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액체전구체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Synthesis of Tricyclopentadiene Using Ionic Liquid Catalysts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Tricyclopentadiene 합성에 관한 연구)

  • Kim, Su-Jung;Han, Jeongsik;Jeon, Jong-Ki;Yim, Jin-He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6 no.5
    • /
    • pp.593-597
    • /
    • 2015
  • Tricyclopentadiene (TCPD) as a next generation high density fuel was synthesized by Diels-Alder oligomerization reaction of DCPD. TCPD was prepared by ionic liquid (IL) catalysts with combination of cationic and anionic precursors. Two kinds of anionic precursors such as copper(I) chloride (CuCl) and iron(III) chloride ($FeCl_3$) and cationic precursors such as triethylamine hydrochloride (TEAC) and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BMIC) were used. The preparation of TCPD using IL catalyst was superior to that using Diels-Alder reaction in terms of DCPD conversion and TCPD yield. In addition, TCPD yield was correlated with Lewis acidity by changing the ratio of anionic and cationic precursors. The TCPD yield was higher when using CuCl as anionic precursor than that of using $FeCl_3$. Control of Lewis acidity by changing the molar ratio of anionic and cationic precursors could further improve TCPD yield as well.

Liquid precursor delivery system for ultra thin film preparation (극미세 절연체 박막 증착을 위한 액상전구체 공급장치 제작)

  • Ahn, Tae-Jun;Choi, Bum Ho;Yu, Yun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5-176
    • /
    • 2018
  • We have developed liquis precursotr delivery system (LDS) for ultra thin film preparation in semiconductor devices. The LDS concists of 3 major parts : aerosol generator, vaporizer and vapor storage. By uaing LDS which was attached to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 thin Al2O3 layer was prepared at extremely low temperature and characterized.

  • PDF

Synthesis of Tricyclopentadiene Using Ionic Liquid Supported Mesoporous Silica Catalysts (이온성 액체가 담지된 메조포로스 실리카 촉매를 이용한 Tricyclopentadiene 합성)

  • Kim, Su-Jung;Jeon, Jong-Ki;Han, Jeongsik;Yim, Jin-He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2
    • /
    • pp.190-194
    • /
    • 2016
  • Tricyclopentadiene (TCPD) is one of the important precursors for making tetrahydrotricyclopentadiene, which is well known as a next-generation fuel with high energy density. In this study, TCPD was obtained by polymerization reaction of dicyclopentadiene (DCPD) using an ionic liquid (IL) supported mesoporous silica catalysts. ILs were supported to two kinds of mesoporous silica catalysts with different pore sizes such as MCM-41 and SBA-15. Four different ILs were supported to mesoporous silicas using anionic precursors such as CuCl or $FeCl_3$ and cationic precursors such as triethylamine hydrochloride or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We proved that IL supported mesoporous silicas showed better catalytic performance than those of using non-supported prestine IL in the aspect of TCPD yield and DCPD conversion. Among four kinds of IL supported mesoporous silica catalysts, CuCl-based IL supported MCM-41 system showed the highest TCPD yield.

Polyamic acid 전구체 막의 PV 분리 특성

  • 최호상;박영태;이수각;곽순철;남석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30-31
    • /
    • 1995
  • 막분리 기술은 증류, 추출, 흡착 등의 종래의 분리기술에 비하여 상온, 상압에 가까운 마일드한 조건에서 조작된다는 점과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원의 물질을 부생시키지 않는 점 등으로 최근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응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PV에 대한 기술은 유기액체혼합물의 분리와 공비혼합물의 분리에 아주 유용한 기술로서 그 응용범위가 상당히 넓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imide 막을 PV 분리기술에 적용시킥 위하여 Polyamic acid 전구체를 casting하여 열처리 과정을 거쳐 Polyimide 막을 제막하여 제막공정에 따른 막의 구조 특성을 확인하고, acetic acid의 PV 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냉음극 변압기 플라즈마와 액체 소스를 이용한 p-SiO2 박막 증착

