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축이음

Search Result 15,431,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based CNN model for artifact reduction on HEVC-encoded video (HEVC 비디오 영상 압축 왜곡 제거를 위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적용 기법)

  • Jeon, Jin;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92-19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 압축 왜곡 제거를 위해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적용한 컨벌루션 뉴럴 네트워크 (CNN) 모델을 제안한다. GAN 모델의 생성 모델 (Generator)은 노이즈가 아닌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로 압축된 영상을 입력 받은 뒤, 압축 왜곡이 제거된 영상을 출력하며, 분류 모델 (Discriminator)은 원본 영상과 압축된 영상을 입력 받은 뒤, 원본 영상과 압축 왜곡이 포함된 압축된 영상을 분류한다. 분류 모델은 5 개 층을 쌓은 컨벌루션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사용하였고, 생성 모델은 5 개 층을 쌓은 SRCNN 구조와 VDSR 구조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디오 영상 압축 왜곡 제거 실험을 위해 원본 비디오 영상을 HEVC 을 이용하여 2Mbps, 4Mbps 로 압축된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압축된 영상 대비 왜곡이 제거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표준 영상 압축기법을 이용한 원격측정에 관한 연구

  • 김상철;왕지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290-300
    • /
    • 1995
  • 본 연구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표준 영상압축 방법을 이용한 원격측정 (remote measuring) 시스템을 다룬다. 많은 디지탈 비디오(digital video)이 응용중에서 주요 어려움은 디지탈 영상(digital image)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의 처리문제이다. 그리고 디지탈 영상의 직접적인 사용은 고수준 기억용량(high storage)과 전송비용(transmission costs)으로 인하여 응용상 여러가지 제약조건이 수반되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여러가지 영상압축 기법이 개발되어왔으며 본 연구는 정지영상(still pictures)에 대하여 JPEG 표준을 사용한 영상압축과 압축된 영상을 사용하여 실제 제조업의 공정검사에 응용하는 것이다. 수행도 평가척도로서 원래영상과 압축된 영상과의 압축비, 원래영상과 압축된 영상과의 픽셀(pixel)의 회색도 값(gray-level value)의 평균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 그리고 원래영상과 압축된 영상을 원거리(또는 근거리)로 전송하여 전송된 압축영상을 푼 후 두 지점간의 거리 측정에 따르는 실제거리와 측정거리에 대한 오차를 이용하였다.

  • PDF

Stereo Image Compression using Wavelet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스테레오 이미지 압축)

  • 최정구;강민숙;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149-152
    • /
    • 1998
  •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영상처리 및 압축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정지 압축 영상 표준인 JPEG과 동영상 압축 표준인 MPEG에서는 통계적 특성에 기반한 DCT 방법을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 및 압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DCT 방법과는 달리 속도와 압축률이 뛰어나며 블록화 현상(Blocking Effect)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웨이브렛 자체가 함수이고 이러한 함수에 다른 스케일과 해상도를 적용하는것이므로,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더라도 이미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복원할 수 있다. 스테레오 이미지는 사람의 시각에서 물체를 보는 것처럼, 카메라에서 같은 장면을 약간의 차이를 두어 찍은 것이다. 따라서 오른쪽과 왼쪽의 두 이미지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 두 이미지 사이에서 공통 부분이 많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두 이미지의 공통 부분을 찾아 내고, 이를 이용하여 압축을 할 수 있다면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이미지에서의 공통 부분을 찾고 영상을 효율 岵막\ulcorner 압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A High-Speed Fractal Coding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mall Atomic Block (극소원자블록 특성을 이용한 고속 프랙탈 영상압축)

  • Wee, Young-Cheu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1
    • /
    • pp.1-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프랙탈 영상압축에서 화질/압축률을 향상 시키면서 압축시간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레인지블록의 크기가 아주 작으면 유사변환 계수들의 값을 극히 제한하더라도 유사한 도메인블록을 아주 가까운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음을 활용하여 압축시간을 단축시키고 화질/압축률을 향상 시킨다. 또한, 본 방법은 인접한 레인지블록 들의 압축에 사용되는 계수들이 좋은 상호관계를 가지도록 유도하여 화질/압축률을 더욱 향상 시킨다. 본 방법은 대부분의 프랙탈 영상압축 방법에 쉽게 적용되어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압축시간이 전역탐색 방법에 비해서 $512{\times}512$ 영상에서 약 60000 배 $256{\times}256$ 영상에서 약 15000 배 빠르며 실시간 동영상의 I-frame에도 사용가능 하다.

  • PDF

Image Compression Using Wavelet (웨이블릿을 적용한 영상 다중 압축)

  • Cho, Myeong-Jin;Kim,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570-2572
    • /
    • 2003
  • 본 논문은 웨이블릿을 적용하여 영상의 다중 압축에 대하여 논한다. 정보 전송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전송 속도이고, 이 전송 속도는 데이터의 용량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고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는 많은 불이익이 따르게 되므로 데이터 압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압축률은 데이터의 손실에 비례하므로 높은 압축률을 사용할 경우 많은 데이터를 손실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에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중 압축함으로서 압축률을 높이고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영상데이터에 웨이블릿을 적용하여 다중 압축을 함으로서 같은 압축률에서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일반적인 1단계 변환 압축 방법보다 줄이게 되었음을 보였다.

