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 안봉전;이진태;곽재훈;박정미;이진영;손준호;배종호;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92-95
    • /
    • 2004
  •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폴리페놀 성분을 분획하여 그 생리활성 및 암세포증식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자공여능에서는 50 ppm에서 분획물 II, III에서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SOD 유사능은 분획물 II, III의 500 ppm군에서 50-60%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통풍과 관련있는 xanthin oxidase 실험에서는 분획물 I의 저해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II와 III에서는 50 ppm에서도 80%에 이르는 높은 저해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유선암세포(MDA) 생육억제 실험에서는 분획물 II보다 III가 높은 증식억제능을, 2,000 ppm에서는 약 60%의 억제능을 나타내었고, 전립선암(PC-3)의 세포억제효과에서는 III보다 II에서 오히려 억제 효과가 높았고, 500 ppm에서 약 23%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추의 함황화합물이 인체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osulfinates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박순영;김재용;박경욱;강갑석;박기훈;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03-1007
    • /
    • 2009
  • 부추를 암 예방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추로부터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함황화합물을 분리하여 인체 암세포성장 억제 및 간암세포의 사멸이 apoptosis에 의해 유도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부추 함황화합물을 1, 5, 10, 20 및 30 $\mu g$/mL 농도로 24, 48 및 72시간별로 간암(HepG2) 및 폐암세포 (A549)에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HepG2 및 A549 세포에서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그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20 $\mu g$/mL 농도 이상에서 암세포 성장이 60% 이상 억제되었다. 또한 부추 함황화합물 30 $\mu g$/mL 농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하여 폐암 및 간암 세포수 감소 및 심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들 암세포의 $IC_{50}$ 값을 측정한 결과 부추 함황화합물은 폐암세포(A549)보다 간암세포(HepG2)에 더 효과가 있었다. 한편 부추 함황화합물은 30 $\mu g$/mL 농도에서 핵 응축 및 apoptotic body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subG1 DNA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HepG2 암세포 사멸이 apoptosis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24 방광암세포에서 Luteolin과 TRAIL의 복합 처리에 따른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Combination Treatment with Luteolin and TRAIL in T24 Human Bladder Cancer Cells)

  • 박현수;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63-13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계열 중의 하나인 luteolin을 이용하여 TRAIL에 저항성을 가지는 T24 방광암세포에서 TRAIL 저항성 극복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luteolin 및 TRAIL 각각 단독 처리 시 세포증식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 농도의 복합 처리 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음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증식억제와 연관된 aspoptosis 유도는 caspase-8의 활성화에 의한 tBid의 발현 증가와 pro-apoptotic 인자인 Bax의 발현 증가로 인한 caspase-9 및 -3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type II apoptosis에 의한 것이라 추측되며, 이러한 가정은 각각의 caspase 선택적 저해제를 이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암세포에 luteolin이 감수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암세포에 대한 combination therapy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산화방지, 산화질소 제거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effect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pancreatic cancer cell proliferation)

  • 박민경;윤혜지;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9-215
    • /
    • 2018
  • 치자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분획-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와 뷰탄올 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함을 하였고,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와 환원력 실험에서 강력한 라디칼 제거와 환원능력을 나타냈다. 또한 치차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의 라디칼 제거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평가한 결과, LPS로 활성화된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과량의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였고,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췌장암 세포주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이 라디칼 제거효과, 과산화수소 유도형 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흰민들레, 고들빼기, 씀바귀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with Extracts of Taraxacum coreanum, Youngia sonchifolia and Ixeris dentate)

  • 신성아;이해님;추강식;김형진;박병권;김병수;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58
    • /
    • 2016
  • 본 연구는 인체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과 위암세포 AGS를 대상으로 국화과 식물 중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YS), 씀바귀(Ixeris dentate, ID)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를 비교 한 후, 가장 억제효율이 높은 추출물을 선택하여 apoptosis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는 TC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약한 반면, YS와 ID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 ID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농도 설정을 진행한 다음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양성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assay를 진행한 결과, ID 추출물을 처치한 군에서 apoptotic body와 세포질 응축을 확인하였다. MTT assay와 DAPI staining의 결과를 바탕으로 ID 추출물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apoptosis와 관련한 단백질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pro-apoptosis인 Bax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nti-apoptosis인 Bcl-2 단백질 발현은 SK-BR-3 세포에서는 발현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MDA-MB-231과 AGS 세포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사멸의 주요임상지표인 Bax/Bcl-2 ratio는 MDA-MB-231세포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은 감소하면서, cleaved-PARP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YS와 ID 추출물은 TC 추출물에 비해 암세포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특히 ID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암세포의 생존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D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와 위암세포 AGS의 생존율 억제는 apoptosis 유도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 중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apoptosis 유도 효과가 뛰어난 것을 미루어 보아, 유방암의 종류와 그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만 ID는 향후 유방암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in vivo에서의 ID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pigenin과 대사물 isovitexin에 의한 인체 대장암세포의 세포활성 억제효과에 있어서의 EGR-1의 역할 연구 (Involvement of Early Growth Response Gene 1 (EGR-1) in Growth Suppression of the Human Colonic Tumor Cells By Apigenin and Its Derivative Isovitexin)