  • No, Gang-Hyeon;Park, Dong-Gyun;Song, Hyo-Seop;Park, Yong-Ho;Sin, Ju-Yong;Lee, J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129-129
    • /
    • 2011
  • 냉음극 변압기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저진공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장치를 이용하여 도핑된 산화막 증착 기술을 연구하였다. 이 때 도핑 전구체는 액체 소스였으며 이를 기화시켜 사용하였다. 특히 p 타입이 도핑된 이산화규소 박막 증착을 상온에서 실시하였다. 공정 압력은 400~1,000 mT였으며, 전압은 약 1,100~2,100 V 범위에서 조절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박막 두께와 홀 측정을 실시하였다. 홀 측정을 위한 인듐 금속 접합을 400 C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플라즈마 공정 압력이 400에서 1,000 mTorr로 증가함에 따라 박막 증착 속도는 약 240~440 ${\AA}$/min이었다. 또한 증착된 p-SiO2의 벌크 농도는 같은 압력 증가에 따라 약 $1.2{\times}10^{19}$에서 $6.5{\times}10^{18}/cm^3$으로 절반 정도 감소하였다. 그에 따라 도핑된 산화막의 비저항은 $~1.4{\times}10^{-3}$에서 $2.5{\times}10^{-3}{\Omega}{\cdot}cm$로 증가하였다. 홀 이동도는 약 380~400 $cm^2/V{\cdot}s$를 유지하였다. 또한 전압이 1,100 에서 2,100 V로 증가함에 따라 산화막의 증착 속도는 약 330에서 410 ${\AA}$/min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압이 증가해도 벌크 농도는 약 8,9~$6.6{\times}10^{18}/cm^3$의 범위였다. 보다 자세한 결과는 발표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 PDF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Y2O3 박막 형성 및 저항 스위칭 특성

  • Jeong, Yong-Chan;Seong, Se-Jong;Lee, Myeong-Wan;Park, In-Seong;An, Jin-Ho;Rao, Venkateswara P.;Dussarrat, Christian;Noh,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29.2-229.2
    • /
    • 2013
  • Yttrium oxide (Y2O3)는 band gap이 5.5 eV 정도로 상대적으로 넓고, 굴절상수가 1.8, 유전율이 10~15, Silicon 과의 격자 불일치가 작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녹는점이 높아 열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전자소자 및 광학소자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물질이다. Y2O3 박막은 다양한 방법으로 증착할 수 있는데, 그 방법에는 e-beam evaporation, laser ablation, sputtering, thermal oxidation,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등이 있다. ALD는 기판 표면에 흡착된 원자들의 자기 제한적 반응에 의하여 박막이 증착되기 때문에 박막 두께조절이 용이하고 step coverage와 uniformity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전에는 Y(thd)3 and Y(CH3Cp)3 와 같은 금속 전구체를 이용하여 ALD를 진행하여, 증착 속도가 낮고 defect이 많아 non-stoichiometric한 조성의 박막이 증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iPrCp)2Y(iPr-amd)와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Y2O3 박막을 증착하였다. Y2O3 박막 증착에 사용한 Y 전구체는 상온에서 액체이고 $192^{\circ}C$ 에서 1 Torr의 높은 증기압을 갖는다. Y2O3 박막 증착을 위하여 Y 전구체는 $150^{\circ}C$ 로 가열하여 N2 gas를 이용하여 bubbling 방식으로 공정 챔버 내로 공급하였다. Y2O3 박막의 ALD window는 $250{\sim}350^{\circ}C$ 였으며, Y 전구체의 공급시간이 5초에 다다르자 더 이상 증착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자기 제한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증착된 Y2O3 박막의 특성 분석을 위해 Atomic force microscopy (AFM)과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를 진행하였다. 박막의 Surface morphology 는 매끄럽고 uniform 하였으며, 특히 고체 금속 전구체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수산화물이 거의 없는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성 분석을 통해 증착된 Y2O3 박막이 stoichiometric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metal-insulator-metal (MIM) 구조 (Ru/Y2O3/Ru) 의 resistor 소자를 형성하여 저항 스위칭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f Effective sI Hydrate Inhibitor on Re-formation of Dissociated Gas (해리가스의 하이드레이트 재생성 억제에 적용할 효과적인 구조I 하이드레이트 억제제 연구)

