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력분포비

Search Result 379,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Body Pressure Distribution on Sleeping Posture (침대의 수면자세에 따른 체압분포의 특성)

  • 박세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95-103
    • /
    • 1999
  • 침대에서의 체압분포는 수면 안락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로 고려되어져 왔다. 체압분포는 사람의 몸무게에 의하여 침대와 누운사람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분포를 말한다. 안락한 체압분포 패턴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침대 8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침대를 사용하였다. 체압분포 측정은 각 수면자세(바로 누운 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에서 가변침대의 초기상태와 피실험자가 편안한 체압분포 패턴을 유지하도록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각 수면자세에서 체압비와 선호하는 체압비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각 수면자세에서 엉덩이 부분의 체압비가 가장 높았으며, 바로 누운 자세는 40% 이상의 체압비가 엉덩이에 집중한다. - 각 수면자세에서 전체적으로 머리와 다리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높은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난다. -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유추를 기준으로 신체가 W형이 되도록 머리, 요추, 대퇴부분의 높이를 올리는 것을 선호한다. - 엎드린 자세는 머리와 다리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신체이 곡선이 U형이 되도록 하는 것을 선호한다.

  • PDF

Unsteady Pressure Distributions in a Channel Diffuser of Centrifugal Compressor (원심압축기 채널디퓨저 내부의 비정상 압력분포)

  • Kang, Jeong-Seek;Cho, Sung-Kook;Kang, Shin-Hyoung
    •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 /
    • v.3 no.2 s.7
    • /
    • pp.57-65
    • /
    • 2000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unsteady flow phenomena in a high speed centrifugal compressor channel diffuser. Instantaneous pressures aye measured at six locations in the diffuser using fast-response pressure transducers. Instantaneous pressure ratio decomposition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essure signal. In vaneless space where impeller-vaned diffuser interaction is strong, aperiodic unsteadiness is high and periodic pressure waveforms by blade passing are not clear at low flow rates, especially near vane suction side. High aperiodic unsteadiness decreases downstream of diffuser. The blade-to-blade pressure wave does not disappear in surge flow condition. In surge there exist not only large scale periodic surge wave but also blade-to-blade pressure wave.

  • PDF

The Growth Behavior of Surface Grains of WC-6%Co Alloy during Heat Treatment (WC-Co 소결체의 열처리시 나타나는 표면 입자 성장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여수형;이욱성;백영준;채기웅;임대순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1
    • /
    • pp.28-33
    • /
    • 2001
  • WC-6%Co 소결체를 열처리할 때 발생하는, 시편 표면에서의 급격한 입자 성장 거동을 열처리 분위기를 변수로 하여 관찰하였다. 열처리 분위기로 수소와 메탄을 각각 사용하였고, 온도는 1400~145$0^{\circ}C$, 압력은 1~3 Torr, 그리고 시간은 100분까지 변화시켰다. 표면에서의 입자 성장은 수소 분위기보다 메탄 분위기를 사용하는 경우 훨씬 빠르게 일어났다. 그리고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압력이 감소할수록 입자 성장 속도가 증가하였다. 이때 성장한 입자의 크기 분포는 비정규 분포를 보였다. 한편, 입자 성장은 열처리시 증발하는 시편의 Co 무게 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표면에서의 입자 성장 현상을 열처리한 조건과 관련되어 WC-Co 상태도에서 예측할 수 있는, 탈탄-탄화 반응 및 비정상 입자 성장 현상 관점으로 설명하였다.

  • PDF

Ion energy distributions in $BCl_3/Ar$ etching plasma ($BCl_3/Ar$ 식각 플라즈마에서의 이온 에너지 분포)

  • Kim, Gwan-Ha;Kim, Cha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a
    • /
    • pp.54-56
    • /
    • 2005
  • QMS를 이용하여 chlorine based 유도결합 플라즈마 내 이온의 거동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플라즈마 진단 가스로는 AT 가스에 $BCl_3$을 첨가하였으며 공정 압력을 변화하며 플라즈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스 혼합비에 따른 이온의 상대적인 밀도 변화에서 소량의 Ar가스의 첨가는 $BCl_3$ 가스의 이온화를 도와 $Cl^+$ 이온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며 Ar과 $BCl_3$의 이온화 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BCl_3$ 가스의 첨가비가 적을 수록, RF Power가 증가하며, 공정 압력이 낮올 수록 이중 피크 구조의 이온 에너지 분포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온이 접지 전극에의 도달 시간과 평균 플라즈마 전위의 변화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 PDF

