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력전파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5초

열처리가 Zr-2.5Nb압력관 재료의 지체균열전파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인섭;오제용;김영석;국일현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65-770
    • /
    • 1995
  • 지체균열전파(DHC)는 중수로 압력관의 수명에 근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를 통하여 압력관 재료인 Zr-2,5Nb의 기계적 성질, 집합조직을 변화시켜 각 인자들이 DH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체균열전파속도(DHCV)는 항복강도와 경도와 비례한다는 것과 유사한 미세구조와 집합조직을 갖는 Zr-2.5Nb의 경우 항복강도와 Puls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체균열전파속도(DHCV)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secondary cracking이 annealing한 시편들에서는 관찰되었으나 $\beta$열처리 후 급냉한 시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의 수소화물 형상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동차 동력조향용 유압 관로계에서의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 (An Analyzing Method of Pressure Wave Propagation in Hydraulic Transmission Line for Automotive Power Steering System)

  • 이일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4-13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데이터에 기초한 새로운 맥동류 해석법을 제안한다. 이어서, 저자가 제안한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측정법인 "3개 압력 변환기를 갖는 폐쇄 출구 도관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동력 조향 장치용 레조네이터 호스 각 부품에서의 파속 데이터를 계측해둔다. 최종적으로 몇 개의 연구 대상 레조네이터 호스에 대한 압력 맥동 감쇠 특성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부터, 제안한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밀폐용기내 메탄-공기 예혼합기의 연소특성(II)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Air Pre-mixture in a Closed Vessel(II))

  • 김봉석;이영재;고창조;권철홍
    • 에너지공학
    • /
    • 제4권1호
    • /
    • pp.85-9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량용 대체연료로서 주목받고 있는 천연가스의 연소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밀폐된 정적연소실을 이용, 당량비, 초기압력 및 점화위치 변화에 따른 연소실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메탄-공기 예혼합기의 화염전파과정은 이론혼합기 부근에서 구면형으로 진행되는데 반해, 과농 또는 과박 혼합기 그리고 점화위치가 연소실 벽면에 가까울수록 타원형으로 진행되며, 초기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화염전파는 느려진다. 화염전파속도와 연소 속도는 초기압력이 낮고 점화위치가 연소실 중심에 가까울수록 빠르며, 당량비 1.0∼1.1 사이에서 최대치를 보인다.

  • PDF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Spread Characteristics under Reduced Atmospheric Pressures and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 양호동;권행준;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78-83
    • /
    • 2016
  • 발사체의 지상 운영과정이나 발사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와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1단 동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연소 환경에서 화염의 전파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1단 동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고산소-저기압 환경을 연소챔버 내에 조성하고 고체연료를 점화시켜 화염 전파율을 측정하였다. 고체연료로는 두께가 0.18 mm인 광섬유를 사용하였다. 주어진 조건에서 산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섬유를 따라 전파하는 화염의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챔버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질 수록 화염의 전파속도는 감소하였다. 압력 증가에 따른 화염전파율의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류열전달계수와 화염전파율의 압력 상관성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압력이 낮아질수록 대류 열손실이 줄어들어 화염전파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밀폐배관 내의 장애물에 의한 폭발압력과 화염전파속도의 영향 (Effect of the Obstacles on Explosion Pressure and Propagation Velocity in Closed Tube)

  • 한우섭;이정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폭발 공간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의한 메탄-공기 혼합기의 폭발압력 및 화염전파속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밀폐된 폭발 공간에서의 폭발압력 및 화염전파속도에 대한 장애물의 영향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장애율이라고 하는 정량화된 파라메타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장애물 개수에 관계없이 장애율이 증가할수록 폭발압력과 화염전파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10 % 메탄가스의 동일한 농도조건에서, 장애물이 없는 경우(장애율 = 0)의 화염전파속도는 3.46 m / s가 얻어졌으며, 장애물 3개 및 장애율 0.98 인 경우는 24.24 m / s로서 약 7 배가 증가하였다. 동일한 장애율에서는 장애물 개수가 증가할수록 폭발압력 및 화염전파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원자로압력용기강의 동적 응력확대계수와 동적 균열전파속도 (Dynamic Stress Intensity Factor and Dynamic Crack Propagation Velocity in Nuclear Pressure Vessel Steels)

