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병동 간호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종합병원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Somatic Symptoms of Nurses Working in Cancer Unit and General Unit of General Hospital)

  • 박점미;신나연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20
    • /
    • 2023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이다. 참가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14명의 간호사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을 확인하고 두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암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이 모두 높았으며,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모두 직무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병동 간호사에 대한 안전한 근무환경 및 호스피스 간호와 관련한 심리적 지원을 통하여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시키고 나타날 수 있는 신체화 증상을 예방하는 의료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 김정희;이현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205-211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암병동 신규간호사를 위한 행복 셀프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Happiness Self-Coaching Program for New Graduate Nurses Working in Cancer Care Unit)

  • 류의정;전미양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2호
    • /
    • pp.161-16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Happiness Self-Coaching program for new graduate nurses working in cancer care uni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was applied to conduct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were new graduate nurses employed within 12 months and working as shift employees at G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 city. A total of 21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in the control group. The happiness self-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weekly for 70 minutes from February 1 to June 6, 2016 for 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Happiness Self-Coaching program through lectures, presentation, group activities, and strength card pla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happiness (F=6.82, p=.003) and self-efficacy (F=3.38 p=.045)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Happiness Self-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new graduate nurses' happiness and self efficacy. It is recommended that nursing organizations to apply the Happiness Self -Coaching program to facilitate adaption of new graduate nurses in cancer care units.

중환자실 간호사와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 백명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1-8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Coping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and to compare the Job stress and Coping between two groups, and finally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dequate method to promote Coping about Job stress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62 nurses in ICU and 69 nurses in Cancer ward. Data were collected from 27th August to 14th September in 2007.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Job stress scale(55 items) developed by Kim(1989), and Coping scale(32 items)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1984) and revised by Han and Oh(1990). For the data analysis, SPSS PC/win 12.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The mean score of Job stress(range 1-5) was 2.93 in ICU nurse and 2.58 in Cancer ward nur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4.453, p<.01)between the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cale of Job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Nursing job(t=3.717, p<.01), Job circumstances(t=4.558, p<.01), Personal relations(t=3.425, p<.01),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t=2.94, p<.01). The mean score of Coping(range 1-4) was 2.55 in ICU nurse, and 2.54 in Cancer ward nur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one subscale of the Coping(Search of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t=-2.865,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Coping of ICU nurse vs Cancer ward nurse except one subscale in cancer ward(correlation between Nursing Job and Coping). Conclusion: The ICU nurse is higher than the Cancer ward nurse in the Job stress score significantly and lower than the Cancer unit nurse in the Cop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eded the program development using the Cop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ward speciality to relieve Job stress.

  • PDF

암환자를 돌보는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경험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 of Compassion Fatigue in Nurses Working with Oncology Patients)

  • 김수현;김민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81-59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 및 가족을 돌보는 암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경험에 대한 이해로 종합병원 내 암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명을 대상으로 공감피로 경험과 관련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Braun과 Clarke이 제시한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3개의 대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암환자 및 보호자와 라포를 형성하고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고통이 전이되며 극심한 공감피로를 경험하였고, 업무적 특성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외부적인 상황과 공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공감의 정도가 낮아졌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와 가족들을 돌보는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인식을 높여 이들의 개인적 삶뿐만 아니라 전문적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제도적으로 마련되기를 제언하였다.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 이향련;이연옥;최은영;박영미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26-3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strategy that clinical nurses can efficiently cope with the stress from bereavement ca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stress factors and coping methods of nurses' bereavement care. Methods: A total of 628 nurses were recruited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two cancer specialized hospitals, and three public hospitals.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bereavement care stress measurement tool, and coping was done using the cope with stress scale. Results: The stress level about bereavement care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cancer un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coping level between nurses working in cancer unit and general unit.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methods that contrive to perform bereavement care efficiently by generating hospice nurses and by activating the system for nurses specialist who perform bereavement care.

  • PDF

말기 환자의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Nurses' Perception on Fluid Therapy for Terminally Ill Patients)

  • 조현숙;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4호
    • /
    • pp.243-251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과 수액요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 87명과 보건복지부의 호스피스 시범사업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1개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 113명,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액요법에 대한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와 암 병동 간호사의 인식 차이는 $x^2test$와 ANCOVA로 알아보았다. 결과: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가 암 병동 간호사에 비해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면 전신무력감이 호전되지 않는다', '수액을 주입하여도 섬망이나 안절부절함, 의식장애가 완화되지 않는다', '수액을 제한하면 폐부종이 감소되고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수액을 제한하면 복수가 최소화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심리사회적인 측면의 인식도는 암 병동 간호사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보다 높아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기관이 암병동보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말초정맥 혈관이나 지속적 피하 점적주사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입하는 하루 평균 수액양이 적었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 요법을 하는 이유로 호스피스 기관은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 및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와 '수액요법이 기본적인 처방이므로' 순이었으나 종합병원의 암 병동은 '환자나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서' 순이었다. 결론: 종합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들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에 비하여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며, 두 기관 모두 환자나 가족이 원하여 말기 환자에게 수액요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불필요한 수액요법을 시행하지 않도록 간호사는 물론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집단미술치료가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in Oncology Units)

  • 장옥점;류의정;송현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6-37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on decreasing job stress and burnout of clinical oncology nurs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A total of 29 clinical oncology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15 were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4.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in three different time points (pretest, 8th week, and 12th week).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art therapy will have lower job str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 (F=7.88, p=.003).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lower burnou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upported (F=1.80, p=.188).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for oncology nurses may positively influence in decreasing job stress, which open a venue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with group art therapy for clinical nurses in future.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 분석 (Analysis of Pain Records for Cancer Patients Complaining of Moderate or Severe Pain)

  • 박란희;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의 특성과 통증완화를 위한 중재 및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2011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교 병원의 암병동에 입원 환자 중 재원일수가 3일 이상 30일 이하이며,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NRS로 측정한 통증의 강도가 4점 이상인 363명이었다. 결과: 입원 후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한 건수는 1,394건이었다. 통증의 부위는 복부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악화요인은 움직였을 때가, 완화요인은 진통제를 투여받았을 때가 가장 많았다. 통증의 유형은 돌발성 통증이 가장 많았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 비약물적 중재 중 온요법이 가장 많았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 통증의 강도는 평균 6.68점이었으며 약물투여 후 1시간에 평균 2.81점으로 감소되었다. 정규처방으로 진통제를 투여한 경우는 52.2%였으며, 마약성 진통제 중 Morphine sulfate가, 비마약적 진통제 중 Gabapentin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퇴원 시 통증의 강도는 3점 이하가 82.5%였다. 결론: NRS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는 입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는 암환자와 가족은 물론 간호사를 대상으로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교육하고, 또한 퇴원 후 가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통증을 평가하고 기록하여 추후 치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