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액정모드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ap-Divided 방식의 VA 액정모드를 채용한 신규 반투과형 LTPS-LCD 개발

  • Gang, Seung-Gon;Kim, Seong-Ho;Song, Seok-Cheon;Park, Won-Sang;Lee, Cheong;Kim, Chi-U;Jeong, Gyu-Ha
    • Information Display
    • /
    • v.5 no.5
    • /
    • pp.10-12
    • /
    • 2004
  • 우수한 화질특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반투과형 액정모드를 개발했다. 단일 셀캡 구조에서 감마(Gamma) 보정없이 투과모드와 반사모드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해 유기막을 이용하여 반사모드 영역의 액정 Cap을 두 가지로 분리하는 새로운 설계구조를 도입했다. 반사모드 영역의 액정 Cap을 순수한 액정 $Cap(C_{LC})$과 유기막 $Cap(C_{OL})$으로 분리함으로써 액정에 걸리는 실제 전압을 조절하게 되어 단일 셀캡 구조에서도 감마 보정없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반투과형 VA 액정모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Cap-Divided 방식의 신규 VA 액정모드는 높은 콘트라스트, 광시야각 특성 및 공정 단순화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반투과형 LCD에 적극적인 채용이 기대되어진다.

Design of wide-band 3/4 $\lambda$ retarder (광대역 3/4 $\lambda$ 위상지연판의 설계)

  • 박원상;전철규;강진우;김도연;최덕운;이서헌;윤태훈;김재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2a
    • /
    • pp.268-269
    • /
    • 2001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저전력 휴대용 표시장치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밝기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mixed mode TN(MTN)과 reflective TR(RTN)과 같은 단일편광자를 이용한 액정모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모드는 이중편광자를 이용한 액정모드와 비교해서 dark 상태에서 누설광이 많이 발생하여 대비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Design and Fabrication of a Single-Polarizer Reflective VA Cell (단일편광판 반사형 VA LC 셀의 설계 및 제작)

  • 문성훈;이기동;윤태훈;김재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18-119
    • /
    • 2000
  •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기기의 표시장치인 액정표시장치를 보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전력소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backlight 를 주변 광원으로 대체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많이 연구되고있다. 최근에 연구되고있는 반사형 표시장치를 살펴보면 반사형 TN (Twisted Nematic) LC 모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콘트라스트비가 낮은 단점이 있다$^{[1]}$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반사형 VA (Vertical Aligned) LC 모드가 제시되어진다. VA LC 모드는 TN LC 모드와 반대로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물질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수직으로 배향시킨 모드로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는 액정 cell 이 복굴절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TN LC 모드와 정확히 역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초기상태에서 편광판 한 장과 광대역 λ/4 위상지연판을 사용하여 뛰어난 어두운 상태를 구현할 수가 있다. (중략)

  • PDF

Liquid Crystal Modes for Display Applications (디스플레이 응용을 위한 액정 모드)

  • Kim, Jung-Wook;Yoon, Tae-Hoo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4 no.4
    • /
    • pp.168-175
    • /
    • 2013
  •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 key component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liquid crystal display is the most widely used among information display devices. However, its performance still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survive in competition with other information display device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ntroduce our recent research activities on liquid crystal mode technology.

IPS (In-Plane Switching)/FFS (Fringe-Field Switching)/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광시야각 액정 모드 개발 역사 및 최근 개발 현황

  • Lee, Seung-Hui
    • Information Display
    • /
    • v.21 no.6
    • /
    • pp.46-56
    • /
    • 2020
  • 액정 모드 기술은 TFT-LCD의 화질, 공정, 비용을 결정짓는 핵심 기술로 당시 일본에 의해 새로운 개념의 광시야각 액정 모드들이 먼저 개발되었지만 한국의 엔지어들의 노력으로 순수 우리 기술을 개발해 상품화한 것은 돌이켜보면 대단한 일이었다고 본다. 당시 후발 주자인 국내 업계와 학연은 일본의 기술을 배우고 따라잡기 위해 일본어 공부를 하면서 일본어로 된 전문서적을 읽고 학회에서 일본 연구자들에 자존심을 버리고 끊임없는 질문으로 기술을 배웠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삼성의 연구자들은 당시 MTA보다 한 단계 향상된 PVA 모드를 개발해 세계 최초의 30인치 TV에 적용시켜 상용화했을 뿐만 아니라 엘지디스플레이의 연구자들은 IPS 기술을 발전시켜 대형 IPS TV의 세계시장을 주도하였다. 당시 제일 후발주자였던 하이디스 엔지니어들은 FFS란 액정 모드를 개발해 현재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TFT-LCD 업체가 이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을 양산하고 있고 향후에도 미니 LED 기술과 접목하여 고화질 LCD 기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 개발로 액정 기술 분야에서 한국 연구자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현재 신개념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한국이 리드를 하고 있다고 보는데 많은 후배 연구자들이 디스플레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을 응원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한 각 기술들에 대해 다른 전문가들과 이견이 있을 수도 있음을 명시하며, IPS와 PVA 기술을 직접 개발하지 않은 관계로 더 많은 내용을 세밀하게 기술하지 못한 점 송구하게 생각한다. 위 액정 기술들을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기술 20선에 선정해 주신 "한국 디스플레이 기술 20선 선정위원회"에 감사드립니다.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a Reflectiv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반사형 반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의 전기광학 특성)

