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력강하

검색결과 829건 처리시간 0.039초

마이크로핀관내 냉동기유가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열전달과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ubrication oil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n a microfin tube)

  • 구학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40-1446
    • /
    • 2012
  • 본 논문은 수평 마이크로핀관내 초임계 $CO_2$와 PAG 혼합물의 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에 대해서 실험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CO_2$와 PAG 혼합물의 열전달계수는 압력이 10 MPa이고, 질량유속은 520 kg/$m^2s$이며, PAG 오일 농도는 0.06~2.26%에서 측정하였다. PAG 오일농도가 0.3%인 경우, $CO_2$와 PAG 혼합물의 열전달계수와 압력강하는 순수 $CO_2$ 냉매의 열전달계수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AG 질량농도가 2.26%인 경우, 초임계 온도근처에서 측정한 열전달계수는 순수 $CO_2$의 열전달계수 보다 약 50%정도 낮게 나타났다. 마찰압력강하는 $60^{\circ}C$$CO_2$ 평균온도에서 순수 $CO_2$의 압력강하보다 약 1.6배 더 높게 나타났다.

핀 봉다발의 압력강하 특성 연구 (An Investigation of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Finned Rod Bundles)

  • Chung, Moo-Ki;Chung, Chang-Hwan;Chung, Heung-June;Song, Chul-Hwa;Yang, Sun-Ky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28-339
    • /
    • 1991
  • 30 MW 열출력을 갖는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KMRR)가 원자력연구소에선 개발되고 있다. 열수력 연구의 일환으로 길이 방향으로 핀이 달린 연료봉다발의 압력강하특성을 실험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유량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핀 연료봉다발에서의 압력강하 상관식의 도출과 압력강하에 미치는 핀 영향의 조사에 중점을 두었다. 도출된 KMRR 핵연료봉다발의 마찰계수 상관식을 원형관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저유량 실험영역에서는 충류시의 해석값인 64/Re 보다 큰 값을 가졌으나 Re가 증가되면 Blasius 상관식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액체로켓엔진 공급시스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Supply System Module for Liquid Rocket Engine)

  • 김혜민;이상복;김완조;노태성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9-84
    • /
    • 2010
  • 액체로켓엔진 공급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오리피스, 굽힘관, 벨로우즈, 밸브, 플랜지 등의 공급계 부품들에 대한 액체로켓엔진 공급시스템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각 부품별로 Sizing이 가능하며 압력강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공급시스템이 구성되면 시스템 전체 부품 개수, 압력강하, 출구압력, 무게를 도출할 수 있다.

  • PDF

핀-휜 구조물을 삽입한 채널의 열전달 특성과 압력강하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a Channel with Pin-fin Structure)

  • 허주녕;김지훈;손영석;신지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224-231
    • /
    • 2011
  • 핀-휜 구조물이 삽입된 채널은 열전달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잡한 핀-휜 구조물은 다공성 매체로 모사할 수 있을 만큼 매우 불규칙적인 유동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핀-휜 구조물이 삽입된 채널의 열전달과 압력강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효유동공간비가 높고 직경이 큰 경우 실험데이터를 잘 예측 하였지만, 유효유동공간비가 낮은 경우 비교적 오차가 큰 편이었다. 유효유동 공간비가 낮을수록 유동교란이 강해져서 열전달이 증가하지만 압력강하도 증가하여 팬의 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적점을 찾아서 설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면유속이 5m/s 일 때, D25 모델에서는 유효유동공간비가 0.5인 지점에서, D05 모델에서는 0.9에서 압력강하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이보다 더 작은 유효유동공간비에서의 작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냉수공장에서 열전달을 고려한 응축기와 증발기의 물 압력강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Pressure Drop Considering Heat Transfer in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of a Water Chiller)

  • ;이근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2호
    • /
    • pp.1293-1300
    • /
    • 2011
  • 물 냉각기의 응축기와 증발기의 형상(길이, 관 직경, 관수, 통로 수)은 설비비용에 관련된 열전달 면적과 운전비용에 관련된 압력강하와의 조화로 결정될 수 있다. 물 냉각기 (냉동사이클)의 쉘-관 형상의 열교환기(응축기와 증발기)의 관 내부로 물이 통과할 때, 주어진 냉각부하와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물 압력강하가 작은 설계조건에 초점을 맞추었다. 상업용 강화튜브의 사용과 상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해석결과의 검증으로 실용성과 신뢰성 확보를 도모하였다. 해석결과, 관 통로 수를 적게, 관 직경을 크게, 관 수를 많게 선정하면, 관 길이를 짧게 하므로 물측 압력강하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관수가 특정값보다 많을 때는 오히려 작은 관 직경을 사용하는 것이, 내부열저항의 감소로 인한 단위 길이 당 총열저항 감소 때문에, 관 길이를 짧게 하여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대향류 매니폴드 내의 튜브 라운드 적용에 따른 고온 고압 열교환기의 성능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Rounded Tube at the Counter Flow Manifold on the Performance of a Heat Exchanger Used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ystem)