  • 이억섭;한민구;한문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251-257
    • /
    • 1998
  • 동적 파괴인성치 측정시스템과 동적 2차원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자로압력용기에 사용하는 강(SA508 cl.3, SA516 gr.70)의 동적 파괴인성치와 동적 균열정지인성치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시스템 을 이용하여 재료의 동적 파괴특성을 규명하였다. SA508 cl.3와 SA516 gr.70의 동적 균열전파속도(a)에 대응하는 동적 응력확대계수 (K(a))에 대한 실험식을 얻었으며, 동적 응력확대계수와 동적 균열전파속도와의 관계는 전형적인 "$\Gamma$" 형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체적부하를 갖는 유체 전달관로의 압력전파 특성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in the Volume Loaded Fluid Transmission Line)

  • 윤선주;손병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3075-3083
    • /
    • 1994
  • The applications of the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theory to the pressu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volume loaded fluid transmission line with step and impulse input wave i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e method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time response is the inverse Fourier transform of frequency spectrum of the wave which spectrum is a product of frequency spectrum of input pressure wave and system transfer function. The frequency response and transient response of step and impulse input wave in the volume loaded fluid transmission line is analysed by the Laplace transform and inverse Laplace transform with FFT numerical algorithm. The numerical solution of the distributed friction model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friction model and the infinite product model. And the result is showed that FFT method may have major advantages for the simulation of fluid circuitary.

수치해석에 의한 가스폭발사고 분석 (A study on numerical analysis of the accidental gas explosion)

  • 채재우;;조영도;김상섭;문종인;이정석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5-152
    • /
    • 1998
  • 실내에서 가스폭발시 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 폭발 화염면의 전파를 수치해석을 통해 해석했다. 확산방정식에 의해 가스누출에 의한 실내의 가스확산분포를 구했으며 문헌에서 선택한 누출의 초기조건을 사용했다. 화염온도를 계산하기 위해 각 가스 혼합비에 따른 엔탈피와 화학식에 대한 reduced mechanism을 사용했으며 문헌에서 찾은 각 가스의 농도별 층류 연소속도를 혼합가스의 층류연소속도에 적용시켰다. k-$\varepsilon$ 모델에서 turbulance energy를 층류연소속도와 결합시켜 난류화염 전파속도를 모델링 했다. 화염면의 전파를 분석하기 위해 실내의 위치에는 직각, 화염면의 전파에는 원통좌표계를 사용했다. 유리창의 파손에 의한 화염전파면의 변화에 따른 압력상승 요인을 해석하였으며 창문의 크기에 따라서 점화위치에 따른 실내 압력상승의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수치계산을 통한 증기폭발 전파과정 해석

  • 박인규;박준철;방광현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31-537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증기폭발의 전파과정을 해석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용융물, 용융파편, 그리고 냉각재 기상과 액상 둥 4상 유체의 2차원적인 천이거동을 지배방정식 및 관련상관식의 수치적 해를 구함으로써 증기폭발의 전파속도 및 폭발압력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모델에 사용된 주요 상관식은 용융물 분쇄, 냉각재 상변화, 에너지 교환, 그리고 운동량 교환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재의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냉각재의 기상과 액상 사이의 열역학적인 비평형을 허용할 수 있도록 냉각재의 상태방정식을 구성하였다. 주석/물의 증기폭발에 대한 예제계산을 수행한 결과 폭발의 전파속도 및 압력 등에 있어서 합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요한 초기변수(중기 분율, 용융물 분율) 및 관련상관식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모델개선을 위한 중요인자를 제시하였다.

  • PDF

고위력 폭약의 화강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Caused by Blast Hole Explosion of High Explosives in Granite)

  • 김경규;신찬휘;김한림;양주석;배상호;윤경재;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41권4호
    • /
    • pp.29-40
    • /
    • 2023
  • 암반발파는 광업, 터널공사, 지하 구조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암반발파 기술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암반발파 시 발파공에서 발생하는 발파공의 압력은 파쇄도, 발파진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폭약의 성능 평가 및 발파 결과 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발파공 압력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지만, 폭약의 종류, 폭약량, 발파조건 등 실험조건으로 인하여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 압력센서와 관측공 압력센서를 제작하여 단일공 발파 시 발파공과 관측공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발파공 주변 압력 전파특성과 발파진동 전파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