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력공

Search Result 4,12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Calibration and Flight Test Results of Air Data Sensing System using Flush Pressure Ports (플러시 압력공을 사용한 대기자료 측정장치의 교정 및 비행시험 결과)

  • Lee, Chang-Ho;Park, Young-Min;Chang, Byeong-Hee;Lee, Yung-G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7
    • /
    • pp.531-538
    • /
    • 2017
  • A flush air data sensing system, which can predict flight speed, angle of attack, and angle of sideslip of the aircraf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a small UAV. Two kinds of flush pressure ports, four ports and five ports, are tapped at the same section of fuselage nose-cone. Calibration pressure data at flush ports are obtained through computations for the total aircraft by using Fluent code. Angle of attack, angle of sideslip, total pressure, and static pressure are represented with 4th-order polynomial function and calibration coefficient matrix is obtained using least square method with calibration pressure data. Flight test showed that flight speed, angle of attack, and sideslip angle predicted by four flush ports and five flush ports compared well with those by five-hole probe installed for data comparison. Especially four flush ports revealed nearly same results as those by five flush port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riverbed protection device to prevent the loss of bed materials at the downstream of the river structure (하천 횡단 구조물 하류에서 하상재료 유실 방지를 위한 하상보호장치 개발 및 검증)

  • Kim, Min Gyu;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5-45
    • /
    • 2020
  • 하천 횡단구조물 하류부에서는 고유속 및 ±압력에 의해 하상재료가 유실되는 세굴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횡단구조물 하류부에는 석재,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블록 등을 설치 및 포설하여 하상보호공을 설치한다. 하상보호공을 설치하면 설치된 부분은 세굴이 방지 되지만, 하상보호공 끝단 이후에는 지반이 노출되어 있어 노출된 지반에서 고유속 흐름 및 압력변화에 의한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상보호공 끝단 즉, 하상이 노출된 지반에서 압력변화에 따라 하상재료가 유실되므로 압력에너지를 감쇄시키기 위한 하상보호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하상보호장치는 본래 다수개가 열을 지어 메트릭스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여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단일체로 수리실험을 진행하였다. 하상보호장치는 상판과 하판이 조립된 형태이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이격공간이 구비되어있다. 하상보호장치 검증을 위해 상판과 하판에 쓰이는 판은 수로재질과 같은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하상재료의 공극률을 반영하여 다공성 판으로 제작하였다. 다공판의 전체 구멍 면적 대비 판 면적은 35 % 로 동일하다. 상판 구멍 지름 15.0 mm, 4.5 mm 2가지로 제작하였으며, 하판 구멍 지름 3.0 mm 으로 동일하다. 압력변화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고유속 수리조건에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의 압력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판 중간에 압력계를 설치하였다. 하상보호장치 설치지점 앞 0.3 m 부근에 PIV를 설치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상판의 구멍 직경(15.0 mm)이 클 경우 상판부 압력이 하판부로 전달되어 하판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증폭 되었으며, 상판의 다공성 구멍 직경(4.5 mm)이 작을 경우 상판부에서 하판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감소하여 하판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감소하였다. 상판과 하판의 다공성 구멍의 직경을 적절한 사이즈로 조절하면 상판부의 압력이 하판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압력에 의해 하상에서 흡출되는 유사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상판과 하판의 다공성판 구멍 직경의 상대적 차이에 따른 압력 감소효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PREPREG 제작 방식에 의한 압력용기(STEB)의 시험 및 고찰

  • 이원복;손원경;유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30-30
    • /
    • 1997
  •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조립식 맨드렐 및 prepreg 제작 방식을 적용하여 filament winding machine으로 압력 용기(STEB)를 제작, 음향 방출 측정 장비 및 strain gage 등을 부착한 수압 시험으로 압력용기의 구조적 건전성 예측 및 파열 압력을 측정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winding pattern 및 조건하에 prepreg winding과 wet winding 방식을 적용하여 제작한 압력 용기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prepreg winding의 설계 조건, 공정 변화를 통해 제작한 압력 용기의 파열 압력 및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winding 조건들에 따라 제작된 압력용기는 최종적으로 PR(Performance ratio) 값을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prepreg 제작 방식의 장단점, 제작에 필요한 설계 조건 및 기초 자료 등을 고찰하여 보았다.

  • PDF

Constru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Paint System (PSP 압력측정 시스템의 구축)

  • Jeon, Young-Jin;Kim, Ki-Su;Seo, Hyung-Seok;Byun, Yung-Hwan;Lee,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2 no.1
    • /
    • pp.7-15
    • /
    • 2008
  • Pressure Sensitive Paint(PSP) means a reacting paint in pressure. The calibration of PSP and the wind tunnel test of PSP painted model are required to measure pressure by using PSP. Therefore, the post processing from these results shows the information and image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PSP can show the information of total pressure from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calibration. In this study, equipments of PSP are composed, and experiment is accomplished by using PSP. The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around the wall of nozzle is measured by PSP. The measured pressure has similar results to those of the CFD and pressure tap measurement.

