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박치료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1초

구상돌기 골절에서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 - 2예 보고 - (The Volar Plating of Fracture of the Coronoid Process - Report of Two Cases -)

  • 정구희;조철현;장재호;김재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60-265
    • /
    • 2010
  • 목적: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 대해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된 2예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척골 구상돌기 골절 2예에서 척 수근 굴근 양 두 사이로 접근하는 내측 접근법을 통해 2.4 mm 잠김 압박 금속판 (Compact Hand set$^{(R)}$, Synthes, Switzerland)을 이용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추시 기간은 각각 14개월, 17개월이었으며,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로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는 각각 95점 (증례 1), 100점 (증례 2)이었다. 능동적 주관절 운동 범위는 $5^{\circ}{\sim}120^{\circ}$, $0^{\circ}{\sim}130^{\circ}$이었고, 회내 및 회외 영역은 모두 회복되었다. 결론: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은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서 견고한 고정 및 조기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추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 Tumor of the Cervical Spine - Case Report -)

  • 안기찬;정경칠;김윤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62
    • /
    • 2006
  •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고도의 악성도로 인해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높은 재발율과 함께 척수의 기계적 압박 가능성으로 인해 방사선 치료가 근간이었으나, 최근에는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기구를 이용한 전후방 고정술을 시행 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 하고있다. 본 정형외과학교실에서는 경부 동통을 유발하며 제3경추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에 대해서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후방 기기술을 통한 융합을 시행 하였으며, 추시 관찰상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임파부종 환자의 간헐적 공기압박 치료의 효과 (Effect of Sequenti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for Lymphedema)

  • 김성중;이현숙;김순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95-60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quenti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in patients with lymphedema who were hospitalized for three days at Samsung Medical Center. Thirty-three subjects with lymphedema was selected by physician referral. A selection of the patients was ma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1) no known metastases, 2) no infection after the a difference of at least 10% in the volumes of edematous limb.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Lympha-Press(Model 103-A). Circumferential limb mesurements was done before and after a 3-day treatment period. As a result of sequenti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therapy. All extremity showed a decrease in circumferential measurements with the maximal reduction occurring at the wrist(55.75 %) for the upper extremities and at the lower 1/3 of calf (40.61%) for the lower extremities. Upper extremity arm was reduced by 42.1% and lower extremity leg by 33.61%. In contrast with this, the proximal levels of arm patients and leg showed comparatively poor reduction than distal levels. Almost 44.44% of arm patients and 5.26% of leg patients experienced significant reduction(> 50%) after compression therapy. These data clearly indicates that Sequenti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Therapy was effective treatment for reducing of extremity volume in patients with lymphedema. but this was variable degree and dependent on the amount of pre-existing lymphedema. Other factors such as duration of edema, etiology, previous history of radiology, age did not appear to influence the extend of improvement. Further sutdies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long term benefit of this therapy.

  • PDF

골반압박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도수치료가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고관절 외전근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using Pelvic Compression Belt on Hip Abductor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 신영일;김태원;전재국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3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effect of manual therapy using pelvic compression belt on hip abductor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total knee replacement (TKR)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 two post-TKR patie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elvic belt group (n=11) and a placebo group (n=11). All participants underwent manual therapy including range of motion exercise, soft tissue mobilization around knee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Quad set, SLR, sidelying hip abduction, standing hamstring curls, sitting knee extension, step-up, wall slide to $45^{\circ}$ knee flexion). Manual therapy was executed five times a week for 2 weeks. Outcome measures included hip abductor strength by using Biodex system 4 pro, anterior to posterior balance, medial to lateral balance, total balance by using Biodex balance system SD. Resul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nual therapy, hip abductor strength w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lvic belt group (p<.05). Anterior to posterior balance, medial to lateral balance, total balance we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lvic belt group and placebo group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hip abductor strength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Conclusions: This results suggest that manual therapy using pelvic compression belt has could be used for selective muscle activation of the hip abductor muscle and has useful in hip abductor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TKR patients.

중엽증후군 (Middle Lobe Syndrome)

  • 이용훈;김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21-625
    • /
    • 1996
  • "중엽증후군"의 용어는 Grahaml)등에,의해 처음 기술되어졌으며 대개 비후된 림프절에 의해 기관지 가 외부적으로 압박되 어 발생된다고 하였다. 환자들은 거의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가장 흔한 발현 증상 은 기침, 호흡 곤란, 반복되는 발열, 객혈, 그리고 흥통 등이다. 진단방법은 흉부 X선, 기관지경검사, 기 관지조영술, 흉부컴퓨터단층될영 등이며 대개 공기가 없이 압축된 중엽이 중요한 소견이다. 본 저자들은 1990년 3월에서 1995년 5월까지 15례의 중엽증후군을 경 험하였으며 그 중 11례에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엽 증후군의 환자에서 수술적용은 악성 종양이 의심되거나,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증,기관지협착증,약물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치료후 반복되는 감염 등의 경우에 시행하였다. 수술은 중엽절제술 8례,중엽 및 하엽절제술2례,상엽 및 중엽절제술 1례를시술하였다. 수술후 병리조 직소견상 결핵 6례, 만성감염 3례, 악성 종양 1례, 국소적 출혈 1례의 소견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은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그 중 1례에서 술후 폐허탈, 1례에서 간장장애를 경험하였으며 치유되었다.였으며 치유되었다.

