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 조기검진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Navigator Education Program for Cancer Screening on Women in the Community (지역사회 여성암 검진 네비게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Lee, Bo-Young;Jo, Heui-Sug;Lee, Hey-Jea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2
    • /
    • pp.214-222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avigator education program for cancer screening, which is designed for improvement in knowledge of cancer, perceived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 of the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for middle-aged and aged women in urban areas. Cancer screening navigator is lay health advisor who are educated for providing information, emotional support about cancer screening at the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33 women at the age of 40-69 and educated for 12 hours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30 women.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were used with SPSS WIN 14.0. Results: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were case of cancer early detection, benefit of breast cancer screening, benefit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health care system for cancer screening, role of cancer screening navigator, communication skill, transtheoretical model and role play. Knowledge of cancer(t=4.267, p=0.000) and communication skill(t=4.947, p=0.000) of the wome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mplementing the 12 hours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avigator education for cancer screening has an effect in increasing knowledge of cancer, and communication skill scores.

An Examination of Theories of Health Behaviors for Guiding Research on Mammogram Screening Practices for Korean Immigrant Women (건강행위이론의 사회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논의;한인여성의 유방암 방사선 검사 행위와 관련하여)

  • Suh, Eun-Young
    • Asian Oncology Nursing
    • /
    • v.7 no.1
    • /
    • pp.79-89
    • /
    • 2007
  • 연구 목적: 1980년대 이후 미국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진율은 급속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색 인종의 여성들은 여전히 조기 검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유색인종 여성들의 낮은 검진율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건강행위이론을 이용한 관련 요인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국 보건 의료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섯 건강행위 이론을 유색 인종 여성, 특히 한국 이민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검진 이행에 적용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네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CINAHL, MEDLINE, PsycINFO, Sociological Abstracts)를 이용한 심층적 문헌 고찰을 통해 각각의 이론으로 유방암 조기 검진을 설명한 연구들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론들의 배경, 주요 요인, 그리고 유색인종의 유방암 조기 검진에서의 적용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 서양 문화권 속에서 개발된 각 이론들이 한국적 정서와 행동을 설명하는데 명확한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면밀하게 재분석하여 한국적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도출이 요구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Behavior (대장암 조기검진행위와 영향요인)

  • Lee, Ji 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7
    • /
    • pp.179-186
    • /
    • 201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olorectal cancer(CRC) screening behavior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HBM). It w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A total of 148 adults aged 50 or older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liefs, and behavioral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cing CRC screening behavior were perceived sensitivity, spousal experience of CRC screening and family histor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RC screening rat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ived sensitivity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arly CRC screen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spousal screening experience and the family history of subjects an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artnership of the couple.

건강한 생활습관실천으로 암을 예방합시다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2 s.279
    • /
    • pp.6-13
    • /
    • 2002
  • 세계에서 매년 약 1,000만명의 새로운 암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650만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약 85,000명의 새로운 암환자가 등록되고 있으며, 55,000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의 20%를 차지하는 수치로서 사망원인으로는 단연 1위에 해당한다. 이처럼 암 발생과 암으로 인한 사망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암을 일으키는 원인인자를 밝히고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여 암을 예방하려는 노력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몇몇 암의 경우에는 그 발생 원인들이 일부 밝혀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금연을 통하여 폐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간염백신 접종을 통해 간암을 예방하는 경우 등이다. 한편,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 발생인구 가운데 1/3은 예방가능하고, 1/3은 조기진단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1/3의 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완치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등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거의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암들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실시할 겨우 암으로 인한 사망을 상당수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정부는 2002년부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대해 조기검진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으며, 암 예방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국민들에게 암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나아가 생활양식의 변화를 유도하여 암을 예방하도록 하는 마스터플랜을 추진하고 있다.