  • 김상조;최병익;김귀순;손창민;하만영;정지환;고정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7-5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매니폴드 내의 튜브 라운드 적용에 따른 고온 고압 튜브형 열교환기에서의 압력강하와 열성능을 분석하기위해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튜브형 열교환기에서의 압력강하와 열성능은 튜브라운드의 위치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튜브 라운드에 따른 연구는 튜브 입구, 튜브 출구, 그리고 튜브 양쪽 세 가지 위치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튜브 양쪽에 라운드를 적용한 경우에는 가장 낮은 압력강하와 감소된 열전달을 보였지만 튜브 출구에 라운드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력강하와 열전달 모두 기본형상에 비하여 좋은 특성을 보였다.

고체입자가 부상된 이상유동에서 압력강하에 대한 해석적 접근 (A Theoretical Approach on the Pressure Drop in Two-phase Particle-laden Flows)

  • 김세윤;이계복
    • 에너지공학
    • /
    • 제14권1호
    • /
    • pp.11-1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자가 부상된 이상유동에서 난류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여러 유동 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단위 길이당 압력손실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입자 뒤의 후류, 입자 크기, 부하도, 상사이의 밀도비가 고려되었다. 마찰에 의한 압력 강하량은 검사체적에서의 힘의 평형을 사용해 유도되었고 난류강도와 압력 강하량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고 수치모델이 입자가 부상된 이상유동에서 압력강하의 기구를 잘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하수 흐름의 해석해를 이용한 토양진공추출 해석 (Analysis of Soil Vacuum Extraction using Analytical Solution of Groundwater Flow)

  • 김민환;이학;한동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39-145
    • /
    • 2009
  • 불포화지역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위해 지하수 흐름 해석해를 토양 진공추출 설계에 적용시켰다. 토양 공극 속의 가스 밀도가 압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가스나 증기의 흐름을 지배하는 방정식은 비선형이다. 선행 연구자 의해 선형화된 방정식은 지하수 흐름의 지배방정식과 유사하다. 압력대수층과 누수대수층의 압력강하량에 대해서 Massmann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압력대수층에 대해서는 Massmann에 의해 제시된 Theis의 해를 수정하였으며 Theis의 해를 검증하기 위해 GASSOLVE9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Hantush의 해석해를 이용하여 누수대수층 구조에 대해서 압력 강하량을 계산하여 Massmann의 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압력강하량에 대해 근사적인 결과를 얻었다.

원형 도관 내에서의 유변 유체에 대한 압력손실 감소 및 열전달 증가 (Pressure Drop Reduction and Heat Transfer Increase with Rheological Fluid Flows in a Circular Conduit)

  • 이동렬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7
    • /
    • 2012
  • 본 연구는 컴팩트한 열교환기의 설계를 위하여 열교환기 내의 원형 단면 도관의 유변 유체의 압력 강하 및 대류 열전달률을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유변 유체의 구성방정식은 기존의 비뉴톤 유체 멱법칙을 보완한 수정 멱법칙 모델을 채택하였다. 도관 내의 압력강하를 의미하는 마찰계수와 수정 레이놀즈 수의 곱은 기존 문헌치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유변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1% 및 0.004%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고 유변 수정멱법칙 유체 모델의 형태를 띠는 유변 유체를 열교환기 내의 원형 단면 도관 내에서 사용하면 뉴톤 유체보다 최대 58%의 압력강하를 감소시켰고 최대 9%의 대류 열전달 증가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수직관내 응축열전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Condensation Heat Transfer Inside Vertical Tubes)

  • 윤정인;김재돌;김성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59-69
    • /
    • 1996
  • 냉동.공조 및 각종 화학공업에 널리 사용되는 열교환기인 응축기의 고성능화 및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냉매의 정확한 응축열전달률 예측과 그 메카니즘 규명이 필수 요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경 9.7mm, 외경 12.7mm, 길이 1200mm의 수직 이중관 응축기의 압력강하 및 응축열전달특성을 실험적으로 밝혔다. 실험으로부터 Lockart-Martinelli의 상관 관계식을 이용한 수직 응축관내 압력강하 특성을 종래의 실험식들과 비교.검토하고 새로운 압력강하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해석방법과는 달리 비환상류 모델을 가정한 해석결과로부터 전 유동양식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응축열전달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