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앱 탐지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llegal apk file detectioning system architecture (불법 복제 앱 전송 탐지 시스템 구조)

  • Kim, Sungmin;Kim, Eunhoe;Choi,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506-509
    • /
    • 2012
  •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앱 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불법 앱 배포 및 사용으로 인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법 앱의 배포를 막고 저작권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써 네트워크에서 전송 중인 불법 앱을 탐지하고 신고하는 불법 앱 전송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HTTP와 FTP 같이 파일 전송에 많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패킷 스니핑, 분석, 조합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중인 앱 파일을 복원하며, 내부에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저작권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불법 앱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불법 복제 앱 전송 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수준에서 패킷 스니핑을 수행하여, 불법 앱엽 전송 탐지를 위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한다. 또한 스니핑한 패킷들을 효율적으로 조합하고 앱 파일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며, 중앙 신고 서버를 통한 탐지 결과 확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A Framework Development for Fake App Detection and Official App Information Sharing (가짜 앱 탐지 및 공식 앱 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개발)

  • Jinwook Kim;Yujeong No;Wontae Jung;Kyungrou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13-214
    • /
    • 2023
  • 스마트폰은 앱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며, 새로운 앱들이 계속해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서 불구하고, 사람들의 편리한 사용에 대한 욕구를 이용하여, 신종 앱 사기와 같은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악용하여 금전적으로 피해를 주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범죄로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앱으로 인한 범죄를 대응하기 위하여, 신종 앱 사기 범죄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종 앱 사기 범죄에 악용되는 가짜 앱을 탐지하고, 공식 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가짜 앱과 공식 앱에 대한 대량의 정보를 공유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한 사람들에게 가짜 앱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공식 기관의 앱을 확인하는 안전한 모바일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드로이드 모바일 악성앱 동적분석 회피기술 동향

  • Kim, Mijoo;Shin, Young Sang;Lee, Tae Jin;Youm, Heung Youl
    • Review of KIISC
    • /
    • v.25 no.6
    • /
    • pp.5-12
    • /
    • 2015
  •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인구 증가와 함께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가운데, 악성앱을 이용해 개인정보 유출, 불법 과금 유발, 스팸 발송 등 스마트폰 사용자에 피해를 입히며 사회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보안 위협의 출현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보안업체, 연구소, 학계 등에서는 스마트폰 악성앱을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앱 마켓에서는 악성앱을 탐지하기 위한 분석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악성앱 또한 기존의 탐지 및 대응 기술을 우회하는 등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점차 지능화 정교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이러한 특징은 앱 마켓 등에서 도입하고 있는 대량의 앱에 대한 자동화된 런타임 분석을 수행하는 동적분석 시스템/서비스를 대상으로 많이 발생되고 있는데, 동적분석의 환경적, 시간적 제약 등을 이용하여 분석기술을 회피하는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동적분석 기술을 우회하는 악성앱 분석회피 행위 유형을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A Study on Similarity Comparison for Detecting Theft of Android Application (안드로이드 앱 도용 탐지를 위한 유사도 비교 연구)

  • Park, Seik;Park, Heekwang;Choi, Sungha;Park, He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868-871
    • /
    • 2011
  •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는 모든 프로그램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고유한 특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앱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코드 도용 탐지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카테고리의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유사도 비교 실험을 하였다. 먼저, 같은 개발사에서 만든 유사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버스마크 유사도를 측정한 결과 유사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개발사에서 만든 유사한 카테고리의 프로그램을 비교하였고 비슷한 프로그램이라도 서로 다른 개발사에서 만든 앱이기 때문에 유사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개발사의 유사한 프로그램들 중에서 유사도가 높게 측정된 경우를 탐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사 앱들은 실제로 공통 클래스를 함께 포함하고 있었다.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버스마크가 안드로이드 앱 사이의 공통 클래스를 탐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안드로이드 앱에서의 코드 도용을 탐지하는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Study on DNN 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t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DNN 기반의 악성 앱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 Yu, Jinhyun;Seo, In Hyuk;Kim, Seungj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3
    • /
    • pp.159-168
    • /
    • 2017
  • Smartphone malware has increased because Smartphone users has increased and smartphones are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Since 2012, Android has been the most mobile operating system. Owing to the open nature of Android, countless malware are in Android markets that seriously threaten Android security. Most of Android malware detection program does not detect malware to which bypass techniques apply and also does not detect unknown malware. In this paper, we propose lightweight method for detection of Android malware using static analysis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experiments we crawl 7,000 apps from the Google Play Store and collect 6,120 malwares. The result show that proposed method can achieve 98.05% detection accuracy. Also, proposed method can detect about unknown malware families with good performance. On smartphones, the method requires 10 seconds for an analysis on average.

