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력각

검색결과 1,373건 처리시간 0.03초

실험적 출력 수정의 방법

  • 이성렬
    • 기계저널
    • /
    • 제22권5호
    • /
    • pp.380-388
    • /
    • 1982
  • 기관출력과 대기조건 각 변수와의 함수관계에서 이 함수가 서로 독립이고, 기관출력은 이들의 선형결합으로 표시됨을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 대기압력 변화 대신 흡기압력과 배기압력을 각각 변화시켜도 지장이 없음을 알았다. 이상과 같은 것으로부터 실험적 출력수정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통상의 대기상태의 변화에 있어서 수정 정밀도가 극히 높다는 것이 입증 되었 으므로 출력수정에 관한 충분한 자료가 되리라는 것을 믿는 바이다.

  • PDF

비원형기어에서의 압력각과 잇수비 및 곡률반경의 적정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Scope for Pressure Angle, Ratio of Tooth Number & Radius of Curvature in Non-Circular Gears)

  • Park, S.H.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63
    • /
    • 1997
  • Non-circular gear has a good velocity ratio in high speed and heavy load without any slip, moreover, it can transmit various motion, using simpler structure than link and cam, automation mechainism. In case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non-circular gear. I suggest one of references in applying non-circular gear to industrial plant, and suitable range of application by pressure angle curvature and angle ratio

  • PDF

소화용 버터플라이 밸브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Butterfly Valve in Fire Protection)

  • 이동명;김엽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9-64
    • /
    • 2002
  • 버터플라이 밸브의 압력손실과 캐비테이션에 대한 유동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밸브의 열림각에 대한 압력손실계수는 Carnot 방정식을 응용하여 수식화하였다. 캐비테이션(캐비테이션의 발단, 슈퍼 캐비테이션, 캐비테이션 손상, 초킹 캐비테이션과 같은)은 밸브의 압력손실계수로부터 예측되었다. 압력손실과 캐비테이션 예측은 밸브의 열림각에 대한 두께 비의 변화에 따라 수행하였다. 예측 데이터는 버터플라이 밸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엔지니어링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각도를 가지는 전극 구조를 가지는 DBD 방전에서 전극 간격과 압력 변화에 따른 방전 특성 연구

  • 심승보;배효원;이호준;이해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0-500
    • /
    • 2012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는 미소체적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를 이용한 한 예로 볼 수 있다. PDP 셀은 실험을 통하여 방전 특성을 분석하기에 아주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방전 특성을 분석하기에 유용하다. 시뮬레이션 방법 중 유체 시뮬레이션은 높은 압력에서 기체 방전을 분석하기에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PDP 전극 각도를 바꿈으로써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이 논문으로 발표 되었다. 이 발표에서는 2차원 유체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전극의 각도 변화뿐만 아니라 전극 간격과 압력 변화에 따른 방전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평판 전극의 각도 변화에 따라 전기장 세기, 방전 공간 내 전하 및 여기된 입자수 및 분포, 방전 개시 전압 등의 진단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극 간격이 길어질수록 convex 구조의 효율 증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압력이 커질수록 concave 구조의 효율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자유낙하에 의한 각도 변화에 따른 쐐기형 구조물 주위의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o changes in the angle of the wedge type structure by free fall)

  • 오승진;조대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93-4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 하는 쐐기형 구조물의 각도 변화에 따른 충격압력 및 유동특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동장의 계측은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충격압력의 계측은 압력계측장비인 Dewetron System을 이용하였다. 모델과 자유수면이 이루는 각도는 $15^{\circ}$, $25^{\circ}$, $35^{\circ}$$45^{\circ}$를 적용하여 다양성을 주어 실험하였으며, 속도장은 접수보다 이수에서 빠른 유동특성을 나타냈으며, 접수에서 보다 이수에서 시간이 더 소요됨을 보였다. 모델 하부에서의 충격압력은 쐐기의 각도 $45^{\circ}$ 보다, 입수각이 작은 $15^{\circ}$와 P1 지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PEFP 빔라인의 진공 펌프 설계를 위한 압력 프로파일 계산