  • Kang, Seong-Pil;Lee, Jonghyub;Kim, Kisub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24.2-124.2
    • /
    • 2011
  • 천연의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몇 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로는 감압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이용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개발생산 시에는 해리된 물과 가스가 동시에 생산유체로 발생하여 수송되며, 생성수에는 하이드레이트 전구체라고 알려진 미완의 하이드레이트 구조체가 남게 된다. 생산유체는 낮은 해수온도에 노출되어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쉽게 재생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정적인 가스 생산과 생산시설의 보호를 위해서는 적절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재성성 억제대책이 필요하다. Kinetic 억제제의 적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스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여해 보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sII인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에서의 억제효과와 비교하여 저하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sI과 sII는 메커니즘의 차이로 인해 억제제의 성능이 다르게 나타난다. sI인 메탄 하이드레이트에 대하여 kinetic 억제제의 효과를 살펴보았고 이온성액체를 적용한 효과적인 sI 하이드레이트 억제기법을 보고한다. 또한 기존의 sII 억제제와 혼합하여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Superflux Nickel Capillary Support with 3D Macropore Channel Network For Gas Separation and Liquid Filtration Membranes (기체/액체 분리막을 위한 3차원 Macropore 채널을 갖는 Superflux 니켈 모세관 지지체의 제조)

  • Song, Ju-Seob;Cho, Churl-Hee
    • Membrane Journal
    • /
    • v.28 no.3
    • /
    • pp.214-219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superflux nickel capillary supports for gas and vapor separation membranes were prepared by a combined process of NIPS and sintering. Nickel capillary precursors were prepared by NIPS process from PSf-Ni-DMAC-PEG400 dope solution and was sinter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H_2$ atmosphere to reliably produce Ni capillary support. The optimized Ni capillary support has an outer and inner diameters of 722 and $550{\mu}m$, and its thickness was $94{\mu}m$. It has 3-dimensional pore channel network and its porosity and mean pore diameter was 26% and $4{\mu}m$, respectively. Also, its mechanical strength was tested in tensile mode: its fracture load was 2.84 kgf and the fracture elongation was 13%. Finally, its single gas permeance was measured: He, $N_2$, $O_2$, and $CO_2$ permeance was 432,327, 281,119, 264,259, and 193,143 GPU, respectively. The superflux behavior could be explained from viscous flow through the ma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4{\mu}m$ and narrow thicknes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uperflux behavior of the Ni capillary support was from the 3-D pore channel network and the small thickness.

Detection of Zymogenic ChsC Activity in Vegetative Hyphae of Aspergillus nidulans. (Aspergillus nidulans 영양균사에서 효소전구체형 ChsC 활성의 검출)

  • 박범찬;박윤희;박희문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0 no.2
    • /
    • pp.178-182
    • /
    • 2004
  • In the vegetative hyphae of Aspergillus nidulans, a zymogenic form of the class I chitin synthase activity was successfully measured by the assay condition for Saccharomyces cerevisiae class I chitin synthase, Chsl. The class I chitin synthase activity of the A. nidulans chsC wild type strain was increased about six-fold by trypsin-pretreatment, but that of the chsC disruption strain revealed no increase. Interestingly enough, level of the class I chitin synthase activity of the chsC disruption strain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hsC wild type without trypsin-pre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 nidulans ChsC activity could be measured by account-ing the class I chitin synthase activity without the trypsin-pretreatment as an internal control. Consistence to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chsC revealed by northern blot analysis, the activity of ChsC was increased upon reaching the culture time for acquiring developmental competence. Our results shown here also supported the previous report suggesting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hsC in vegetative hyphal growth of A. nidulans.

Properties of Dielectric Constant and Bonding mode of Annealed SiOCH Thin Film (열처리한 SiOCH 박막의 결합모드와 유전상수 특성)

  • Kim, Jong-Wook;Hwang, Chang-Su;Park, Yong-Heon;Kim, H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3-44
    • /
    • 2008
  • PECVD 방식에 의거 low-k 유전상수를 갖는 층간 절연막 (ILD)를 제작하였다. 전구체 BTMSM 액체를 기화하여 16sccm 에서부터 1 sccm씩 증가하면서 25sccm 까지 p-Si[100] 기판위에 유량비를 조절하였으며 60 sccm으로 일정산소 $O_2$ 가스를 반응 챔버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구성성분은 FTIR의 흡수선으로 확인하였고, 알루미늄 전극을 구현한 MIS (Al/SiOCH/p-si(100)) 구조의 커패시터를 가지고 정전용량-전압 (C-V) 특성을 측정하여 유전상수를 계산하였다. BTMSM/$O_2$에 의한 층간절연막의 k ~ 2 근방의 저유전상수는 유량비에 민감하게 의존되고 열처리에 의하여 $CH_3$의 소멸 및 Si-O-Si(C) 성장하는 효과에 의하여 더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온 및 대기압에서 공기 중에 노출시켜 자연 산화과정을 겪은 시편들의 유전상수는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열처리한 박막이 상대적으로 안정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