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츠하이머 환자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imulation Study 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Using MRI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MRI를 활용한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Chae-Bin Song;Cheolki Lim;Jongseung Lee;Donghyeon Kim;Hyeon Seo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6
    • /
    • pp.377-383
    • /
    • 2023
  • Purpose: There is increasing attention to the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for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in subjects to ag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Alzheimer's disease (AD). Despite varying treatment outcomes in tDCS which depend on the amount of current reaching the brain, there is no general information on the impacts of anatom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AD on tDCS-induced electric field.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related anatomical variation affects the tDCS-induced electric field using computational modeling. Methods: We collected 180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of AD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from a publicly available database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ADNI), and MRIs were divided into female-AD, male-AD, female-normal, and male-normal groups. For each group, segmented brain volumes (cerebrospinal fluid, gray matter, ventricle, rostral middle frontal (RMF), and hippocampus/amygdala complex) using MRI were measured, and tDCS-induced electric fields were simulated, targeting RMF. Results: For segmented brain volumes,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ray matter and RMF, and considerable disease differences were found in cerebrospinal fluid, ventricle, and hippocampus/amygdala complex.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DCS-induced electric field among AD and normal groups; however, higher peak values of electric field were observed in the female group than the male group. Conclusions: Our findings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sex and disease differences in segmented brain volumes; however, this pattern differed in tDCS-induced electric field, resulting in significant sex differences only. Further studies, we will adjust the brain stimulation conditions to target the deep brain and examine the effects, becaus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entricles and deep brain regions between AD and normal groups.

Prediction of Amyloid β-Positivity with both MRI Parameters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Machine Learning (뇌 MRI와 인지기능평가를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예측 연구)

  • Hye Jin Park;Ji Young Lee;Jin-Ju Yang;Hee-Jin Kim;Young Seo Kim;Ji Young Kim;Yun Young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3
    • /
    • pp.638-652
    • /
    • 202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MRI markers for the prediction of amyloid β (Aβ)-positivit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Alzheimer's disease (AD),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RI markers between Aβ-positive (Aβ [+]) and -negative groups using the machine learning (ML)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9 patients with MCI and AD who underwent amyloid PET-CT and brain MRI. Patients were divided into Aβ (+) (n = 84) and Aβ-negative (n = 55) groups. Visu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Fazekas scale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 and cerebral microbleeds (CMB) scores. The WMH volume and regional brain volume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Th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ML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the best MRI predictors of Aβ-positivity. Results The Fazekas scale of WMH (p = 0.02) and CMB scores (p = 0.04) were higher in Aβ (+). The volumes of hippocampus, entorhinal cortex, and precuneus were smaller in Aβ (+) (p < 0.05). The third ventricle volume was larger in Aβ (+) (p = 0.002). The logistic regression of ML showed a good accuracy (81.1%)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regional brain volume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ML using the MMSE, third ventricle, and hippocampal volume is helpful in predicting Aβ-positivity with a good accuracy.

Effect of Obesity and Diabetes on Alzheimer's APP Gene Expression in Mouse Adipose Tissues (비만 및 당뇨가 생쥐 지방조직에서의 Alzheimer's APP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Kim, Jin-Woo;Lee, Yong-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7
    • /
    • pp.1012-1018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lzheimer's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is dysregulated in adipose tissues of C57BL/6 male mice by high-fat diet (HFD) induced obesity, aging, or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es. APP mRNA expression was examin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in subcutaneous (SA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s (EAT) from mice in 8 different condition groups. By combining conditions of age (16 weeks/26 weeks of age), diet (normal diet (ND)/high-fat diet), and induction of diabetes (non-diabetic/diabetic), 88 mice were divided into 8 different groups. QPCR demonstrated that APP expression in S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bout two-fold in HFD-induced obese mice compared to both 16 week-old and 26 week-old mice in the ND group (16 weeks p=0.001; 26 weeks p<0.0001), but no changes in EAT was found. Particular effects of aging on APP gene expression were not observed in either adipose tissue depots. Significantly decreased APP expression was found in SAT in STZ-induced diabetic mice fed on ND or HFD at 16 weeks of age (ND p<0.05; HFD p<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PP expression levels correlated with body weight in both the non-diabetic group (R=0.657, p<0.0001, n=39) and the diabetic group (R=0.508, p=<0.0001, n=49), but did not correlate with plasma glucose levels, which suggests that decreased APP expression in STZ-induced diabetic mice is most likely due to weight loss rather than hyperglycemia. These data confirm APP dysregulation by weight changes in humans and suggest a possible role linking midlife obesity with the later development of amyloidogenesis in the brain of olde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Protective Effect of the Ethyl Acetate-fr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Ophiophogon japonicus on Amyloid beta Peptide-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소엽맥문동-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유발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 효능)

