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축 강도

검색결과 5,193건 처리시간 0.042초

하이브리드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거동 (Compressive Behavior of Hybrid Steel Fiber Reinforced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 임우영;홍성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13-22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초고성능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UHPC)의 압축거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를 제안하였다. 지름 100 mm, 높이 200 mm의 원주형 공시체에는 0, 0.5, 1.0, 1.5, 그리고 2%의 강섬유가 혼입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UHPC는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16 mm와 19 mm의 강섬유가 일정비율로 혼입된 하이브리드 강섬유가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UHPC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강섬유 혼입률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가 제안되었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무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함수로 제안되었으며, 탄성계수는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함수로 제안하였다. 기존 실험값과 비교한 결과 제안된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실험값을 비교적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가 35~235 MPa인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에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숏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 압축강도시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eld Testing Methods of Compressive Strength for Shotcrete Quality Control)

  • 장석부;홍의준;문상조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5-186
    • /
    • 2005
  • 터널공사에서 숏크리트는 가장 중요한 지보재 이므로 시공중 품질관리를 위한 압축강도시험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 타설 숏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실험실조건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갖고 있어 현장강도 시험은 필수적이나, 적절한 시험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시험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적절한 샘플채취와 초기강도 측정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기압식 핀관입시험법을 고찰하였으며, 압축강도시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계획으로써, 현장강도시험기법으로 선정된 공기압식 핀관입시험기의 적정성 평가와 숏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의 적용성 분석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

안산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압축강도 추정 (Standardization of Estimation Functi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with Non-Destructive Test Using Andesite Aggregates)

  • 정란;노윤기;박현수;노영숙;민경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02
  • 구조물 안전진단 등의 분야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추정을 위한 비파괴시험법이 많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코어를 채취하지 않고 기존의 압축강도 추정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이용되는 압축강도 추정식은 외국에서 이미 제안된 식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강도 추정식의 적용은 동일 한 비파괴 시험값에 대하여 추정 압축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왜냐하면 외국의 사용재료나 기후 등이 우리나라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실정에 적합한 전국적인 추정식 제안을 목적으로 진행된 종합적인 연구 중 특히, 전라권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안산암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강도 범위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현저한 영향을 주는 배합사항, 양생조건 및 재령에 따른 반발도법, 초음파 전파속도법 및 복합법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파괴시험의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라 국내의 안산암 골재를 사용한 비파괴 시험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반발 강도법 (equation omitted) $_Sf_c=12.3_SR_o-94.66$ <표준양생> $_Af_c=15.5_AR_o-241.5$ <기중양생> 2)초음파 속도법 $_Sf_c=359.1_SV_p-1226.7$ <표준양생> $_Af_c=369.4_AV_p-l237.8$ <기중양생>

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한 강원도 지역 화강암의 일축압축강도 산정 (Calculating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Granite from Gangwon Province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 이문세;김만일;백종남;한봉구
    • 지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61-367
    • /
    • 2011
  • 일축압축강도는 깎기비탈면이나 지하구조물 등의 설계 및 시공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나 실무에서는 일축압축강도를 시험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축압축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험방법이 간단하며 시료성형 시간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점재하강도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인 방법의 하나인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일축압축강도를 산정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 프로그램의 상관분석을 통해 일축압축강도와 밀접한 인자를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인자들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분석으로 공식화하였다. 추가로 모델과 실제 일축압축강도시험으로 구한 결과값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안된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점재하강도 시험시 얻어지는 인자들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축압축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점재하강도 및 시료의 형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에 의해 산정된 일축압축강도는 일축압축강도시험으로 구한 일축압축강도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일축압축강도 산정모델은 연구지역과 같은 화강암질 암반 조건에서 일축압축강도의 산정을 위한 예측모델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장용 콘크리트의 강도 및 탄성계수 상관관계식 (Strength and Modulus Relationship of Concrete for Rigid Pavement)

  • 양성철;박종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05-21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포장용 콘크리트의 강도실험을 통해 강도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강도로서 재령별 압축강도, 휨강도, 할렬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배합변수는 조골재(화강암, 석회암, 사암), 세골재(자연사, 세척사, 부순모래) 및 단위시멘트량(315-375kg)을 변수로 하였다. 전체적으로 골재나 단위시멘트량보다는 재령에 의해 전형적인 강도곡선을 따라 뚜렷하게 변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강도결과를 바탕으로 휨강도와 압축강도, 할렬인장강도와 압축강도, 탄성계수와 압축강도, 할렬인장강도와 휨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휨강도와 압축강도, 탄성계수와 압축강도는 기존의 관례대로 제곱근(n=0.5)의 상관관계식이 잘 맞음을 알 수 있었다. 할렬인장강도와 휨강도는 선형의 상관관계식으로 표현하였고, 할렬인장강도와 압축강도는 n=0.87의 지수승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법과 공시체 내 철근이 압축강도 측정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Specimens and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s)

