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정모드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1매의 편광판으로 구성된 반사형 Fringe Field Switching Mode의 전기광학 특성

  • 박지혁;정태봉;김향율;고재완;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 분야
    • /
    • pp.136-140
    • /
    • 2002
  • 투과형 광 시야각 모드의 하나인 Fringe Field Switching (FFS) mode를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소자로 응용하여 전기 광학적 특성을 컴퓨터 시늉 하였다. FFS mode는 액정이 수평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구동하므로, 시야각에 따른 굴절률 변화 역시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반사형 FFS mode는 부가적인 위상필름을 쓰지 않고, 액정층과 편광판 1매 만으로도 일정한 수준의 반사형 디스플레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컴퓨터 시늉을 통해 1매 편광판과 액정층, 반사판으로 구성된 Normally Black모드의 셀 구조를 취하고, 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액정의 ${\Delta}n$을 변화시켜 특성을 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여, 입사광의 파장이 550nm일때 최적의 셀 위상차값으로 $d{\Delta}n$$0.1365{\mu}m$를 얻었다. 입사광원을 $0^{\circ}C$로 하고 편광판 투과율이 41%였을 때 정면 반사율은 on시 33.6%, off시 0.14%로 명암대비가 233:1이었다. 특히 시야각은 극각 $60^{\circ}C$이내의 전 방향에서 명암 대비비가 5이상의 특성을 보였다.

  • PDF

새로운 전극구조를 통한 수직배향 액정 셀의 투과특성 향상 (An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of the Patterned Vertical Aligned Liquid Crystal Cell for high transmittance)

  • 최용현;손정희;이기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24-172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액정 셀의 광투과율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전극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전극 구조의 액정 디렉터의 분포 및 광투과율 계산은 상용 시뮬레이터인 'TechWiz LCD'를 사용하였다. 광 시야각을 위한 전극구조에 의해 투과율 감소를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여 그 부분의 액정 디렉터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존 PVA모드와 제안한 구조를 사용한 PVA모드의 광투과율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제안한 PVA액정 셀의 광투과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Pseudo-TN IPS 모드 액정 셀에 대한 특성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Pseudo-TN IPS Mode LC Cell)

  • 윤형진;윤석인;윤상호;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8호
    • /
    • pp.59-6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IT(In-plane switching foisted nematic) 모드를 기반으로 광 투과 특성을 개선시킨 Pseudo-TN IPS(Pseudo-Twisted Nematic In-Plane Switching) 모드를 새롭게 제안하고 그 광 투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PTN-IPS 모드의 경우 개구율을 향상시켜 투과율 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의 IT 모드보다 약 25%정도의 높은 광 투과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압인가에 따른 광 투과율의 변화가 선형적이므로, 광 투과율 조절을 위한 액정의 제어가 IT 모드에 비해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IT 모드에 비해 수평방향 대비비는 약 8%정도 특성이 열화 되었으나 수직 방향에 있어서는 약 20%이상의 특성개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기존 IT 모드가 가지고 있는 샐 갭에 대한 특성 및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액정 셀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삼성의 LCD-SPVA 및 -PSVA모드 개발사(開發史)와 액정주입 ODF 공정

  • 유재진;신성태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22권4호
    • /
    • pp.34-44
    • /
    • 2021
  • 90년대 초 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연관된 반도체 산업과 함께 제2산업의 쌀로 불리며 정부와 관련업계의 높은 관심 속에 큰 성장을 이루었다. 삼성은 일본 기업에 비해 LCD 개발을 늦게 시작했지만 패널 대형화와 넓은 광시야각을 구현한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mode)를 실현하고, 여기에 더하여 측면 시인성 문제까지 해결한 공정이 단순하며 높은 대비비를 구현하는 SPVA (Super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및 PSVA (Polymer-Stabilized Vertical Alignment) 모드를 개발하였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액정 주입 방식인 ODF (One Drop Filling) 기술을 최초로 양산에 접목함으로써 LCD 산업에서 경쟁사들이 따라올 수 없는 훨씬 앞선 제1 주자가 되었다. 이 보고서는 삼성이 SPVA와 PSVA 모드를 역경 속에서 타사들과 어떻게 경쟁하며 발전시켜 왔는가에 대한 내용과 ODF 기술에 대해 삼성의 고유 자산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 대비비: 화면의 백색상태 (white state)와 암흑 상태 (black state)의 광비 (光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TN 모드 액정 셀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ell by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 정주식;윤상호;이철수;윤석인;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12호
    • /
    • pp.1071-107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액정 셀에서 전압에 따른 액정 거동을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는 방법과 그 적용 예를 보고한다. 액정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에 적용이 용이한, 3차원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액정 셀 내부의 전압 분포를 계산하였다. 액정 셀 내부에 대한 자유에너지 밀도를 고려하였으며, 에릭슨-레슬리(Ericksen-Leslie) 방정식과 라플라스(Laplace) 방정식을 해석함으로서 액정 셀의 스위칭 특성을 계산하였다. 액정 방향자 분포를 이용하여 액정 셀의 광투과 특성을 Berreman's 4$\times$4 방법으로 계산하였고, 문턱 전압과 응답 속도를 확인하였다.

TFT-LCD에서 공통전극 왜곡에 의해 유발된 녹색 편향 현상에 대한 연구 (The Circuit Simulation Study on Greenish Phenomenon in TFT-LCD Induced by Vcom Voltage Distortion)

  • 홍준의;김종태;채종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79-182
    • /
    • 2005
  • 현재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 특성에 따라 Positive LC 와 Negative LC로 구분되어 개발 된다. Positive LC에는 TN(Twisted Nematic)모드와 IP(In Plane Switching) 모드가 있다. Negative LC에는 VA(Vertical alignment) 모드가 있다. 데이타 전압을 교류구동 시키므로, LCD Pixel들은 극성반전을 하게 되며, 이때 특정 Pattern에서 화면상에 비정상적인 색깔이 나타난다. 특정 Pattern이란 데이타 전압이 교류구동을 할 때, Vcom Level이 데이타 전압에 의한 Coupling 때문에 왜곡이 발생되고, 이 왜곡에 의하여 레드, 그린, 블루 Pixel의 충전을 차가 발생해서, 화면의 좌우는 적색편향 하게 보이고, 중앙은 녹색편향 발생된다.

  • PDF

Super-PVA LCD Technology for Wide Viewing Angle Performance

  • 김상수;박진혁;김태성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6권4호
    • /
    • pp.11-21
    • /
    • 2005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LCD-TV에 사용되는 경우 시야각 특성과 동화상 성능은 보다 중요한 성능이 된다. 전반적인 LCD의 화질 특성은 시야각 특성과 동화상 응답 속도를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경쟁 기술보다 우세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LCD업계에서는 IPS, MVA, PVA 등 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광시야각 액정 Mode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LCD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측면 시인성 측면으로 열세에 있었다. 최근에는 LCD의 측면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더 이상 LCD-TV 응용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수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광시야각 액정모드 LCD의 측면 시인성 향상 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사항을 알아보고, 그 중 Super PVA 액정 기술의 기본원리와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