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정구조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1초

초분자 액정 자기조립체 (Self-Assembly of Supramolecular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 이수림;윤동기;정대환;정희태
    • 한국고분자학회지:고분자과학과기술
    • /
    • 제15권3호
    • /
    • pp.296-302
    • /
    • 2004
  • 최근 분자들의 자기조립 현상을 나노-바이오 소자 개발에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응용을 위한 대표적인 자기조립체로는 양친성 계면활성제, 블록공증합체, 콜로이드와 초분자체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콜로이드가 구형 모양으로 vander Waals interaction에 의하여 3-D결정 (crystal) 형태의 자기조립구조를 형성하는 반면에, 콜로이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기조립체는 적정 조건에서 액정 (liquid crystals), 결정 (crystal) 및 무정형 (amorphous)을 형성한다. 적용하고자 하는 응용의 범위와 재료의 특성에 따라서 각 상태 (phase)를 이용할 수 있으나, 액정상을 이용하는 것과 결정상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략)

  • PDF

Active matrix LCD기술

  • 장진
    • 전기의세계
    • /
    • 제38권10호
    • /
    • pp.4-12
    • /
    • 1989
  • 최근에는 전자 장치가 소형화, 경량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와 인간의 접속 방법으로 표시기(display)가 사용된다. 표시 기술은 표1에 나타난 것처럼 CRT, PDP, LCD, ECD, 기타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중에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낮은 전력 소모, 낮은 구동 전압, 소형, 경량, gray scale 기능, 저가격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액정 지시기는 외부 전장에 의한 분자의 배열이 이루어져, 빛을 선별 투과 혹은 반사시켜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 전달 기능을 갖는다. LCD는 시계, 전자계산기, TV, 컴퓨터 단말기 등에 이용된다. LCD에 사용되는 액정은 구조적 특성에 따라서 semetic, cholestic, nematic액적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nematic액정이 분자 재배열에 필요한 반응 시간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 PDF

열방성 액정 폴리에스터를 함유한 PET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Fheological Properties of PET Containing Thermotropic Polyester)

  • 김윤수
    • 유변학
    • /
    • 제3권1호
    • /
    • pp.68-75
    • /
    • 1991
  •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액정중합체(LCP)인 열방성 폴리에스터를 첨가하여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전단속도와 혼합비에 따른 LCP domain의 형태 변화를 고찰하였다. 모체고분자 내 구형과 타원형을 이루는 LCP domain들 은 신장력에 의해 피브릴 구조의 변형되고 이 피브릴은 흐름방향으로 배향되어 용융체에 윤 활제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용융점도의 감소를 보이는데 특히 높은 전단속도 영역에서 LCP가 30wt%까지 첨가될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주사식 현미경(SEM)의 관찰로부터 LCP domain의 피브릴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LCP domain의 형태 변화가 용융점도 가 감소에 직접 관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측면에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비대칭 이메소젠 액정화합물의 합성 및 성질 (Synthesis and Properties of Unsymmetric Dimesogenic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Lateral Substituent)

  • 박종률;조국영;방문수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280-286
    • /
    • 2015
  • 유연격자로서 분자 중앙에 부틸렌 또는 펜타메틸렌기를 갖는 두 시리즈의 비대칭 이메소젠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의 열적성질 및 액정성을 연구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메소젠기는 콜레스테릴기와 곁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아조벤젠기로 되어 있으며, 이들 액정화합물의 화학구조와 액정성은 FT-IR, $^1H$-NMR, 시차주사열량분석기(DSC), 편광현미경(POM)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화합물 $D5-OCH_3$를 제외한, 합성된 모든 화합물들은 양방성 액정성을 나타내었고, 유연격자의 탄소수가 짝수인 경우 넓은 액정상 온도구간과 높은 등방성 전이온도를 나타내었다. 곁 치환기가 액정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부피가 큰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좁은 액정상 온도구간과 낮은 등방성 전이온도를 나타내었으며, 극성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스멕틱 액정상의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IPS 모드의 액정 분자 거동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director distribution of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cell by finite element method)

  • 정주식;윤상호;이철수;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4호
    • /
    • pp.10-1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PS모드의 액정 셀에서 전압에 따른 액정 거동을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보고한다. 액정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에 적용이 용이한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여 액정 셀 내부의 전압 분포와 전계 분포를 계산하였다. 전기 에너지와 액정 분자의 탄성 에너지로 이루어지는 액정 셀 내부의 자유에너지 밀도를 고려하였으며, 에릭슨-레슬리(Ericksen-Leslie) 방정식과 라플라스(Laplace) 방정식을 해석함으로서 액정 셀의 스위칭 특성을 계산하였다. 24㎛×12㎛×4.5㎛ 사이즈의 IPS 모드 액정 셀에 대하여 1,859개의 노드와 8,640개의 사면체 요소를 생성하여 16ms까지 과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전극 위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횡방향의 전계가 형성되었고, 전극 위 영역에서 전경선(disclination)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매의 편광판으로 구성된 반사형 Fringe Field Switching Mode의 전기광학 특성