  • Moon, Ja-Young;Kim, Eun-Sook;Choi, Soo-Jin;Kim, Jin-Ik;Choi, Nack-Shik;Lee, Kyoung;Park, Woo-Jin;Choi, Young-Wh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2
    • /
    • pp.173-180
    • /
    • 2019
  • Amyloid ${\beta}$-protein ($A{\beta}$) is the principal component of senile plaques characteristic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elicits a toxic effect on neurons in vitro and in vivo.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antioxidants and proteoglycans, modify $A{\beta}$ toxicity. It is worthwhile to isolate novel natural compounds that could prove therapeutic for patients with AD without causing detrimental side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Ophiophogon japonicas (OJEA fraction). We used an MTT reduction assay to detect protective effects of the OJEA fraction on $A{\beta}_{25-35}$-induced cytotoxicity to PC12 cells. We also used a cell-based ${\beta}$-secretase assay system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OJEA fraction on ${\beta}$-secretase activity. In addition, we performed an in vitro lipid peroxidation assay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OJEA fra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beta}_{25-35}$ in PC12 cells. The OJEA fraction had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A{\beta}_{25-35}$-induced cytotoxicity to PC12 cells and was strongly inhibitory to ${\beta}$-secretase activity, which resulted in the attenuation of $A{\beta}$ generation. In addition, the OJEA fra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malondialdehyde (MDA) content, which is induced by the exposure of PC12 cells to $A{\beta}_{25-35}$.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OJEA fraction contained active compounds exhibiting a neuroprotective effect on $A{\beta}$ toxicity.

태양계의 물: 기원과 진화

  • Choe, Byeon-Gak;Choe, Hye-Rim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8
    • /
    • 2005
  • 지구는 현재 태양계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하는 유일한 천체이다. 하지만, 고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은 태양계의 다른 행성이나, 위성, 소행성, 혜성 등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다. 풍부한 액체 상태의 물은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의 변화, 해류의 이동, 퇴적 및 침식 작용, 화산활동과 같은 여러 지구과학적 현상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생명의 탄생과 진화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재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지구의 조성 및 크기 등과 관련된 지구 표면의 물리-화학적 조건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조건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두터운 이산화탄소 대기를 갖고 있어 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은 금성의 경우 H2O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지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희박한 대기를 갖고 있는 화성의 경우에는 현재 H2O가 고체 즉 얼음의 형태로 존재한다. 태양계를 탄생시킨 태양계 성운에서는 압력이 너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으며, 고온에서는 기체 상태로 매우 낮은 저온에서는 얼음의 형태, 또는 함수 광물 내에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 지구와 같은 규모의 행성은 비교적 중력이 작아 태양계 성운의 기체를 거의 끌어들이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물은 대부분은 고체 상태로 지구에 집적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구가 탄생한 위치에서 초기 태양계의 온도는 얼음이 형성되기에는 너무 높았기 때문에 좀 더 먼 곳에서(현재의 목성 위치보다 바깥쪽)에서 생성된 얼음 즉, 혜성이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와 지구에 물을 공급했거나 함수광물을 포함하고 있는 소행성(예를 들어 CI chondrites와 같은 조성의)이 물을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 PDF