  • PDF

폐암의 조기진단

  • Lee, Hyeon-U;Lee, Gwan-H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5 no.2
    • /
    • pp.195-207
    • /
    • 1998
  • 폐암을 집단 검진으로 조기 진단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국립암연구소에서 실시한 흉부엑스선 촬영과 객담세포진 검사를 이용한 폐암의 집단 검진 결과는 검진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진단율이 높았으며 절제율도 더 높았고 5년 생존율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폐암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집단 검진의 궁극적인 목표인 사망률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최근에는 미국 국립암 연구기관에서 실시했던 결과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여 아직까지도 폐암 조기 진단에 있어서 흉부액스선촬영과 객담세포진검사의 의의에 관한 결론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1993년부터 새로운 집단 검진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어서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흉부엑스선촬영과 객담세포진검사를 이용한 집단 검진의 의의에 대한 결과는 기다려 보아야 할 것이다. 분자생물학적으로 폐암을 조기 검진하기 위한 검체로는 혈액보다는 객담이 훨씬 적절하고 합리적인 검체이다. 폐암의 발생은 가장 먼저 기관지 상피 세포에서 일어나서 암화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다양한 종양 표지자가 객담에 섞여 나오기 때문에 이 표지자를 객담에서 측정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인 조기 진단법이 될 수 있다. 동시에 폐암을 집단 검진으로 조기 진단하기 위해서는 종양 표지자를 대량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동측정법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여러면에서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즉 암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선태하여야 하며 초기에 집단 검진으로 진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검진으로 추적 검사가 가능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결과를 판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유일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것은 조기 진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뚜렷한 종양 표지자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는 폐암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특이한 표지자는 없으나 앞으로 폐암 발생 기전의 여러 단계가 체계적으로 밝혀진다면 그 과정에서 중요한 표지자들이 밝혀질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법도 밝혀져 폐암 조기 진단의 궁극적 목적인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Cancer Risk Perception and Cancer Screening Tests in the General Public Aged 40 and Over (암 조기발견 지식.암발생 위험성 지각과 암 조기검진 수검 여부와의 관계: 40세 이상 일반인 대상으로)

  • Yang, Young-Hee
    • Asian Oncology Nursing
    • /
    • v.12 no.1
    • /
    • pp.52-6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is to determine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and risk perception of cancer according to taking cancer screening tests in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1 people aged 40 years or old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warning signs, cancer screening methods, general knowledge for early detection), cancer risk perception and history of cancer screening during past 2 years. Results: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were 64.7% in knowledge about warning signs, 73.7% in knowledge of cancer screening tests and 80.1% in general knowledge for early detection. Participants had the highest knowledge about screening methods for stomach cancer and the lowest for liver and colon cancer.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was medium.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cancer screening showed low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who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screening. The primary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cancer screening was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cer risk perception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cancer screening and we need to study how to handle this problem. Additionally screening programs should focus on liver cancer and colon cancer.

Cervical cancer screening strategies based on stochastic process (확률모형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전략)

  • Phee, Young-Gyu;Lee, Jeong-Hee;Jeong, Se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129-1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cost-effectiveness screening strategies for cervical cancer in Korea. We calculated the age-specific cervical cancer incidence rate from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and then estimated the schedule sensitivity, detection probability, and screening and confirmative costs of each screening strategy based on the stochastic process (Lee and Zelen, 1998). The efficiency of the screening strategy was evaluated by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was every 3 years pap smear test between the age of 35 and 65 years in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valuate efficiency of cancer screening strategies, an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arly detection of cancer in Korea.

Effec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o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위암 환자에서 국가암검진의 효과)

  • Cho, Young Suk;Lee, Sang Hoon;So, Hyun Ju;Kim, Dong Wook;Choi, Yoon Jung;Jeon, Han Ho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 /
    • v.8 no.2
    • /
    • pp.102-108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through analysis of screening-related data. Methods: We investigated claims data of gastric cancer from 2009 to 2015. We evaluated whether the screening was performed to prior to registration as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effec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was also analyzed by gender. Results: We collected total 196,293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74% of them had previous experience of gastric cancer screening. In patients with screening, early gastric cancer was 33.4% and advanced gastric cancer was 17.3%. 22,548 (15.5%)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within 2 years after screening. In the case of patients without screening, early gastric cancer was 15.1% and advanced gastric cancer was 25.3%. In case of men, 76% of them confirmed gastric cancer through screening, and 70.2% of women confirmed the gastric cancer. In both men and women, the rate of early gastric cancer was higher among those with screening than those without screening. Conclusion: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directly confirm the stage shif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However, within 2 years after screening, not a few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ere diagnosed. Therefore,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