  • 김성철;박원상;진현석;이기동;윤태훈;김재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12-113
    • /
    • 2000
  • 주변의 광원을 이용하는 단일 편광판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는 전력 소모의 70%이상을 차지하는 배면조명이 필요 없으므로 가볍고 얇으며, 소비전력이 적고, 큰 반사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단일 편광판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는 reflective TN(RTN)$^{(1)}$ 과 mixed-mode TN(MTN)$^{(2)}$ 과 같은 TN액정 모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TN액정 모드를 사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는 좁은 시야각과 느린 응답 특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reflective-optically compensated bend(R-OCB)$^{(3)}$ 및 reflective homeotropic TN mode$^{(4)}$ , 반사형 BTN$^{(5)}$ 등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중략)

  • PDF

Design of a Single-Polarizer Reflective TN LCD (단일 편광판을 이용한 반사형 TN LCD의 설계)

  • 김희정;이기동;윤태훈;김재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232-233
    • /
    • 2000
  •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저전력 휴대용 표시장치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TN 액정 모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광판을 한 장 사용하여 빛의 흡수를 줄여 밝기를 높일수 있고, 광대역 λ/4 film을 사용하여 명암 대비를 높일 수 있는 단일 편광판 모드 반사형 TN LCD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irector distribution of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cell by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IPS 모드의 액정 분자 거동 해석 연구)

  • Jeong, Ju-Sik;Yun, Sang-Ho;Lee, Cheol-Su;Won, Tae-Ye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4
    • /
    • pp.10-18
    • /
    • 2002
  • This paper reports a methodology for calculating distribution of the director in a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cell by a numerical technique. To calculate distribution of the director, we developed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FEM) and calculated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potential and electric field in the liquid crystal cell. We have considered the free-energy density composed of electric potential and strain energy in the bulk of liquid crystal cell and calculated the switching property of liquid crystal cell by the Ericksen-Leslie equation and the Laplace equation We generated 1,859 nodes and 8,640 elements for IPS mode cell with 24${\mu}{\textrm}{m}$$\times$12${\mu}{\textrm}{m}$$\times$4.5${\mu}{\textrm}{m}$ and performed transient analysis until 16ms. As a result, horizontal electric field occurred at cell region except liquid crystal region above electrodes and the disclination occured on electrodes.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Fringe-Field Switching Liquid Crystal Mode, Status of Applications, and Future Issues (Invited Paper) (Fringe-Field Switching (FFS) 액정 소자의 전기광학 특성, 응용 현황 및 향후 이슈)

  • Lim, Young Jin;Kim, Dae Hyung;Kim, Jin-Hyun;Kim, Yong Hae;Ahn, Seon Hong;Lee, Seung He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6
    • /
    • pp.301-310
    • /
    • 2014
  • Recently, the fringe-field switching (FFS) mode in liquid crystal displays has been used mainly for high image quality and high-resolution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In this review paper, the fundamental switching principle of the FFS mode, with its excellence over other LC modes in electro-optic performance,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history, present technical issues, and future of the FFS LCD will be discussed.

Fiber optic circular polarizing mirror using polymer cholesteric liquid crystal and it's application in the mode-locked fiber laser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 박막을 이용한 광섬유 원편광 거울 제작 및 이를 이용한 모드 록킹 된 광섬유 레이저)

  • 장도일;김경헌;김인선;김성태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2
    • /
    • pp.91-96
    • /
    • 2000
  • We propose a novel in-line fiber optic circular polarizing mirror utiliz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 polymer [11m for the fiber laser applications. Ions matrix representation of this device has been derived and venfied experimentally. In a Fabry-Perot cavity configuration, a CLC fiber optic rmrror has been used to achieve longitudinal mode suppression as well as to obtain passively mode~locked laser operations with 630 fs laser pulses via nonlinear polarization evoluhon.oluh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