Differences in rat's behavioral propensity about learning and memory or drug effect . (Rat의 행동성향에 따른 학습 및 기억 능력 차이와 약물 효과 반응에 대한 연구)

  • Jung, Hoi-Kum;Shin, Ki-Young;Suh, Yo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44-253
    • /
    • 2005
  • 사람에게 행동의 개인차가 있듯이 rat이나 mouse에 있어서도 행동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Rat의 행동성향에 따른 (1)학습 및 기억 능력의 차이, (2)기억과 해마의 관계, (3)치매유발단백질의 하나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beta}$ )및 수종의 항 치매 약물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본 실험의 목적이다. Rat의 행동관찰을 통해 두 가지 행동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rat의 행동 특성은 심리학자 Jung이 심리유형으로 설명하고 있는 extraversion, introversion의 행동성향과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계획, 실시하였다. Rat에 water maze test를 실시하여 공간 기억의 단기, 장기 기억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두 가지 행동 성향을 가진 rat은 서로 다른 학습 및 기억 능력의 특성을 보였다. 즉, extraversion은 단기 기억의 향상을 보인 반면에, introversion은 장기 기억의 향상을 보였다. Rat을 대상으로 water maze test 외에 Y-maze, passive avoidance test를 실시하여 공간 기억(spatial memory), 작동 기억(working memory), passive avoidance memory, 그리고 단기, 장기 기억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두 가지 행동성향에 따라 서로 영향을 미치는 기억의 종류 및 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행동성향을 가진 rat에 약물을 투여했을 때, 서로 다른 약물 효과를 보였으며, $A{\beta}$ 를 주입했을 때, 기억(memory) 및 해마(hippocampus) 세포 사멸(cell death)에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체의 행동성향에 따라 학습 및 기억의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고, 개인의 적성과 소질의 인식 및 개발의 중요성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개개인의 행동과 학습 및 기억 능력의 차이를 두뇌과학적으로 이해하여, 두뇌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데 이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Deletion of the VPS26b-VPS29-VPS35 Retromer Complex Results in Learning Disabilities and Neurodegeneration (VPS26b-VPS29-VPS35 리트로머 복합체 결여가 마우스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Ekyun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8
    • /
    • pp.708-712
    • /
    • 2020
  • Vacuolar protein sorting (VPS) 26b is a newly discovered member of the retromer complex; it is encoded by a single-copy gene located on mouse chromosome 9, and the complex has been reported as being composed of proteins VPS26, VPS29, and VPS35.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mice lacking VPS26b exhibited no significant body size or health issues. Although retromer components are widely expressed in mouse tissue, their roles have not yet been completely elucidate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VPS26b-associated retromer complex can be used as a neurodegeneration model. Previously, we observ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VPS35 and VPS29 in the brain cells of in VPS26b-deficient mice as well as an absence of the VPS26b-VPS29-VPS35 retromer complex despite the normal presence of VPS26a-VPS29-VPS35.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low levels of VPS35 can lead to Alzheimer's disease-like phenotypes including cognitive memory deficit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monstrate an association between the absence of the VPS26b-VPS29-VPS35 retromer complex, reduced cell density in the CA3 region of the hippocampus, and learning disability in VPS26b knock-out mic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VPS26b-associated retromer complex affect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nd learning processes.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elastrol, A Quinine Methide Triterpene Extracted from the Perennial Vine Tripterygium wilfordii, on Obesity-related Cancers (미역줄나무 뿌리 추출물인 셀라스트롤의 비만관련 암증식 억제효과)

  • Park, Sunmi;Moon, Hyun-Seuk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1
    • /
    • pp.59-66
    • /
    • 2016
  •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obesity and overweight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and cancer incidence. In fact, obesity increased risks of cancers i.e. breast, liver, pancreatic and prostate. Celastrol is a pentacyclic triterpenoid isolated from Thunder god vine, was used as a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such as arthritis, lupus erythematosus and Alzheimer's disease. Also, celastrol has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of chemo-preventive,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celastrol has anti-proliferation effects in different type of obesity-related cancers and suppresses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Anticancer effects of celastrol include regulation of $NF-{\kappa}B$, heat shock protein, JNK, VEGF, CXCR4, Akt/mTOR, MMP-9 and so on. For these reasons, celastrol has shown to be a promising anti-tumor agent. In this review, we will address the anticancer activities and multiple mechanisms of celastrol in obesity-related cancers.