  • 이원홍;최상기;이승열;안진희;강범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33-40
    • /
    • 202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검토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법에는 파괴방법과 비파괴방법이 있다. 파괴방법은 일축압축파괴방법이 있으며, 비파괴방법에는 반발경도법과 탄성파 측정법이 있다. 본 연구에는 측정법의 종류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영향에 따른 콘크리트의의 압축강도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시체의 종류와 상관없이 3가지 실험 방법 중 탄성파 측정법에 의한 평균 압축강도가 다른 방법에 의한 평균 압축강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공시체 종류가 같을 경우 탄성파 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들에 비해 측정값들의 표준편차가 작게 나타났으므로 탄성파 측정법이 다른 두 측정법에 비해 측정값의 변동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각 공시체별 실험 방법에 따른 평균압축강도를 압축파괴 실험법의 평균압축 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탄성파 측정법, 압축파괴실험, 반발경도법 순으로 평균압축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방법과 콘크리트 내부 철근 유무에 따라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값이 상이하므로 추후 피복두께의 영향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진동피로에 의한 골판지 상자의 압축강도 저하율 (Decreasing Rate of Compression Strength for the Corrugated Fiberboard Container by Vibration Fatigue)

  • 김만수;정현모;박종민;박정길;김수일;박인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52
    • /
    • 2003
  • 농산물 포장화물의 경우 농산물의 손상은 겉포장 상자의 파손에 의한 압상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농산물 상자의 경우 압축강도를 특히 중요시 여기고 있으며, 한국산업규격을 비롯해 각종 농산물 관련 규정에서는 압축강도에 의한 상자의 품질관리를 규정화 하고 있다. 골판지 상자의 압축강도는 원단인 골판지의 구성 원지들(라이너, 골심지)의 품질과 이들의 구성 형태 및 상자의 외형 치수 비율에 따라 결정되므로, 원지의 링크라쉬(ring crush), 원단의 수직압축강도(edgewise compression strength)를 통해 상자의 압출강도를 관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골판지 상자는 제작 후 유통 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요인에 의해 압축강도가 현격하게 저하되는데, 이중 수분 흡습에 의한 강도저하와 장기 누적하중, 진동 및 충격 등의 피로로 인한 강도 저하가 가장 크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 골판지 상자의 견고성 문제는 물품의 내수 및 수출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특히, 세계 각 국의 농산물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우리나라 농산물의 수출도 확대될 전망이고 또한 마땅한 대체재가 개발되지 않는 한 골판지 상자의 이용은 날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골판지 상자의 압축강도와 내구성 향상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절실하다. (중략)

  • PDF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에 대한 강섬유 보강 효과 (The Effect of Steel-Fiber Reinforcemen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UHPCC))

  • 강수태;박정준;류금성;김성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0-1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UHPCC)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강섬유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일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의 경향과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압축강도에 대해 UHPCC에서의 섬유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일반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처럼 섬유보강에 따른 압축강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는 압축강도 100MPa 이하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들과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범위의 압축강도에 대해 압축강도에 관계없이 $f'_{cf}-f'_c$와 RI 이 일정한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UHPCC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압축강도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포괄적 섬유보강효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도시철도 지하구조물 압축강도와 반발경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Rebound Hardness of Urban Underground Structures)

  • 최정열;이수재;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655-6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지하구조물을 대상으로 동일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코어채취 압축강도와 비파괴시험 반발경도를 측정하여 반발경도 범위별 추정식을 도출하고 반발경도 구간별 실측 콘크리트 코어강도와의 비교를 통해 범위에 따른 추정 압축강도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가우시안 확률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반발경도 범위별 평균 압축강도의 선형회귀분석 결과(대표 압축강도 추정식)와 반발경도 범위별 추정식은 실측 콘크리트 코어압축강도 실험결과와 약 3% 이내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반발경도 범위별 압축강도 추정결과는 추정 압축강도의 오차를 줄이고 높은 신뢰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반발경도 측정결과를 이용한 확률적 통계분석결과는 추정식에 따라 상대적으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반발경도와 콘크리트 압축강도간의 상관관계의 신뢰수준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