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액정구조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9초

꼬인 네마틱 액정 셀의 Normally Black 모드 광학설계 (An Optical Configuration for the Normally Black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ell)

  • 김기한;백종인;김재창;윤태훈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90^{\circ}$ 꼬인 네마틱 액정 셀에 전계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 어두운 상태를 나타내는 normally black 모드 구현 시, 높은 명암비를 제공하는 광학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에서 +A 필름과 ${\lambda}/2$ 필름을 각각 1 장씩 사용하여 $90^{\circ}$ 꼬인 액정층을 통과한 빛의 가시광 파장대에서 편광 상태가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어두운 상태의 분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SD(Parameter Space Diagram)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조건을 구해 계산한 결과 500: 1 이상의 높은 명암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어두운 상태뿐만 아니라 밝은 상태의 분광특성도 향상됨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양이온 개시제를 이용한 열경화성 액정 에폭시의 열분해 활성화에너지 (Thermal Decomposition Activation Energy of Liquid Crystalline Epoxy using Cationic Initiator)

  • 정예지;현하늘;조승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80-185
    • /
    • 2021
  • 기존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해 액정 에폭시를 경화할 경우, 랜덤 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생성으로 인해 phonon의 산란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전도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mesogen그룹을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는 양이온 개시제를 이용하여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민계 경화제와 양이온 개시제를 사용한 에폭시의 TGA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을 통해 등온 열분해 활성화에너지를 조사하여 열적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양이온 개시제를 이용한 에폭시의 경우 활성화가 에너지가 높았으며 기존 실험과 비교했을 때, 열적안정성은 열전도도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액정 후보 물질로서 C16H16O3의 분자구조 및 전하이동성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Theoretical investigation for the molecular structure and Charge transport property analysis of C16H16O3 as a candidate of liquid-crystal)

  • 박혜민;김승준
    • 분석과학
    • /
    • 제20권1호
    • /
    • pp.61-69
    • /
    • 2007
  • $C_{16}H_{16}O_3$의 중성분자, 음이온, 그리고 양이온에 대하여 양자역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자구조, 진동주파수 그리고 HOMO-LUMO 차이와 재편성에너지(reorganization energy)를 통한 전하이동성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자구조는 $B3LYP/6-311G^{**}$ 수준까지 최적화 하여 안정한 구조를 찾았다. 또한 진동주파수를 계산하여 안정한 상태의 분자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액정의 전하이동성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HOMO-LUMO 에너지 차이와 재편성에너지를 계산하였다. $C_{16}H_{16}O_3$의 HOMO-LUMO 에너지 차이는 중성분자의 경우 4.45 eV, 음이온과 양이온에 대해서는 각각 1.46 eV, 1.53 eV로 계산되었고, 재편성에너지는 음이온의 경우 0.59 eV, 그리고 양이온의 경우 0.43 eV로 계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