  • PDF

기관삽관후 발생한 기관식도루 -치험 1례- (Postintubation Tracheoesophageal Fistu1a)

  • 전상협;박서완;정성운;이행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35-238
    • /
    • 1996
  • 후천성 기관식도루는 드문 질환이 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병변이며 원인중에는 cuff가 있는 tube를 삽관하여 부적절한 관리하에 장기간 인공호흡기 치료를 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손상의 기전은 cutt에 의해 기관벽에 압력이 가해져서 허혈성 손상과 더불어 염증성 반응이 더해져 압박된 식도와 비정상적 교통이 생기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자는 25세된 임산부로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세균성 뇌막염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치료중 갑작스런 피하기종과 종격동기종이 발생하여 기관지 경과 CT를 이용해 기관식도루가 발생 했음을 확인후 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은 자동봉합기로 기관의 손상부위를 봉합하고 식도 부위는 vlcyl과 Prolene으로 내외층을 단순봉합하였으며 기관과 식도사이에 흉쇄유돌근 절편을 끼워 넣었다. 수술 후 10일째 식도조영술로 기관식도룬가 완전복구되고 식도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하였으며 퇴원 후 추적조사결과 환자는 별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다발성 관상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 1예 보고 - (Surgical Management of Multiple Coronary Artery Aneurysms - A case report -)

  • 김창영;박경택;김연수;류지윤;장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106-109
    • /
    • 2008
  • 다발성 관상동맥류는 성인에서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그 발생 원인으로는 동맥경화, 선천성 혈관 기형, 외상, 매독과 관련된 혈관 병변, 결체조직 질환, 가와사키병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의 혈관구조물 중에서 중피(media)의 약화와 관련이 있다. 현증이 있거나 파열, 색전, 종괴로 인한 압박에 기인한 부정맥, 허혈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저자들은 중간지와 좌 회선지 관상동맥의 기시부에 위치하는 다발성 관상동맥류와 관련하여 파열 및 부정맥이 동반된 환자에서의 수술적 치료에 대해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

골 접촉 곡선형 금속 고정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curved type a metallic plate system at the Bone contact)

  • 김정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85-292
    • /
    • 2007
  • 본 논문은 정형외과영역인 대퇴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금속판으로 골 고정 골절치료의 유합술 골절치료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사용되는 치료방법은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역동적인 생물학적 금속판으로 고정 골수강 내 고정술을 적용되도록 견고한 골접촉 곡선형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금속판은 두 가지 유형으로 장형과 단형으로 구성되고, 금속판의 굴곡이 구조적이고 기하학적으로 경성 및 강도가 고루 분포하도록 최적화 하였다. 장 플레이트의 골접촉에 따른 곡선형으로 굽힙강도는 11,000N 이고, 단 플레이트의 골접촉에 따른 곡선형으로 굽힙강도는 6,525N 이며, 금속판에 골편간 압박을 주는 인장강도는 $1573N/m^2,\;1539N/m^2$정도이다. 금속판은 곡선부와 금속판부의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곡선부만 있는 단형과 밑 부분의 금속판이 달려있는 장형으로 진행되며, 곡선부의 단형은 전체적인 Profile이 낮고, 금속판이 달려있는 장형은 슬리브의 일체형으로 Profile보다 약간 높아져서 있다. 본 논문의 결과로 제공되는 것은 Hip Implant의 Revision case에 있어 보완뿐만 아니라 Hip Neck Fracture 경우에 사용되었던 Compression Hip Screw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편측추궁절제술을 이용한 비글견의 경흉연접부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Hemilaminectomy for Herniated Discs at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in a Beagle Dog)

  • 강병재;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11-514
    • /
    • 2014
  • 7년령 암컷 비글이 심한 경부 통증과 보행 이상으로 내원하였다. 신경계 검사를 통해 경추 6번에서 흉추 2번사이 척수로 병변을 국소화하였다. 또한 경흉추 부위 자기 공명 영상으로 경추 7번과 흉추 1번 사이 추간강에 척수를 심하게 압박하는 추간판 탈출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부위의 치료를 위해 편측추궁절제술이 실시되었다. 수술은 효과적이었으며 환자의 상태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편측추궁절제술이 개의 경흉연접부에 발생한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반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에서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 활보장,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Gait and Dynam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 신영일;김진영;이호종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abilities and balance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two patients with subacut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 Two group offer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five day. The group was composed of twelve patient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pelvic compression belt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lthoug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vided in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o assess the gait ability, the GAITRITE system was used and the Balance system SD was used to test balance.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and show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ynamic standing balance (p<.05). However, contro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bu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ynamic standing balance.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gait velocity, dynamic standing balance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astic pelvic belt appl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gait velocity, dynamic balance in the subacute stroke patients. Thus, the elastic pelvic belt is seemed to be one of the potential methods to facilitate the ac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hemiplegia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