A study on different pressure head gradi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도관망 압력경사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Sohee;Jung, Donghwi;Lansey, Kevin 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3-393
    • /
    • 2022
  • 상수도관망의 압력은 물공급 서비스의 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이다. 압력이 낮으면 물 사용성이 크게 저하되며, 이러한 이유로 보통의 수도사업자는 압력을 중요한 모니터링 변수로 고려하고 있다. 압력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변수를 계산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압력경사(Pressure Head Gradient)는 수요량, 관경, 관의 파괴 등 독립변수 또는 독립요인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로서의 압력 민감도를 나타낸다. 압력경사의 계산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압력경사를 계산하고, 상수도관망 설계, 운영, 관리 목적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의 상태, 관경, 절점수요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를 변화시켜 그 결과로의 압력종속변수를 계산, 압력경사를 결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구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후 각각의 압력경사에 대한 모듈을 구축하였으며, 개별 압력경사 모듈의 특징을 고려하여 활용방법을 수립하였다.

  • PD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Caused by Blast Hole Explosion of High Explosives in Granite (고위력 폭약의 화강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 Gyeong-Gyu Kim;Chan-Hwi Shin;Han-Lim Kim;Ju-Suk Yang;Sang-Ho Bae;Kyung-Jae Yun;Sang-Ho Cho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41 no.4
    • /
    • pp.29-40
    • /
    • 2023
  • Rock blasting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ning, tunneling, and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role of rock blasting technology has became increasingly significant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underground cavity. Blast hole pressure, generated during rock blasting, is a critical variable directly impacting factors such as crushing and blast vibration. It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for assessing explosive performance and predicting blasting effects. While blast hole pressure has been studied by several researches, comparisons are challenging due to variations in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explosive type, charge, and blasting conditions. In this study, blast hole pressure sensors and observation hole pressure sensors were developed to measure pressure during single-hole blas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en used to discus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pressure around the blast hole and the corresponding blast vibration.

압력이 상승하는 고체 추진제 비정상 연소에서 복사열 해석

  • 정호걸;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22
    • /
    • 2000
  • 고체 추진제에서 연소실 압력이 급격히 변하는 비정상 상태에서의 연소 특성은 정상 상태와 다른 경향을 보인다. 고체 추진 시스템에서 안정적이고 필요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비정상 상태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고체 추진제에서 비정상 연소는 크게 두 가지 경우에 나타나게 된다. 그 중 하나는 소염을 위하여 연소실내 압력강하가 일어나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점화 후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이다. 급격한 압력 강하로 인한 고체 추진제의 소염에 대하여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중략)

  • PDF

음향방출을 이용한 복합재 연소관의 건전성 평가

  • 이상호;최용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32-32
    • /
    • 1997
  • 복합재 연소관의 구조적 건전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표준 평가용 시편의 수압 시험 중, 연소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신호를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함으로써 시편이 파괴되기 전, 대략적인 시편의 파열 위치 및 일정 압력 유지상태에서 hit rate 양상에 의한 건전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기법 향상을 위하여 음향방출 데이터를 시간 및 센서별로 분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압 시험을 낮은 압력 단계부터 높은 압력 단계까지 일정 압력 유지 상태(load-hold)에서 발생한 hit 수와 1분간 유지한 후 발생되는 hit rate(hit/sec)의 값의 크고 작음이 복합재 압력 용기의 결함수의 증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복합재 압력 용기의 파열 압력과의 상관관계 및 건전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복합재 압력 용기의 파열 위치는 energy rate(energy/sec) 측정값을 분석하여 예측하였으며, 파열 압력의 30∼50%에서 가능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Solpe and Earth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Pressure-Grouted Soil Nailing (압력식 쏘일네일링을 적용한 사면 및 흙막이 벽체 설계/시공 사례)

  • Jung, Kyung-Han;Kim, Jun-Youp;Lee, Seung-J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9a
    • /
    • pp.97-108
    • /
    • 2010
  • 발포우레탄 패커를 이용한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은 기존 쏘일네일링 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그라우팅 두부에 패커를 설치하여 네일 정착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압력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정착부의 유효직경 및 인발저항력을 증가시켜 안전율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발포우레탄 패커 특성시험 및 현장조건을 묘사한 실내 그라우팅 주입실험, 현장시험 및 FEM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공법의 필수요소인 발포우레탄 패커의 정착력 확인을 위한 패커 특성시험 결과, 공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 패커가 충분히 저항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인발저항력 증가 원인 분석을 위한 실내 및 현장 시험결과, 압력 그라우트에 의하여 그라우트의 품질확보, 보강력증가 및 주변지반의 압밀효과를 확인 하였다. 끝으로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을 적용한 사면 및 흙막이 벽체 설계/시공 사례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시 본 공법의 효용성 및 대처능력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