Proposal of a Learning Model for Mobile App Malicious Code Analysis (모바일 앱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학습모델 제안)

  • Bae, Se-jin;Choi, Young-ryul;Rhee, Jung-soo;Baik, Nam-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455-457
    • /
    • 2021
  • App is used o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also has malicious code, which can be divided into normal and maliciou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acking codes. Because there are many kind of malware, it is difficult to detect directly,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malicious app using AI.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are to detect malicious app by extracting features from malicious app. However, the number of types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making it impossible to detect malicious code.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two more methods besides detecting malicious app by extracting features from most existing malicious app. The first method is to learn normal app to extract normal's features, as opposed to the existing method of learning malicious app and find abnormalities (malicious app). The second one is an 'ensemble technique' that combines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first proposal. These two methods need to be studi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future mobile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Malicious Advertisement Injection on Android Application (안드로이드 광고 인젝션 앱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 Na, Yoon-Jong;Oh, Se-Ra;Kim, Young-Ga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242-245
    • /
    • 2018
  • 모바일 앱 환경에서의 광고는 앱 내부에 배너형, 팝업 형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띄우고,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고 수익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악의적 광고주 또는 공격자는 이러한 특징을 악용해 앱 내에서의 정당한 광고를 다른 광고로 바꾸거나, 사용자에게 의도되지 않는 광고를 노출하는 등의 광고 인젝션을 발생시킨다. 광고 인젝션은 광고주에겐 수익 저하, 서비스 제공자에겐 서비스의 품질 저하, 서비스 이용자에겐 불편함을 야기하는 등 문제가 된다. 모바일 앱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에 대한 연구 및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몇몇 진행되었으나,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 탐지를 위한 광고 인젝션 앱만의 특징 수집을 위해 광고 인젝션 앱, 특히 사용자가 많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lagiarism Detection Tool for Apps Created with the App-Inventor (앱 인벤터로 개발한 앱의 표절 탐지 도구 설계 및 구현)

  • Shin, Se-Hoon;Han, Dong-Jun;Han, Won-Keun;Park, He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3-356
    • /
    • 2017
  • 앱 인벤터는 GUI 환경에서 블록 편집기를 사용하여 앱을 개발한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앱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앱 인벤터의 공식 사이트의 gallery 공간에 공개된 수많은 공개 앱 소스(aia 파일)를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만든 앱의 소스를 그대로 가져다가 이미지만 바꿔서 자신이 만든 것처럼 앱을 공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직접 블록 단위로 비교해보지 않고서는 표절이나 도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앱 인벤터로 개발한 앱들의 유사도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원본 프로그램과 도용된 프로그램은 유사도가 높게 계산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도 계산 프로그램은 코드 도용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도구의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제로 유사도가 높았던 앱들이 서로 공통된 블록을 다수 포함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개발한 도구가 앱 인벤터로 개발한 앱에 대해서 소스 표절이나 코드 도용을 탐지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tection of Privacy Information Leakage for Android Applications by Analyzing API Inter-Dependency and the Shortest Distance (API간 상호 의존성 및 최단거리 분석을 통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개인정보 유출 탐지 기법)

  • Kim, Dorae;Park, Yongsu
    • Journal of KIISE
    • /
    • v.41 no.9
    • /
    • pp.707-714
    • /
    • 2014
  • In general, the benign apps transmit privacy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o provide service to users as the malicious app does. In other words, the behavior of benign apps is similar to the one of malicious apps. Thus, the benign app can be easily manipulated for malicious purposes. Therefore, the malicious apps as well as the benign apps should notify the users of the possibility of privacy information leakage before installation to prevent the potential malicious behavio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o detect leakage of privacy information on the android app by analyzing API inter-dependency and shortest distance. Also, we present LeakDroid which detects leakage of privacy information on Android with the above method. Unlike dynamic approaches, LeakDroid analyzes Android apps on market site. To verify the privacy information leakage detection of LeakDroid, we experimented the well-known 250 malicious apps and the 1700 benign apps collected from Android Third party market. Our evaluation result shows that LeakDroid reached detection rate of 96.4% in the malicious apps and detected 68 true privacy information leakages inside the 1700 benign apps.

An Illegally-copied App Detecting Method by Using Odex File i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odex 파일을 이용한 불법 복제 앱 탐지 방법)

  • Cho, Dueckyoun;Choi, Jaeyoung;Kim, Eunhoe;Gang, Gi-D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6 no.2
    • /
    • pp.67-75
    • /
    • 2015
  •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mobile environments, the usage and interest of the Android apps have been increased. But the usage of illegally-copied apps has been also increased. And the transparency and dependability of the app markets has been decreased. Therefore there are many cases for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app developers. Although several methods for preventing illegally-copied apps have been studied, there may exist possible ways to bypass the methods. Since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first distributors of the illegally-copied apps, it is not easy to punish them legally.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of detecting illegally-copied apps. The proposed detector can detect the illegally-copied apps using odex file, which is created when the app is installed. The detector can also find out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distributors based on forensic watermark technique. Since the illegally-copied app detector is running as a service on the system server, it is granted that the detector hides from the users. As an experiment result, the illegally-copied app detector takes on average within 0.2 seconds to detect and delete an illegally-copie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