanowire 구조를 수열합성법과 스퍼터링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Hierarchical ZnO nanowire는 SEM, TEM을 이용하여 구조를 관찰하였고 UV-visabl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일차원 구조의 ZnO nanowire와의 absorbance, transmittace 차이를 확인하였다.

  • PDF

The Efficient XML Bottom- Up Query Processing (효율적인 XML 상향식 질의 처리)

  • Seo, Dong-Min;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5-348
    • /
    • 2006
  • 경로 질의는 XML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질의이며, 기존에 경로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색인 기법들이 연구되었다. 최근에는 suffix 트리를 사용하는 구조 조인 기법들이 제안되어 경로 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ViST는 가장 대표적인 구조 조인 기법으로 XML 문서에 대한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 suffix 트리와 $B^{+)$ 트리를 사용한다. 하지만, ViST는 suffix 트리에 최적화 되지 못한 번호 부여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질의 처리 시 불필요한 조인과 디스크 접근이 야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경로 질의 성능을 급격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iST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색인 구조를 제안하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는 suffix 트리를 사용하는 구조 조인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적화된 번호 부여 기법과 상향식 질외 처리 기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의 성능 평가에서는 제안하는 색인 구조를 ViST와 비교하여, 제안하는 색인 구조가 와일드-카드('$^{\ast}$와 '//')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일 경로 질의와 분기 질의에 대해 향상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machine tool structural dynamics by digital correlation method (디지탈 상관법에 의한 공작기계 구조동력학에 대한 연구)

  • Lee, Jang M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5 no.2
    • /
    • pp.139-150
    • /
    • 1981
  • 미니컴퓨터와 디짓틸 상관법을 이용하녀 이상적인 아나로그 씨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고 그 결과를 이론치와 비교하여 디짓탈 데이타 처리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 방법을 실제로 복잡한 절삭중의 공작기계의 주파수응답 ㅕㄹ정에 적용하여 이때 야기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 절삭 조건하에서 얻어진 주파수응답 함수로부터 공작기계의 아버 및 시편의 길이, 절삭 속도, 절삭깊이, 피이드율에 따른 공작기계 구조동력학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TMCP강의 개발 및 적용

  • 김희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4 no.2
    • /
    • pp.1-11
    • /
    • 1986
  • 최근 개발된 구조용강을 대표하는 TMCP강재는 가속냉각법의 도입으로 그 적용범위가 과거 2-3 년 동안에 거의 모든 구조용 강재에 확산되었다. 이와 같은 확대 적용에는 생산비를 절감하려는 Steel Marker의 노력과 가속 냉각처리된 강재에 대한 fabricator 측의 긍정적인 반응이 크게 작 용했는데, 이는 이 강재가 같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및 용접성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fabricator 측은 가속냉각된 강재에 대해 익숙치 않으므로 가속냉각된 강재와 기존의 강재에 대 한 차이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사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강재 주문시 Steel Maker 측과 충분한 토의를 거친후 구매하는게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로 인하여서만이 fabricator측은 가속냉각된 강재의 우수성을 백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시 야기될 문제를 미연에 방 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