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S (In-Plane Switching)/FFS (Fringe-Field Switching)/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광시야각 액정 모드 개발 역사 및 최근 개발 현황

  • 이승희 (전북대학과 나노융합공학과/고분자 나노공학과)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액정 모드 기술은 TFT-LCD의 화질, 공정, 비용을 결정짓는 핵심 기술로 당시 일본에 의해 새로운 개념의 광시야각 액정 모드들이 먼저 개발되었지만 한국의 엔지어들의 노력으로 순수 우리 기술을 개발해 상품화한 것은 돌이켜보면 대단한 일이었다고 본다. 당시 후발 주자인 국내 업계와 학연은 일본의 기술을 배우고 따라잡기 위해 일본어 공부를 하면서 일본어로 된 전문서적을 읽고 학회에서 일본 연구자들에 자존심을 버리고 끊임없는 질문으로 기술을 배웠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삼성의 연구자들은 당시 MTA보다 한 단계 향상된 PVA 모드를 개발해 세계 최초의 30인치 TV에 적용시켜 상용화했을 뿐만 아니라 엘지디스플레이의 연구자들은 IPS 기술을 발전시켜 대형 IPS TV의 세계시장을 주도하였다. 당시 제일 후발주자였던 하이디스 엔지니어들은 FFS란 액정 모드를 개발해 현재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TFT-LCD 업체가 이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을 양산하고 있고 향후에도 미니 LED 기술과 접목하여 고화질 LCD 기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 개발로 액정 기술 분야에서 한국 연구자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현재 신개념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한국이 리드를 하고 있다고 보는데 많은 후배 연구자들이 디스플레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을 응원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한 각 기술들에 대해 다른 전문가들과 이견이 있을 수도 있음을 명시하며, IPS와 PVA 기술을 직접 개발하지 않은 관계로 더 많은 내용을 세밀하게 기술하지 못한 점 송구하게 생각한다. 위 액정 기술들을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기술 20선에 선정해 주신 "한국 디스플레이 기술 20선 선정위원회"에 감사드립니다.

Keywords

References

  1. K. -H. Kim and J. -K. Song, NPG Asia Mat. 1, p. 29-36(2009). https://doi.org/10.1038/asiamat.2009.3
  2. M. Schadt and W. Helfrich, Appl. Phys. Lett. 118,p. 127-128 (1971).
  3. M. Oh-e, M. Ohta, S. Aratani and K. Kondo, Proceedings of 15th Int. Display Research Conf., p. 577-580 (1995).
  4. A. Takeda, S. Kataoka, T. Sasaki, H. Chida, H. Tsuda, K. Ohmuro, Y. Koike, T. Sasabayashi and K. Okamoto, SID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p. 1077-1080 (1998).
  5. S. L. Lee and S. H. Lee, Korean patent 2000-0250795 (Filed in 1996).
  6. S. H. Lee, S. L. Lee and H. Y. Kim, Appl. Phys. Lett. 73,p, 2881-2883 (1998). https://doi.org/10.1063/1.122617
  7. S. H. Lee, S. L. Lee and H. Y. Kim, Proceedings of 18th Int. Display Research Conf., p, 371-374 (1998).
  8. K. H. Kim, K. Lee, S. B. Park, J. K. Song, S. N. Kim and J. H. Souk, Proceedings of 18th. Int. Disphy Research Conf., p, 383-386 (1998),.
  9. H. Mori, J. Display Technol. 1, p. 179-186 (2005). https://doi.org/10.1109/JDT.2005.858935
  10. K. Hanaoka, Y. Nakanishi, Y. Inoue, S. Tanuma, Y. Koike, SID 04 DIGEST, p,1200-1204, (2004).
  11. K. Miyachi, 2014 21st International Workshop on Active-Matrix Flat Panel Displays and Devices, p,9-12, (2014).
  12. K. Kondo, 2005 SID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p, 978-981 (2005).
  13. R. A. Soref, Appl. Phys. Lett. 22, p, 165 (1973). https://doi.org/10.1063/1.1654597
  14. S. H. Lee, S. L. Lee, H. Y. Kim and T. Y. Eom, 1999 SID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p. 202-205 (1999).
  15. S. H. Lee, S. M. Lee, H. Y. Kim, J. M. Kim, S. H. Hong, Y. H. Jeong, C. H. Park, Y. J. Choi, J. Y. Lee, J. W. Koh and H. S. Park, 2001 SID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p. 484-487 (2001).
  16. S. H. Lee, H. Y. Kim, S. M. Lee, S. H. Hong, J. M. Kim, J. W. Koh, J. Y. Lee and H. S. Park, J. Soc. Inf. Disp, 10,p, 117-122 (2002). https://doi.org/10.1889/1.1827852
  17. J. D. Noh, H. Y. Kim, J. M. Kim, J. W. Koh, H. S. Park and S. H. Lee, Proceedings of 2nd Int. Display Manufacturing Conf., p. 447-450 (2002).
  18. D. H. Lim, H. Y. Lee, J. P. Kim, K. J. Lee, H. J. Yun, K. Y. Han and Y. H. Jeong, Proceedings of 13th Int. Display Workshop, p. 807-808 (2006).
  19. K. Ono and H. Matsukaw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p.24-2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