Unsteady Pressure Distributions in a Channel Diffuser of Centrifugal Compressor (원심압축기 채널디퓨저 내부의 비정상 압력분포)

  • Kang, Jeong-Seek;Cho, Sung-Kook;Kang, Shin-Hyoung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12a
    • /
    • pp.69-77
    • /
    • 1999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unsteady flow phenomena in a high speed centrifugal compressor channel diffuser. Instantaneous pressures are measured at six locations in the diffuser using fast-response pressure transducers. Instantaneous pressure ratio decomposition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essure signal. In vaneless space where impeller-vaned diffuser interaction is strong, aperiodic unsteadiness is high and periodic pressure waveforms by blade passing are not clear at low flow rates, especially near vane suction side. High aperiodic unsteadiness decreases downstream of diffuser. The blade-to-blade pressure wave does not disappear in surge flow condition. In surge there exist not only large scale periodic surge wave but also blade-to-blade pressure wave.

  • PDF

Computation of a Two-dimensional Nozzle Flow with the Variation of Pressure and Length Ratios (수치계산에 의한 2차원 초음속 노즐에서 압력비와 길이비에 따른 흐름 특성)

  • Kwon, Soon-Duk;Kim, Jeong-Soo;Choi, Jong-Wook;Kim, Sung-C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4
    • /
    • pp.281-286
    • /
    • 2007
  • The Navier-Stokes equations are numerically solved for a two-dimensional small nozzle with the area ratio of 1.8 between the throat and the exit. The shock structures are verified inside the nozzle and near the exit varying with the pressure ratio and the length of the diverging part, respectively. Especially the irregular patterns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near the throat are analyzed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milar phenomena in the shock wave structure between the pressure ratio and the length changes. Also there exists a normal shock just between two different oblique shocks crossing each other in special cases.

개구 거리변화에 따른 압력용기 헤드의 응력분포 평가

  • 김강수;김태완;장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15-92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반구형 헤드(hemi-spherical head)를 가진 압력용기에 비방사형(non-radial) 노즐을 가공할 경우, 개구(opening) 간격이 반구형 헤드의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개구 간격의 변화에 따른 응력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ASME 코드는 NB-3222.4(d)의 설계 조건을 만족하는 압력 용기의 혜드에 노즐을 가공할 경우, NB-3338.2(d)에서 개구사이의 최소거리를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ASME 코드가 제시하고 있는 개구사이의 최소거리의 타당성과 설계상 이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해석모델은 한국 표준형원자로의 가압기를 기본모델로하여 개구사이의 간격변화에 따른 응력변화를 검토하고, 설계시 고려하여야할 인자를 분석하였다.

  • PDF

부수로 해석 코드 MATRA $\alpha$-version 개발

  • 유연종;황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79-584
    • /
    • 1997
  • HP Workstation 및 IBM PC에서 사용 가능한 부수로 해석 코드 MATRA $\alpha$-버전을 개발하였다. 이 코드는 정확도 향상 및 사용자 편리를 위해 COBRA-IV-I코드에 비해 여러가지 기능들이 추가되었으며, 코드의 적용 범위를 신형원자로의 비정방형 집합체 노심에 확장할 수 있도록 압력손실 모형 등이 개선되었다. 또한 이상 유동장에서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부수로 잔의 횡방향 전달 모형을 개선하였다. 코드의 예측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세 중류의 집합체 유동분포 및 엔탈피 분포 실험 자료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COBRA-IV-I코드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Optimum Inverse Design of 2-D Cascade Airfoil (2차원 익렬 익형의 최적역설계)

  • 조장근;박원규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9 no.4
    • /
    • pp.17-23
    • /
    • 2002
  • The present paper describes the optimum inverse design of 2-D linear cascade airfoil. The pressure coefficient of an airfoil surface is taken as the objective function, and non-orthogonal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 is applied to calculate the pressure coefficient. Both of steepest descent and conjugate gradient method have been used to make the objective function go to zero. The 1st order finite differential method is applied to the searching direction and the golden section method is used to compute the searching distance. As a result of the present work, a good convergence to the target airfoil has been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