  • 이화련;김한성;권혁중;조용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92-292
    • /
    • 2010
  •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단에서는 100MeV와 20MeV의 가속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빔 이용을 위하여 각 에너지에 5개의 빔라인을 구축 할 계획이다. 빔라인에는 각 마그넷과 빔 계측, 진공 등의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빔라인의 기초 구성품인 진공 부품의 설계를 위한 압력의 계산을 수행하였다. 각 빔라인 재질에 따른 gas load는 표면의 아웃게싱이 주요하게 고려되었으며 고진공용 Cu gasket의 진공 leak는 거의 없다고 가정하였다. 재질은 스테인레스스틸과 알루미늄의 두 가지 경우를 사용하였으며 주 배기 펌프는 이온펌프로 펌핑 스피드 125L/s의 diode 타입이다. 빔튜브의 사이즈는 CF6"의 규격 플랜지를 기본으로 빔 사이즈가 고려된 여러 플랜지의 조합으로 내부 부피를 구할 수 있었다. 빔라인 뿐만 아니라 타겟룸에 위치되어지는 튜브를 합한 경우와 펌프의 개수를 다르게 하였을 때에도 길이에 따른 압력의 프로파일을 계산하였다. 빔을 분배해 주는 AC 마그넷 이전에 이온펌프 한 개를 위치하였을 때 스테인레스스틸 빔 튜브의 경우에 최대값은 1.3E-6 torr, 최소값은 1.7E-6 torr 으로 계산 되었다. 이 결과는 가속기의 아래쪽 3개의 빔라인을 동시에 배기하고 빔 조사가 가능하도록 운영되는 조건이며 운영 마진 2배를 고려한다고 하여도 최소 진공도는 3.4E-6 torr 이다. 이온펌프는 일반적으로 9.0E-6 torr 이하에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온펌프 1개의 진공도로도 운영에 무리가 없으며 이온펌프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서 최대 도달 압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 PDF

오발 유량계에 사용되는 타원형 기어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liptical Gear Design for Oval flowmeter)

  • 박진주;이응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8호
    • /
    • pp.1029-1033
    • /
    • 2013
  • 오발 유량계의 회전자로는 타원형 기어가 사용된다. 타원형 기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타원형 기어로 인해 생긴 공간을 통해 물을 계측하기 때문이다. 현재 타원형 기어는 일본에서 호브를 수입해 가공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일본 회사와의 계약이 끝나면 가공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타원형 기어에 대한 수입 대체 효과 및 국내기술의 개발을 통해 해외 의존력을 탈피 할 수 있도록 타원형 기어 설계에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보통의 압력각을 타원형 기어에 사용하였을 경우 이의 간섭이 생겨 회전을 하지 못한다. 압력각이 증가하게 되면 이뿌리 부분이 두꺼워지고 이끝 부분이 좁아진다는 것을 이용하여 타원형 기어의 치형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2D 및 3D로 검증하였다.

실리콘 압저항 압력센서의 오프셋 및 온도 드리프트 개선 (The Improvement in Offset and Temperature Drift on Silicon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 김재문;이영태;서희돈;최세곤
    • 센서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24
    • /
    • 1996
  • 이 논문은 압력센서의 압저항 소자 값에 영향을 미치는 실리론 박막의 잔류응력과 4개 저항의 특성 차에 의해 발생하는 오프셋과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2중 브리지구조의 압력센서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압력 변화에 무관한 브리지회로의 각 저항 소자를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브리지회로의 각 저항 소자 가까이 배치하여 각 브리지회로의 출력을 감산하므로 오프셋과 온도 드리프트를 소자내부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해 오프셋과 온도 드리프트 성분의 약 95%가 제거되었다. 제작된 압력센서의 감도는 $0.9\;kgfcm^{-2}$ full-range에 대해서 $11.7\;mV/Vkg/cm^{-2}$ 이었다.

  • PDF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 조수현;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3호
    • /
    • pp.331-343
    • /
    • 2000
  •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PDF

자동차 동력조향용 유압 관로계에서의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 (An Analyzing Method of Pressure Wave Propagation in Hydraulic Transmission Line for Automotive Power Steering System)

  • 이일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4-13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데이터에 기초한 새로운 맥동류 해석법을 제안한다. 이어서, 저자가 제안한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측정법인 "3개 압력 변환기를 갖는 폐쇄 출구 도관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동력 조향 장치용 레조네이터 호스 각 부품에서의 파속 데이터를 계측해둔다. 최종적으로 몇 개의 연구 대상 레조네이터 호스에 대한 압력 맥동 감쇠 특성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부터, 제안한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