  • 박지혁;정태봉;김향율;고재완;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 분야
    • /
    • pp.136-140
    • /
    • 2002
  • 투과형 광 시야각 모드의 하나인 Fringe Field Switching (FFS) mode를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소자로 응용하여 전기 광학적 특성을 컴퓨터 시늉 하였다. FFS mode는 액정이 수평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구동하므로, 시야각에 따른 굴절률 변화 역시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반사형 FFS mode는 부가적인 위상필름을 쓰지 않고, 액정층과 편광판 1매 만으로도 일정한 수준의 반사형 디스플레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컴퓨터 시늉을 통해 1매 편광판과 액정층, 반사판으로 구성된 Normally Black모드의 셀 구조를 취하고, 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액정의 ${\Delta}n$을 변화시켜 특성을 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여, 입사광의 파장이 550nm일때 최적의 셀 위상차값으로 $d{\Delta}n$$0.1365{\mu}m$를 얻었다. 입사광원을 $0^{\circ}C$로 하고 편광판 투과율이 41%였을 때 정면 반사율은 on시 33.6%, off시 0.14%로 명암대비가 233:1이었다. 특히 시야각은 극각 $60^{\circ}C$이내의 전 방향에서 명암 대비비가 5이상의 특성을 보였다.

  • PDF

AFLC 셀을 이용한 반사형 LCD의 설계 및 제작 (Optical configurtion and fabriation for a reflective display using an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cell)

  • 김성철;박원상;이서헌;황용석;이기동;윤태훈;김재창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5-239
    • /
    • 2001
  • 본논문에서는 반강유전성 액정의 in-plane tilt 각이 약 $22.5^{\circ}C$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이용하여 액정의 위상지연을 $\lambda/2$로 설계한 광대역 $\lambda/4$필름을 사용한 단일 편광판 모드 반사형 LCD의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구조의 여러 가지 광특석을 전사모사 해보았다. 실제 실험에서는 in-plane tilt 각이 $\24.9\lambda$인 Chisso상의 CS-4001 반강유전성 액정을 사용하여 액정 셀의 위상지연을 $\lambda/2$로 설계하여 각도에 따른 반사특성과 파장에 따른 분광특성을 측정하였다.

  • PDF

화장품 산업의 액정기술과 피부보습효과 (Liquid Crystalline Technology of Cosmetic Indust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Skin)

  • 김인영;조춘구;유희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9-294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액정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액정이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액정이라 한다. 계면활성제의 높은 농도에서 여러 가지 액정 상이 형성된다. 결정과 같이 분자배열이 규칙적이지는 않지만, 액체 상보다는 비교적 규칙적인 상태를 액정 또는 메조페이스(meso-phase)라고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의 액정기술의 종류, 새로운 액정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액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도 자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액정을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유화제의 종류에 대하여도 소개하였다 액정을 형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원료는 수소첨가 레시친, 세라마이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 DEA-세틸포스페이트, 제미니형 계면활성제가 있다. 액정의 형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잘 나타나는 범위는 400배, 600배, 1,000배에서 잘 나타났다. 또한 액정이 가장 잘 만들어지는 droplet 입자크기는 1-10$\mu\textrm{m}$이었다. 임상 결과로서, 비타민 B$_{5}$의 액정에 대하여 피부 보습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 에멀젼보다 우수한 결과(20% 이상)를 보였다(ANOMA t-test, p '||'&'||'lt; 0.05).

표면 프리틸트 제어를 통한 새로운 광시야각 수직 배향 LCD 기술 소개

  • 김성민;이승희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10권1호
    • /
    • pp.15-21
    • /
    • 2009
  • 다중 도메인 수직배향 LCD는 러빙 공정을 필요치 않는 다는 장점에서 출발해 현재 액정 TV 시장에서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화 되고 있는 제품들이 투과율, 응답속도, 명암대비율 등 성능부분의 개선이 필요하고 공정 측면에서 돌기를 사용하거나 상판 패턴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공정을 제거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수직배향 LCD가 최근 대두되고 있다. 기 발표된 기술들을 정리해 보면 신기술에서는 액정에 UV curing이 가능한 모노머를 소량 도핑 한 후 적절한 셀 구조를 형성해 전압 인가시 중간에 액정 배열에 충돌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 안정한 배열을 갖게 만든 다음 UV조사를 통해 양 기판 표면에 모노머가 고분자화되면서 액정 배향 방향과 프리틸트각을 갖게 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신개념의 수직배향 LCD는 종래 LCD에 비해 전기광학 특성이 우수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져 향후 수직배향 LCD의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수직배향 기술은 해마다 새로운 진화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진화를 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

고방열 복합소재 개발을 위한 고열전도성 액정성 에폭시 수지의 개발 (Development of Highly Thermal Conductive Liquid Crystalline Epoxy Resins for High Thermal Dissipation Composites)

  • 김영수;정진;여현욱;유남호;장세규;안석훈;이승희;고문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1-6
    • /
    • 2017
  • 에폭시 수지는 3차원 네트웍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이다. 최근 에폭시 수지의 네트웍 구조를 제어하여 새로운 기능성 에폭시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액정성 에폭시를 대표로 하는 새로운 개질 에폭시는 랜덤한 형태의 네트웍 구조를 배향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기존의 에폭시로부터 얻을 수 없는 새로운 기능성 발현에 성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액정성 에폭시 수지의 합성과 고방열성 복합재료로의 응용에 관하여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