Evaluation of Pharmaco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or Vascular Dementia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혈관성치매 환자들의 우울증에 대한 약물 치료 평가)

  • Lee, Hyo Jin;Lee, Ok Sang;Jung, Sun Hoi;Park, Mi Sook;Lim, Sung Ci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23 no.1
    • /
    • pp.33-41
    • /
    • 2013
  • Background: Prevalence of depression comorbid with neurologic disorders such as Alzheimer' disease (AD), Parkinson's disease (PD) and vascular dementia (VD) is higher than that of primary depression. Antidepressant medications, suggested by many researches for depression comorbid with neurologic disorders such as AD, PD and VD, are mainly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 Objectiv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antidepressant drug therapy for AD, PD and VD. Method: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medical records, carried out for 3 years and 6 months (Jan. 2007~Jul. 2010). Patients, diagnosed as comorbid depression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Cornell Depression Scale (CDS),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mong neurologic out-patient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AD, PD and VD,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efficacy and safety of antidepressant drug therapy. Results: In result, the prescribing rates of antidepressants were 30%, 55% and 40% for each AD, PD and VD. Depression cure rates of patients receiving antidepressants vs patients not receiving antidepressants were 40% vs 39%, 33% vs 23% and 38% vs 30% for AD, PD and VD. The frequencies of prescriptoin of SSRI were 21%, 11% and 27% for each AD, PD and VD. The frequencies of prescriptoin of benzodiazepine (BZD) was 61%, 82% and 61% for each AD, PD and VD. The ratio of single BZD prescription was more than that of combination prescription of antidepressants.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were rarely prescribed. The rate of patients with BZD-related side effects was 54%. The most frequent side effects of BZD were dizziness (30%), drowsiness (21%) and headache (16%). Side effects of SSRI were rare.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frequencies of prescription of antidepressants were not common for AD, PD and V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depression cure rate between patient receiving antidepressants and not receiving. Even though SSRI has to be the highest priority of usage, the frequencies of prescription of SSRI were lower than those of BZD. Additional researches and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antidepressant drug therapy for neurologic disorders such as AD, PD and VD.

과학영재 선발과정의 분석 및 개선안 제안 -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과정 중심으로 -

  • Gang, Hyeon-A;Jo, Gyu-Seong;Kim, Ja-H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39-248
    • /
    • 2005
  • 이 논문은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아 판별과정을 분석해보고,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과학, 수학과 관련된 창의적 문제의 지필평가 성적이 선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 지필평가 단계에서 지망분야에 관계없이 과학, 수학 및 창의력검사를 모두 치러야 하는 교육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점수 활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였다. A 교육원의 경우 학생 선발은 다단계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었으며, 1단계 지필평가에서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라는 세 과목 시험의 합산점수로서 선발하고 있었다. 이 교육원의 ○○년도 중등과정 응시자 276명을 대상으로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지필평가 점수를 분석하여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시행에 오류가 없었는지 점검하였다. 또 이들의 합산에 의한 선발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상관도분석에서 과학은 수학 및 창의력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학과 창의력검사는 독립적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의 합산에 지원분야별 배점으로 계산한 선발은 본래의 취지, 즉 과학, 수학, 창의력에서 모두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의도대로 진행되었으나, 판별분석 결과 합격과 불합격자 판별에서 88.1%의 정확도를 보여 다소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년도에 출제된 문제의 난이도 및 시험 과목별 평균점수 차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되어져 원점수 대신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오류를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자체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으로는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 부분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형태점화 양상과 관련된 대뇌영역으로 발견된 브로카 영역에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

  • PDF