  • PDF

Bytecode Compression Method for Embedded Java System (내장형 자바를 위한 클래스 파일의 바이트 코드 압축)

  • 이영민;맹혜선;강두진;김신덕;한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4-42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추후 여러 내장형 기기들을 대체하게 될 내장형 자바가상머신에서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바이트코드 압축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압축 방법은 기본 코드 블록을 내장형 자바가상머신에서 사용하지 않는 명령어군과 한 바이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사전을 구축하고,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반복되는 기본 코드 블록들을 이 두 바이트로 대체함으로써 압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압축하는데 있어서 압축효율 뿐만 아니라 바이트 코드의 수행 속도도 고려하여야 하므로 압축으로 인한 수행 오버헤드를 최소화하여 수행시간에 영향을 적게 주도록 압축 방법을 단순화하여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압축 방법을 사용하여 실제 사용되는 자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들을 압축함으로써 메모리에 적재되는 바이트 코드를 최대 36%까지 줄이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Baldness on the Compression-Rebounding Properties of Shoe Midsole (발포체의 경도가 신발 중창의 압축-반발 특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Cho-Cheo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9 no.3
    • /
    • pp.186-192
    • /
    • 2004
  • Compression and rebounding properties of IP(injection phylon), PH(phylon) and PU(polyurethane) foams were studied. The compression stress, rebounding stress, loss compression energy and storage compression energy of foam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hardness of foams. The compression stress, loss compression energy of IP foams were lower than those of PH and PU. Rebounding stress and storage compression energy of PU foams were higher than those of IP and PH. The compression stress and rebounding of PH foam were lower than those of IP and PU.

Design of Compressed Memory Architecture for High Performance Computing (고성능 컴퓨터를 위한 압축 메모리 구조 설계)

  • Lee, Jang-Su;Hong, Won-Gi;Kim, Sin-Deok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2
    • /
    • pp.242-260
    • /
    • 1999
  • 실시간 데이터압축 기법은 저장 시스템의 용량과 저장 시스템간의 대역폭을 동시에 증가시킴으로써 프로세서-메모리, 메모리-디스크간의 성능 격차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압축데이타를 복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압축 기법의 장점을 상쇄시킬 만큼 큰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원 오베헤드를 줄이기 위해 선택적 압축 기법과 복원 오버헤드 감춤 기법들을 적용한 선택적 압축 메모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선택적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캐쉬 구조와 메모리 운용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선택적 압축 메모리 시스템의 성능은 분석적 모델과 트레이스 구동 방식의 실험을 통해 평가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선택적 압축 메모리 시스템의 성능은 데이터의 압축율과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접근 유형에 따른 압축 블록의 참조율 및 복원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장착된 복원 버퍼의 접근 성공률에 따라 좌우됨을 알 수있다. 복원 버퍼는 대부분의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에 대해서 기존의 복원 오버헤드를 70% 이상 줄여 주며 이 경우 일반적인 메모리 시스템에 비해 최대 20%까지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선택적 압축 기법은 평균 47% 의 데이터 이동시간의 감소와 10%의 온 칩 캐쉬 접근 실패 횟수의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

An evaluation of compressive lap splice of the D22 rebar by concrete strengths (콘크리트 강도변화에 따른 D22mm 철근의 압축이음 성능 평가)

  • Lee, Sung-Ho;Chun, Sung-Chul;Oh, Bo-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81-1084
    • /
    • 2008
  • Column specimens were constructed with main paramete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trength of the compression lap splice, such as lap length, spacing of lapped bars, amount and location of transverse reinforcements, and concrete strength.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column specimens in concrete strength of 40 to 60 MPa. Diameters of lapped reinforcing bars are 22 mm. An axial load was monotonically applied to the column specimens. All specimens failed in a brittle sudden manner and cover concrete was blasted out at maximum load. Compression lap splice strengths of specimens were evaluated from strain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lap length. Effects of the main parameters on the strengths of compression lap splice are assessed. Similarly to strengths of tension lap slice, the compression splice strength is found to be affected by lap length, spacing of lapped bars, transverse reinforcements.

  • PDF

A Visual Reconstruction of Core Algorithm for Image Compression Based on the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코사인변환 기반 이미지 압축 핵심 알고리즘 시각적 재구성)

  • Jin, Chan-yong;Nam, Soo-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180-181
    • /
    • 2018
  • JPEG is a most widely used standard image compression technology.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JPEG image compression algorithm and describes each step in th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Image compression is the application of data compression on digital images. The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is a technique for converting a time domain to a frequency domain. First, the image is divided into 8 by 8 pixel blocks. Second, working from top to bottom left to right, the DCT is applied to each block. Third, each block is compressed through quantization. Fourth, the array of compressed blocks that make up the image is stored in a greatly reduced amount of space. Finally if desired, the image is reconstructed through decompression, a process using IDC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