  • 문유석;최뢰광;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115
    • /
    • 2007
  • Tumor suppressor 유전자로알려진 early growth response gene 1 (EGR-1)에 있어 항산화 천연물인 apigenin과 그대사물인 isovitexin에 의한 장관 상피성 종양세포에 대하여 항종양 역할을 규명하였다. Apigenin 과 isovitexin은 대장암세포에서의 EGR-1 단백질의 발현을 9-12시간의 노출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신호전달측면에서 이런 apigenin에 의한 EGR-1 유전자의 유도가 U0126 화합물에 의해 완벽하게 저해 받는 것으로 보아 ERK1/2 MAP kinase pathway의 이 신호전달계에서의 관여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apigen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대장암세포의 세포활성의 저해를 MTT assay를 통해 보였고, 또한 EGR-1 siRNA를 transfectien한 세포의 경우 이런 apigenin에 의한 세포활성의 저해효과를 완화하였다. 따라서 apigenin에 의한 항종암세포 세포활성 억제에 있어 EGR-1의 중요성을 보여 준다. 이런 EGR-1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중 대표적으로 NAG-1 유전자의 경우 apigenin과 isovitexin에 의해 24-48시간에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활성이 있고 apoptosis 유도효과가 있는 NAG-1의 유도에 의해 대장암 세포의 세포활성이 억제된 것으로 의미되고 향후 apigenin 유도의 NAG-1유전자에 의한 암세포증식의 억제기전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요구된다.

Obovatol의 염증매개 생성 억제와 세포자멸사를 통한 Colon Carcinoma SW620,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Obovatol Inhibits Inflammation Mediator Generation and Colon Carcinoma SW620, HCT116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정인모;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75-89
    • /
    • 2008
  • 목적 : 후박(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 $TNF-{\alpha}$로 유발된 human colon carcinoma SW620 및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 iNOS와 COX-2의 발현, $NF-{\kappa}B$활성, 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 HCT116, SW620 세포에 $TNF-{\alpha}$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1,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HCT116, SW620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멸사를 촉진함으로써 $TNF-{\alpha}$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SW620, HCT116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pigallocatechin Gallate가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의 세포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홍은정;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83-988
    • /
    • 2007
  • 본 연구는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 중에서 항암효과가 가장 크다고 알려진 EGCG가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증식억제 기전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EGCG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48시간 후에 유방암 세포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세포증식 관련 단백질인 $ErbB_2$, $ErbB_3$, Akt의 단백질 발현은 EGCG의 첨가농도 10 ${\mu}m$ 이상일 때부터 유의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고, mRNA 발현은 5 ${\mu}m$ 이상부터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Py20, p-Akt 로 단백질의 인산화를 알아본 결과 EGCG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ErbB_2$, $ErbB_3$, Akt 의 인산화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에서 EGCG는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ErbB_2$, $ErbB_3$, Akt의 세포신호 전달과정 억제를 통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박에서 추출한 Obovatol의 염증매개 생성의 억제와 세포자멸사를 통한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및 LNCap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Obovatol Extracted from Magnolia Obovata Inhibits Inflammation Mediator Generation and Prostate Carcinoma PC-3, LNCap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김군중;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5-29
    • /
    • 2007
  • 목적 : 후박(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TNF-{\alpha}$로 유발된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및 LNCap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iNOS와 COX-2의 발현, $NF-{\kappa}B$활성,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MTT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LNCap, PC-3 세포에 $TNF-{\alpha}$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1,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LNCap, PC-3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별사를 촉진함으로써 $TNF-{\alpha}$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 LNCap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향후 이를 바탕으로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체유방암세포의 tight junction 기능 조절을 통한 genistein의 암세포 침윤 억제 효과 (Anti-invasive Activity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y Genistein through Modulation of Tight Junction Function)

  • 김성옥;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00-1208
    • /
    • 2009
  • Tight junctions (TJs)은 인접된 세포 사이의 전해질 및 거대분자 확산 조절에 관여하는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장벽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MCF-7 및 MDA-MB-231 인체유방암세포에서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인 genistein에 의한 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TJs의 견고성 및 투과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genistein에 의한 유방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 이동성의 저하 및 침윤성의 억제는 TJs의 증가된 견고성과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 및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감소로 확인하였다. Genistein은 두 유방암세포에서 TJs의 주요 조절 단백질로서 paracellular transport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laudin-3 및 claudin-4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그리고 genistein은 암세포의 전이 조절 관련 유전자들인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및 snail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hrombospondin-1 및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small interfering RNA를 이용하여 genistein의 유방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claudin-3단백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genistein이 TJs의 견고성 증가를 통하여 암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아마도 claudin 단백질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종양 전이억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